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하반기 조금 비싼 녹음기를 하나 샀는데, 이걸 아직 제대로 써먹지를 못했다. 이번에 김상봉 선생님 강연에 가서도 손으로 필기도 했고, 귀로도 열심히 들었지만, 그 울림을 남기고 싶어서, 녹음기를 가져갔다. 한번은 녹음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었고, 한번은 녹음기가 방전된 상태였고, 한번은 야근하느라 못갔고, 한번은 녹음버튼과 정지버튼을 헷갈려서 강의 내내 정지상태로 있다가 쉬는 시간에 녹음버튼이 눌러졌고, 마지막 한번은 가방 속에서 며칠 동안 내내 켜져있어서 결국 또 녹음을 못했다. 그러니까 결론은 한 강도 녹음을 못했다. 다음주에는 선생님께서 베트남에 세미나 가시고, 다담주에 또 씨알재단에 강의를 하러 오시는데, 그때는 모두 녹음을 해야겠다.

  이번 강의는 20세기 한국 철학을 돌아보는 시간이었고, 다음 강의는 그 중 한 분인 함석헌 만을 5회에 걸쳐서 다루신다. 이번에는 함석헌, 유영모, 박동환 세 철학자를 말씀하셨는데, 함석헌 이외에 두 분 유영모와 박동환은 처음 들어보는 철학자였다. 유영모에 관해서는 그래도 여기저기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은데, 박동환에 관해서는 전혀 정보가 없다. 개인적으로는 선생님의 학창 시절 스승님이었다고 하는데, 선생님께서 지향하시는 바와는 상반된 철학을 하시는 분이라고. 그치만, 나와 같지 않다고 해서 그를 대단하지 않다고 말할 수는 없는 법, 선생님께서는 철학자 박동환을 높게 평가하신다. 인터넷 서점에서 '박동환' 세 글자를 치면 저서가 두 권 나오는데, 구할 수 없는 책들이다. 선생님께서는 세 권 말씀하셨다. 헌책방에 혹시 있을까 해서 고고북으로 검색했는데 없다.  

  강의 시간에, 또 술잔을 기울이며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느낀 바 중 하나는, 우리네 현실에 기반한 철학을 해야 한다는 것. 철학, 사회학, 정치학 등 인문/사회 과학을 공부함에 있어 너무 서양의 지식 흐름을 따라가려는 노력만을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네 현실과 그네들의 현실은 분명히 다른데. 물론! 그네들의 현실에 기반한 말말말들을 우리말로 번역해 전파하면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서구 대가들의 번역서가 꾸준히 나오고, 세미나가 이루어지는 것도, 결국 거기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을 것이다. 그런데, 가끔 우리는 중요한 걸 잊는 듯 하다. 정확히 옮기고 전파하고 그들을 따라가는데 급급한 듯 하다. 이렇게 지금 따라간다고 하지만, 자칫 지금뿐 아니라 평생 따라가기만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우리네 철학, 우리네 사회학, 우리네 정치학, 우리네 역사학이 필요한 것이다.  

  레비나스의 윤리에 대해 사람들이 찬사를 보낸다. 그런데, 레비나스가 인터뷰에서였는지, 책에서였는지 어떤 말을 했는데 - 아, 정확한 문구가 기억이 안난다. 이런. - 선생님께서 전달해주신 그 말을 듣고서 그의 철학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정확히 기억이 안나서 답답한데 - 저질 기억력은 여기서 또 훼방을 놓는구나. - 레비나스를 읽을 때 그 부분을 잊지 말고 염두에 두고서 읽어야겠다. 또, 촛불집회 시즌1(2008년 5월~9월) 동안에 나왔던 논의 중 프랑스의 68혁명과 비교해서 이로부터 교훈을 얻고, 앞으로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보였는데, 이건 아니라고 하셨다. 나도 머릿속으로 프랑스의 68혁명이 이땅에서 재현될까, 생각했던 사람 중 한 명인데, 우리네 운동은 우리의 과거 역사적 현실과 비교해 이야기를 해야 맞다고 하셨다. 동학운동이나 4.19, 5.18, 6월 항쟁, 그리고 미선이효순이 촛불집회와 관련해서 이야기를 해야지, 외국의 사례를 근본 바탕에 두고 이야기를 해서는 안된다는 말씀이셨다. 끄덕끄덕.  

  자칫 잘못 들으면 선생님께서 외국의 모든 이론과 역사적 사례들을 거부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그건 아니다. 그건 참고사항일뿐 우리가 논의해야 할 기본 바탕이 아니라는 말씀이실 것이다. 현실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우리네 과거로부터 그 교훈을 얻고, 문제점과 해결방안, 앞으로의 진행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는 말씀일게다. 선생님께서 계속 고민하고 연구하시는 것, 또 그 결과물로 내놓은 <서로주체성의 이념>이나 <나르시스의 꿈>은 모두 여기에 닿아있다. 서구의 철학의 한계점을 넘어서서 우리네 철학을 하기 위한 기초 세우기 작업인 것이다. 작년에 나왔던 <5.18 그리고 역사>는 그 고민을 우리네 역사적 현실에 접목시킨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부끄럽게도 선생님을 마음 속의 스승으로 모시면서 아직까지 선생님의 모든 저작을 읽지는 못했다. 열심히 쫓아다님과 동시에 책읽기도 부지런히 따라가야 할텐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9-02-09 13: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09 13: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라 2009-02-10 0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부럽네요. 김상봉 선생님 강의 한번 들을 기회 있었으면 좋겠어요

마늘빵 2009-02-10 09:02   좋아요 0 | URL
저도 뵌 적은 있어도, 강의를 들은 건 처음이에요. 기회가 잘 없으니. 강의도 강의지만 술자리도 좋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