학문의 즐거움 (양장)
히로나카 헤이스케 지음, 방승양 옮김 / 김영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보다 많이 별로였다. 기대를 많이 했더랬다. 오래전부터 이 책을 봐야겠노라고 점 찍어두었고 정가 6천 9백원의 그다지 비싸지 않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책들을 구입하느라 번번히 순위에서 밀렸다. 그래서 이번에 마음먹고 왕창 지르면서 읽고 싶었던 책들의 상위 목록을 주문했던 것인데 나에게 참 많은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큰 법이라고 하지만.

  <학문의 즐거움>이라는 이 책은 수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우는 필드상을 받았다고 하는 일본의 유명한 수학자 히로나카 헤이스케가 저자이다. 최근 일간지 한국일보에서는 "나는 왜 공부를 하는가"라는 제목으로 매주 한명의 학자를 뽑아 글을 연재하고 있는데, 이 책은 마치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나는 왜 공부를 하는가" 라고 할 수 있겠다. 즉 그 말은 '학문'일반의 즐거움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헤이크세 자신의 개인적인 학문의 즐거움을 논하고 있다는 것이고, 이는 곧 그의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학문의 즐거움>이라는 큰 제목 위에는 작은 글씨로 "즐겁게 공부하다 인생에도 도통해버린 어느 늦깍이 수학자의 인생이야기"라는 아주 적절한 긴 제목을 붙이고 있지만, 에... 나는 인터넷 주문을  하느라 이것을 보지 못했다. 그리고 오프라인 서점에서 샀더라도 '학문의 즐거움'이라는 매력적인 제목 때문에 위에 적힌 작은 글씨 따위는 무시했을 것이다. 출판사가 일부러 상업적 술수를 쓴 것 같지는 않다. 다만 내가 제 꾀에 속아 넘어간 것일 뿐.

  잘 모르는 일본의 수학자의 "나는 왜 공부를 하는가" 따위에는 난 관심이 없소이다. 그래도 기왕 산거 끝까지 읽었지만 그는 매우 뜬 구름 잡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불교가 어쩌고 저쩌고 - 불교를 탓하는 것이 아니라 불교에서 말하는 인, 연 과 같은 약간은 뜬 구름 잡는 듯한 이야기를 현실세계의 '학문'을 논함에 있어 적용하고 있다는 말 - 하면서 구름 위에서 신선놀음하고 있는데 난 도통 그의 말에 마음이 울리질 않는다. 전혀 학문을 하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순전히 자기 자신을 위해 혹은 헤이스케 라는 수학자에게 관심있는 독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책이 아닌가 싶다. 제목만으로 현혹되지 말지어다.

  순수하게 '학문의 즐거움'을 읽고 자극을 받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결코 자극도 신선함도 느낄 수 없을 것이다. 단 헤이스케를 알고 그에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재밌을지도 모르겠다.

 괜찮은 문구가 있어서 하나 소개.

  " '지혜의 깊이'는 공부를 통해서만이 비로소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공부를 하지 않은 사람의 두뇌는 인간 특유의 폭넓은 사고의 훈련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깊이 생각하는 힘, 즉 '지혜의 깊이'가 키워지지 않는다.
지혜에는 '넓이'가 있고, '깊이'가 있고, '힘'이 있다. '지혜의 힘'이란 결단력을 말한다."
(P50)

 


댓글(2) 먼댓글(1)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수학계의 노벨상 수상자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학문의 즐거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09-11 21:59 
    학문의 즐거움 히로나카 헤이스케 지음, 방승양 옮김/김영사 전반적인 리뷰 知之者不如好之者요, 好之者不如樂之者니라.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2005년 9월 13일에 읽고 나서 떠오르는 구절이었다. 論語의 옹야편에 나오는 문구로 모르는 이가 없을 구절이다. 사실 배움의 끝은 없기 때문에 앎 자체에 집중을 하면 그것은 집착이 될 수 있는 것이고 물 흐르듯이 배움 그 자체를 즐기라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다...
 
 
이리스 2005-09-01 2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이거 좀 부풀려져서 평가되었다는 느낌도 들고.. 여하튼 이 리뷰에 동감하는 바임돠. 고로, 추천 한 방 꾸욱~

마늘빵 2005-09-01 2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보셨나요? 이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