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에서는 논쟁을 서양의 개념과 달리 ‘상대방과 논리적인 말로 시시비비를 가려가며 싸운다.’로 해석한다. 이 말은 쌍방이 마주 보고 말을 주고받는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말뜻에 ‘청중/독자를 설득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논쟁의 큰 축을 이루는 청중/독자의 개념을 무시하고 있다. 또한 논쟁과 언쟁을 확실하게 구분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명확히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언쟁은 둘이서, 논쟁은 셋이서 한다. 언쟁은 쌍방이 마주 보고 설전을 하는 행위이고, 논쟁은 의견이 다른 둘 이상의 발표자들이 듣는 이/읽는 이들을 향해 설득하는 언어 행위이다. 또한 언쟁과 논쟁은 주어진 상황, 주제, 대상이 다르다. 언쟁에는 정해진 규칙이 별로 없지만, 논쟁에는 공정성과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한 많은 규칙들이 있다. 언쟁의 상황과 주제는 다분히 사적이고, 논쟁은 상황과 주제가 공적이다. 논쟁의 상황에서 의견이 다른 사람들끼리 마주 보고 싸워서는 안 될 것이다. -22쪽
우리 문화는 말을 자제하거나 침묵하는 행위를 덕으로 여겼다. 특히 권위를 지닌 윗사람에게는 말을 삼가는 태도를 예의로 여겼다. 이런 가르침은 우리에게 논쟁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만들었다. 의사를 표현하고 이들을 모아 확인하지 않고서는 구성원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으며 이들 중 어떤 것이 최선인지 우리는 알 길이 없다.-37쪽
논쟁에 참여하려면 현실을 관찰하고 인지할 수 있는 능력, 글을 읽고 동의나 반대를 표명하며 해설할 수 있는 능력, 주제에 대해 연구하여 새로운 지식을 발표할 수 있는 능력, 사실만을 모아 논리 정연하게 자신의 주장을 펼 수 있는 능력, 청중/독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말과 글을 이용하여 청중/독자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또한 필요한 시기에 최적의 주장을 할 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해 주장에 대한 타당한 이유와 근거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청중/독자들을 설득하여 행동에 나설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40-41쪽
논쟁이란 개인이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한 평화적 수단이다. 바라는 바가 학자처럼 진리를 탐구하는 추상적인 것이든, 정치인처럼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이든, 개인은 뜻을 세우고 이를 성취하려고 논쟁에 참여한다. 그래서 의사 표시 방법을 개발하여 청중을 1)설득하고, 2)벌어진 일을 평가하여 알려주고, 3)문제를 보여준 후 최선책을 제시하고, 4)어떤 현상에 대해 원인을 알려주기도 하고, 5)의사를 결정하지 못하는 청중과 독자들에게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서 사실을 제시하기도 하며, 6)알려지지 않았을 뿐인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7)새로운 그 무엇을 소개하며, 8)상대방과 절충을 모색하기도 한다. -41-42쪽
논쟁 없이 민주주의 없고, 민주주의 없이 논쟁도 없다. 이들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가 사는 사회에는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과 권익이 존재한다. 이것들은 때로 충돌하기도 한다. 민주주의는 모든 이들의 목소리를 듣는 제도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상충되는 의견들로 매우 시끄럽다. -46쪽
논쟁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만드는 작업을 비유적으로 소개한다면, 강가에 있는 무수한 조약돌 가운데 자신의 목적에 따라 자신이 필요한 것만을 세심하게 골라 이것을 정성스럽게 다듬어 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고, 완성한 뒤에는 이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관심을 끌어 판매하는 행위와 같다고 하겠다. -60쪽
이슈가 되기 위해서는 사안이 먼저 중대해야 하고, 글을 쓰는 이가 그 사안을 이슈가 된다고 판단해서 텍스트나 메시지로 작성해야 하며, 제시된 메시지에 독자/시청자들이 관심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62쪽
창대는 잘 쉴 수 있도록 적합해야 하고, 창의 끝은 날카로워야 한다. -72쪽
작가가 글로 주장을 전달할 때는 독자들이 눈앞에 없다. 따라서 자신이 대상으로 삼는 독자들이 어떤 성향을 지니고 있는지 미리 가정해야 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청중들과 마찬가지로 이들이 우호적이거나 적대적인지, 혹은 중립적이거나 아예 무관심한지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과 유대 관계를 강화한다거나, 설득하면서 화해의 제스처를 보내거나, 타결점을 모색하거나, 혹은 나의 편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아니면, 관심을 갖게 하는 특단의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메시지의 형태를 다르게 준비해야 한다.-96쪽
"글을 쓸 때 작가는 자신의 독자들이 누군지 알 수 없으므로 항상 그들이 누구인지를 상상하면서 이들에게 글을 쓰는 것처럼 해야 한다."(월터 옹)-102쪽
나의 편에 서 있는 많은 이들은 주제에 대해 어느 정도 수준의 정보/지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실망시키지 않으려면, 첫째, 적극적으로 새로운 정보를 발굴해서 제대로 알려주어야 한다. 이때 주제에 연관된 과거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희망적인 사항들을 언급하는 게 좋다. 좋은 법안이 제출되었다든지, 재판이 이미 끝나서 결과가 유리하게 작용한다든지, 새로 발표된 통계 수치가 합의를 본 관점을 보강한다든지 등이다. 이런 사항들을 제시함으로써 연사/작가는 청중/독자에게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려는 의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런 노력은 독자와의 유대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109쪽
논쟁은 자신의 언어로 해야 한다. 자신의 언어를 사용하는 첫 번째 방법은 스스로 생각하고, 이를 자신의 말/글로 옮기는 것이다. 이런 능력이 있으면 표절을 방지할 수 있다. 표절이란 남의 생각과 문장 혹은 작품을 출처도 밝히지 않고, 마치 자신의 것인양 도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원래 이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유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남의 생각과 말/글을 무단으로 사용하면 아이를 납치하는 범죄와 같다는 소리다. 우리는 표절을 단지 남의 것을 있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인용하지 않은 경우라고 착각한다. 하지만 표절의 범위는 훨씬 넓다. 남의 말/글을 해석한다거나 설명하여 소개할 때에도 인용은 필수적이다. 만약 인용을 누락하면 이도 표절에 해당된다. -267-268쪽
생각하고 쓰는 능력을 갖춰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표현하려면 오랫동안 많이 읽고 많이 습작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경지에 오르려면 여러 능력들을 고루 갖추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관찰력, 독해력, 사고력, 분석력, 종합구성력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현실을 적합한 단어를 찾아 표현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한다. 이에 더하여 언어를 문법적으로 바르게 사용할 줄도 알아야 한다. 이는 읽고 쓰기를 연습하는 동안에 길러진다. -269쪽
논쟁의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일은 위의 능력들이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내는 오케스트라와 같다. 훌륭한 곡에 대한 연주 능력은 이를 완성하는 과정이 그리 만만치 않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길러지지 않는다. 표절을 통해서는 청중/독자를 설득할 수 없다. 만약 발각되면 인격(이토스)에 손상을 입어 신뢰를 잃는다. 신뢰가 없이는 독자들에게 내 말을 믿으라고 아무리 호소해도 외면 당하게 마련이다. -269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