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울로 코엘료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를 보고서 괜찮다 싶어 코엘료의 책을 계속해서 읽고 있다. <연금술사>가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보다 2년여 먼저 번역되어 한국에 소개되었고 그 책으로 인해 코엘료붐이 일었다는 점에서 <연금술사>를 먼저 볼껄 하는 생각도 해봤으나 번역된 순서가 뭐 중요하랴.

 연금술사. 영어로는 Alchemist 라고 한다. 영어실력이 짧아 앞에 붙는 Al 이 어떤 역할을 해주는 지는 모른다.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에 따르면, '연금술'은 "옛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유럽에 퍼진 원시적 화학 기술. 비금속을 금, 은 등 귀금속으로 변화시키며, 또, 불로 불사의 영약을 만들려던 화학기술"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산티아고는 세상을 두루 여행하고 싶어 부모님의 기대를 저버리고(?) 양치기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는 가장 좋은 것을 원하지 않고 많은 것을 경험하고 알고 싶어한다. 그래서 양치기가 되어 길을 떠나는 것이다.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산티아고는 여행을 통해 나를 찾고자 한다.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은 생떽쥐베리의 세권으로 된 책 제목이기도 하다. 물론 내용은 다르지만 두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같다. 또 <연금술사>를 읽으면서 떠오른 것이 생떽쥐베리의 유명한 저서 <어린왕자>이다. 이 책에서 산티아고는 마치 여러별을 여행하며 이런저런 물음을 묻는 어린왕자와도 같다. 코엘료가 <어린왕자>의 형태를 답습하려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물론 그도 이 유명한 책을 읽지 않았을리 없다 - 이 책을 읽는 내내 머리 속에 맴도는 <어린왕자>의 환영(?)을 지울 수는 없었다.

 코엘료가 <연금술사>에서 말하는 '연금술사'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다. 물론 연금술사에 대한 세 가지 견해가 등장하기는 한다. 이는 소설 속에서가 아니라 소설이 끝난 뒤 '작가의 말'중에 드러난다.

 연금술사에는 세 부류가 있다. 하나는 연금술의 언어를 아예 이해하지 못한 채 흉내만 내는 사람들이고, 하나는 이해는 하지만 연금술의 언어는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따라가야 한다는 것 또한 알기에 마침내 좌절해버리는 사람들이고, 마지막 하나는 연금술이라는 말을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으면서도 연금술의 비밀을 얻고, 자신의 삶 속에서 '철학자의 돌'을 발견해낸 사람들이다.

 우리가 '연금술사'하면 떠올리는 사람들은 대개 첫번째 부류의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연금술은 사전에 정의된대로 값어치 없는 금속을 값어치 있는 금속으로 바꾸는 그런 마술을 하는 기술이 아니다. 적어도 이 책에서는. 오히려 코엘료가 말하는 연금술은 위 분류의 세번째의 그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은 연금술이 무엇인지 모른다. 하지만 이미 그 자신으로서 연금술사가 되어있는 사람들이다. 자아를 깨우친 사람들.

 산티아고는 마음속으로 되뇌었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 방식으로 배우는 거야. 저 사람의 방식과 내 방식이 같을 수는 없어. 하지만 우리는 제각기 자아의 신화를 찾아가는 길이고, 그게 바로 내가 그를 존경하는 이유지."(P142)

 산티아고는 연금술을 배우고 싶어하지만 정작 그 자신이 이미 연금술을 깨우치고 있었다. 다만 그것을 모르고 있었을 뿐이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연금술사'라 불리우는 자는 산티아고가 스스로 그것을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나는 나 자신을 깨우치고 있는가? 대답은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나 자신을 깨우치기 위해 노력은 한다 라고는 말할 수 있다. 나는 인생에 있어서 돈과 권력보다는 나의 자아실현을 꿈꾼다. 누군가가 내게 로또에 당첨되었는데 직장을 그만두겠습니까? 라고 묻는다면-아직 내게는 직장이 없다. 난 학생이다 - 난 아닙니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로또 1등에 당첨된 돈은 돈이고, 내가 기존에 하던 일은 계속 해야한다. 그것은 돈벌이를 위함이 아니라 나의 자아실현을 위한 하나의 과정이니까 말이다.

 나는 구리를 금으로 바꾸는 기술은 원치 않는다. 그런면에서는 나는 첫번째 연금술사보다는 세번째 연금술사에 가까이 다가가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나를 깨우쳤다고 결론 지을 수 없다는 점에서는 나는 연금술사는 아니다.

 생떽쥐베리의 <어린왕자>를 읽고서, 코엘료의 <연금술사>를 연달아 읽는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조지오웰의 <1984년>,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를 연달아 읽음으로써 좀더 생각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듯이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어린왕자>와 <연금술사>를 함께 읽음으로써 자아에 대한 사색에 좀더 빠져들 수 있지 않을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2-21 1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야간비행>도 같이 보실것을 권합니다.
오래전 읽었을때는 별다른 감흥이 없었으나 (오히려 지루...) 얼마전 그 와 유사한 환경 (며칠을 대륙을 가로질러 혼자서 드라이브한..)에서 극심한 고독과 함께 그가 무얼 애기할려는지가 가슴으로 오던군요...

마늘빵 2005-02-21 2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 <야간비행>은 잘 모르지만 김규항의 를 낸 출판사 이름이기도 하죠.

비로그인 2005-02-21 2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읔..
생떽쥐베리의 대표작입니당...

릴케 현상 2005-02-22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야간비행은 좋긴했지만^^한편으로는 거부감도 있었어요. 비행사의 죽음... 그의 죽음을 통해 인류는 더 많은 비행정보를 얻게 되었다. 이로서 인류는 한발짝 전진할 것이다. 우리는 진보의 사명을 띠고 물러서지 않고 저 심연 속으로 날아간다... '좀팽이처럼' 사는 저는 누군가 저를 부추기려고 할 때마다 불안하게 주위를 둘러보게 되요. 헉 난 아냐 하고...

마늘빵 2005-02-22 1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야간비행을 한번 읽어봐야겠군요. 소설인가요? 아니면 에세이?

릴케 현상 2005-02-23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