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22 예스24 영화
http://movie.yes24.com/movie/movie_memwr/view.aspx?s_code=SUB_MEMWR&page=1&no=14446&ref=33&m_type=1
* 스포일러 경고
그냥 이렇게 묻혀지기엔 아까운 영화다. 상영하는 곳이 전국에 몇 군데 없는데다가, 그마저도 언제 간판을 내릴지 모르는 비주류 영화인지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접하게 될지 모르겠다. 하지만, 정말 보고 후회하지 않는 영화. 내 인생의 영화 5편 안에 까지는 아니더라도 10편 안에는 포함시킬 수 있는 영화. 당신이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했었고, 사랑할 사람이라면, 또 사랑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뭐 이런 영화를 추천하고 그래, 라고 툴툴 거리지는 않을 것이다.
" '비포 선라이즈' 보다 솔직담백하고, '비포 선셋' 보다 가벼운 영화' "
<낯선 여인과의 하루>와 <비포선라이즈> <비포선셋>은 분위기가 너무나 다르지만 통하는 면이 있다. 분명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이 말에 공감할 것이다. 확실히 <비포 선라이즈>보다는 솔직담백하고, <비포선셋>보다는 가볍다. 동시에 두 영화와 비교할 수 있다는 건 <비포 선라이즈>에서의 남녀의 만남과 헤어짐에서부터 <비포 선셋>에 이르기까지의 9년의 공백 후의 만남과 헤어짐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말.
작년 한해 철학자 알랭 드 보통의 책들이 사람들에게 꽤나 인기를 끌었더랬다. 그 중에서도 특히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와 <우리는 사랑일까>는 그의 작품 중 탁월하다. 에세이라 보기에도 어렵고, 연애소설이라 보기에도 어려운, 또 철학서라고 보기는 더더욱 어려운, 이 셋의 어느 중간즈음에 위치한 책인데, 에세이나 연애소설이나 철학서, 셋 중 '두 가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라면 좋아할 만한 작품이다. 그러나 셋 중 어느 '한 가지만' 좋아하는 독자라면 실망하게 될 것이다.
알랭 드 보통 이야기를 꺼낸 것은,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읽었을 때의 느낌과 <우리는 사랑일까>를 읽었을 때의 느낌은 다르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다. 두 책을 읽은 다른 독자들은 어떻게 느낄지 모르겠지만, 나는 이 책들을 두고 전자는 20대 초반의 나이에 막 사랑을 시작하는 연인들이 읽었음 좋겠고, 후자는 20대 중후반즈음의 나이에 어느 정도 만남과 헤어짐을 경험하고, 이별의 쓴 맛을 경험한, 연애의 시작과 끝이 어느 정도 익숙한 이들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비슷하게, <비포 선라이즈>와 <비포 선셋>은 실제로 9년간의 텀이 있는 만큼, 전작을 본 후 9년 뒤에 다시 보면 좋겠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배우들도 9살을 더 먹었고, 9년 만에 다시 만나 연기를 했으며, 영화 속 설정 또한 9년 뒤의 모습이다. 20살과 29살은 매우 다르다. 좋아하지만 좋아한다 표현하지 못하고, 그 혹은 그녀에게 다가서지 못하는 20살과, 좋아하면 좋아한다고 말 할 수 있고, 사랑을 표현할 줄도 아는, 그리고 만남에서 헤어짐의 과정이 반복되는 학습효과로 인해 더이상 생소하지 않은 29살은... 다르다. 한편, <낯선 여인과의 하루>는 <비포선셋>보다 조금 더 세월을 타고 간다. 그것은 영화의 주연배우의 물리적 나이 때문이기도 하지만, 영화 속 사랑의 느낌이 지니는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
* 분홍색 꽉끼는 신부 들러리복 입고 삐딱하게 외딴남을 바라보고 있는 여자와 잘입은 양복 주머니에 손 꾹 찔러넣고 삐딱한 외딴녀를 바라보는 남자.
영화는 어느 결혼식 피로연 파티장을 배경으로 한다. 사람들의 시선이 신랑과 신부에게로 집중되어 있는 이때, 카메라는 외딴 두 남녀에게 시선을 집중한다. 훤칠하게 잘 생긴 외딴 남자가 핑크색 들러리 드레스를 입은 외딴 여자에게샴페인 한잔과 말을 건넨다. "고맙지만 됐어요" "담배는 하면서 술은 싫다?" 친절한 사양과, 작업과 딴지의 어느 중간쯤 있는 멘트로 시작된 두 외딴 남녀의 대화는 우리를 어느 호텔방으로 안내한다. 그래 원나잇이다. 그런데 이들은 아무 일도 없다는 듯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흔히 20대에는 사랑을 배우고, 30대에는 사랑을 안다고 말하던가. 그것은 키스를 하고 섹스를 하느냐, 섹스를 하고 키스를 하느냐의 차이가 아니다. 사랑은 섹스가 아니고, 섹스도 사랑이 아니다. 스킨쉽의 농도를 가지고 사랑을 배운다, 사랑을 안다고 말하는 건 너무나 차원 낮은 사고방식이다. <낯선 여인과의 하루>는 30대 중후반의 남녀의 사랑을 그려내지만, 사랑을 배우는 20대와 사랑을 아는 30대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영화다. 외딴 남녀 간의 쉴새없는 수다는 피로연장에서 호텔방으로 우리를 안내했고, 장소의 바뀜에 굴하지 않고 수다는 끊임없이 지속된다.
* "고맙지만 됐어요" 하던 여자와 "담배는 하면서 술은 싫다?"고 하며, 재치넘치는 대화를 수고 받던 두 사람은 이제 온힘을 다해(?) 키스하고 있다.
"당신 피부 푸석푸석해" "당신은 냄새나. 그리고 배도 나왔네?" 아니 이게 처음 만난 외딴 두 남녀가 호텔방에서 섹스를 하며 나눌 말인가. 서로의 신체에 대해 칭찬을 퍼부으며 서로의 몸을 탐닉해야 할 두 사람은 서로에게 비방 아닌 비방을 하고 있다. 아니 원나잇하러 호텔방 들어왔는데 하겠다는거야 말겠다는거야. (뭘?) 두 사람의 대화는 너무나 솔직하고 꾸밈없다. 있는 그대로 보이는 그대로 느끼는 그대로를 서로에게 내뱉는 두 사람은, 어느새 나의 과거에 대해, 당신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때 그날 우리의 만남과 첫 키스, 사랑, 첫 섹스, 그리고 갑작스런 이별. 모든 것이 무서웠다. 그래서 떠났다. 남은 자는 놀랐고 울었으며 괴로웠다. 떠난 자도 남은 자도 상처를 안은 채 살아왔고, 현실을 받아들였으며, 각자의 인생을 걸었다.
그 남자는 옷 잘 차려입은 변호사이고, 뮤지컬(?)을 하는 이쁘고 아름답고 나이 어린 여자친구가 있으며, 그 여자는 능력 좋은 심장전문의를 만나 결혼했고, 그의 아이를 키우며 그럭저럭 인생을 살아왔다. 그 남자는 전보다 배가 나왔고, 긴 머리는 짧은 머리로 변했으며, 여전히 열정을 가진 매력남이었고, 그 여자는 친하지도 않은 친구의 빠꾸놓은 8명의 예비들러리들을 제치고, 9번째 들러리로 식장에 들어선, 담배 뻑뻑 피워대고 피부는 윤기를 잃었지만 여전히 도도하고 "아무도 없는 호텔방에서 외로운 남녀가 뭘할까" 하고 작업을 걸줄도 아는 용기(?)도 가졌다.
<비포선라이즈>와 같은 원나잇이지만, 그들의 어색함과 풋풋함이 아닌, 농후하고 진하며 어색하지 않고 가볍다. 원나잇을 처음 해보는 자와 원나잇을 여러본 해본 자의 경험상의 차이는 절대 아니다. 제시와 셀린이 각자 원나잇을 몇번해봤는지, 이름없는 이 두 남녀가 각자 원나잇을 몇번해봤는지는 나는 모른다. 모두가 경험자일수도 모두가 초짜일수도 있다. 무엇이 이름없는 두 남녀의 호텔방을 그리 만들었을까. 서로에게 농을 던지고, 솔직하게 못난 신체에 대해 말할 줄도 아는, 위트와 재치가 어우러지는 이들의 대화 아니면 수다는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만났고 사랑했고 함께 했지만 헤어진 남녀는, 만났고 대화를 나눴고 하룻밤을 함께 했다. 그리고 여자는 집으로, 남자도 집으로. 헤어진 남녀가 만나 사랑을 나누고, 그간의 이야기를 풀어놓고, 해뜬 아침 서로의 자리로 돌아간다. 공허한가. 허무한가. 왜, 라고 질문하고 싶은가. 모든 의문을 참아주기 바란다. 그것이 사랑했다 헤어진, 지금은 각자의 자리를 가진 남녀의 사랑일지니. 세월은 그와 그녀에 대한 기억력을 훼손시켰고 우리는 서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기억의 조각들을 짜맞추며 만남에서부터 헤어짐까지의 일치된 줄거리를 만들어냈다. 그건 파란색 땡땡이 원피스였어, 아니라고 나는 검정색 나비 넥타이를 하고 있었다고. 그것이 뭐 그리 중요하냐. 줄무늬면 어떻고 빨간색이면 어떻고 니트면 어떻고 일반 넥타이면 어떠랴. 내가 사랑한건 너였고, 니가 사랑한건 나였잖냐. 그럼 됐잖냐. 영화를 통해 당신의 헤어진 그 혹은 그녀와 만나기 바란다. 그리고 현재 당신이 사랑하는 그 혹은 그녀와 만나기 바란다. 남은 것은 그것뿐. 여기까지.
* '칼럼'이라고 붙여져있지만, 형식에 얽매이는 글을 쓰진 않습니다. 칼럼이면 칼럼이고, 리뷰면 리뷰고, 것도 아니면 아닌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