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 개정증보판 정재승의 시네마 사이언스
정재승 지음 / 동아시아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 정재승씨야 이미 언론에 많이 노출되었고, 그의 다른 책 <과학콘서트>가 티비 책 소개 프로그램에 한번 뜨면서 유명해져, 그의 '책'은 몰라도 그의 '이름'은 한번쯤 다 들어봤을 것이다.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는 정재승씨가 예전에 대학원 시절부터 <과학동아>에 '시네마 사이언스'라는 코너에 연재하던 글들을 기초로 하여 보완/보충하여 엮어낸 책이다. 철학과 영화의 결합은 더 이상 특별한 만남이라 볼 수 없고, 이제는 과학과 영화의 새로운 만남이 시도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다른 분야들간의 이종교배가 이뤄지기 전인 1999년에 이미 만들어져 최근의 추세보다 먼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 과학기술부인증우수과학도서'라는 마크기 찍혀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다 읽고 난 나로서는 인정하기 힘들다. 내용이 깊이있지도 않으며 무엇보다 영화 속의 실수, 오류 잡아내기에 주력하고 있는 책의 내용들이 썩 유쾌하지 않다. '오류를 잡아내기 위해 잡아내는 글'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399쪽에 달하는 상당한 두께의 책에서 그는 꽤 많은 영화들을 통해서 독자에게 과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인상을 전해주기보다는 영화 속 과학적 오류 잡아내기에 집중하고 있다. 책의 앞부분에서 뒷부분으로 넘어갈수록 그래도 좀 나아지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그와 같은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대중이 과학에 좀 더 쉽게 다가가기 위해 영화를 매개로 삼아 작업한 것이라면, 프로젝트는 실패했다. 99년부터 17쇄를 찍었다고 하는데 이 책이 인기를 끈 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정재승'이라는 이름의 유명세가 그리 만든 듯 하다.

  글 자체를 놓고 봤을 때도 그다지 질적으로 우수하다고 할 순 없다. 역시 후반부의 글들은 괜찮지만 전반부의 글들이 문제다. 아마도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그 당시 저자가 텀을 두고 작성했을 가능성이 많고 - 연재물이다보니 - 이후에 추가 작성된 글들은 저자 개인의 역량이 좀더 발전한 상태에서 작성되었기 때문에 괜찮겠지만, 초반의 글들은 아니올시다이다. 연재물을 그대로 싣지 않고 다시 한번  손보면서 대거 수정/보완했다면 더 좋은 글들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베스트셀러가 된 그의 <과학콘서트>는 재밌게 봤지만, 이 책은 아니다.

  p.s. 과학과 영화의 교배작으로는, 현재 한국일보에 주일우씨가 과학@영화 라는 제목으로 매주 연재하고 있는 글이 마음에 든다. 아직 10여회 밖에 작성하지 않았고, 또 그가 스스로 책으로 엮어낼 의지가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과학@영화 시리즈가 하나의 완성된 책으로 묶어져 나오길 희망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넛공주 2007-05-06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하신 컬럼부터 읽어봐야겠네요.

마늘빵 2007-05-06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한국일보 주일우씨 칼럼 매주 보고 있습니다. 분량도 많아요.

마늘빵 2007-05-06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일보 사이트에서 문화면 들어가시면 왼쪽에 연재물 메뉴 나올 겁니다. 거기에 과학@영화 로 들어가세요.

책읽기는즐거움 2007-05-11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아프락사스님 제생각과 약간 다른 부분이 있는것 같아서 글을 올려봅니다,
저도 정확히 몰라서요. 물어볼겸 해서요^^
윗글 중에서
'정재승'이라는 이름의 유명세가 그리 만든 듯 하다.
라는 부분이 있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위책이 출판되어 잘팔렸기때문에 정재승이란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된게 아닐까요? 물론 2000년대 초반부터는 정재승이란 이름때문에 책이 많이 팔렸겠지만요.
그리고 몇년전부터는 여러곳에서 영화와 과학을 접목시켜 어느 수준이상의 글이 많이 나오기시작했는데 99년 그 당시에는 정재승씨 정도의 수준으로 영화와 과학을 접목시켜 글을 적을 사람은 별로 없었습니다. 제가 이쪽에 관심이 많아 당시에 열심히 찾아 보았던 기억이 나는데 대부분의 글이 과학적 설득력이나 구성력에서 떨어지는 글이었습니다. (굳이 꼽자면 딴지 일보에서 좀 괜찮게 적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외에는....-_-;;:)

책읽기는즐거움 2007-05-11 2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정리하여 말해본다면 그 텍스트 자체로만 놓고 본다면 물론 요즘의 기준으로 만족하기 힘든 책일 수도 있지만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서 생각해보면 이런쪽의 글을 어느정도 대중화시키는데에 공헌했다고는 볼수 없을까 생각해서 글을 올려 봅니다.^^ 뭐든지 첫걸음이 힘든 편이 잖아요ㅋ
대중에게 이책이 끼친영향도 무시할수는 없고요ㅋ
그리고 솔직히말해, 그동안 과학과 영화를 접목시켰다는 미명하에 나온 책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런데도 10년전의 글에 비해 요즘 신문에 기재되는 생생한 글이 큰 차이를 보이지 못한다면 그거야 말로 글 쓰는 사람들이 통렬히 반성해야 할 부분이 아닐까요?^^

그냥 아프락사스님의 글을 읽으니 여러가지 생각과 궁금증이 나서 끼적끼적ㅋㅋ
거려 봤습니다. 부드럽게 봐주세요^^

책읽기는즐거움 2007-05-11 2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참, 그리고 덧붇이면 처음시도 되는 분야의 글을 쓰는데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갈수 있으려면 영화에 사용된 과학적 원리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글을 써내려가는것 보다는 오류를 짚어내며 글을 쓰는 게 더 나은 선택이 아니었나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오류만 그렇게 잡아내지도 않는데 초반에 그런 관념이 박혀 있으니 님께서 책을 읽으시면서 계속 그렇게 생각하신게 아닌가 생각도 해봅니다.(물론 아닐수도 있어요^^;;;;) 좀 글의 순서를 잘만 배치했더라면 아프락사스님이 더재밌게 책을 읽으시지 않으셨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런데 제 기억으로는 분명히 한챕터안에 오류도 잡아내고 그 영화의 다른 부분에서의 과학적 원리도 설명했었거든요. 오류만 냅다 잡아낸 부분은 없었던걸로 기억하는데,,,,아무래도 제 기억이 조작된듯 하네요;;; 그리고 제가 보기에는 비전공자는 그 잡아낼수없는 부분들을 잘 잡아 냈었다는 기억도 있는데 오래되어서 책을 봐야지만 그부분이 어딘지 기억해 낼수 있겠군요ㅜ.ㅜ이런 기억력이 점점 쇠퇴하는듯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