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일러 경고

  전쟁 영화 좀 봤다 하는 사람들은 이 영화를 보면 꼭 반드시 떠올리는 영화가 있다. 너무나 흡사한 스토리 라인과 격전과정, <태양의 눈물>은 2001년 개봉한 <블랙호크다운>과 쌍둥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너무나도 비슷한 구조를 지닌다. 하지만 <블랙호크다운>이 개봉했을 당시 흥행성적이 박스오피스 1위로 8주간 지속되었던 반면, <태양의 눈물>은 첫주 2위에 올랐으나 이후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고 한다.  <블랙호크다운>을 전편이라고 봤을 때, 후편인 <태양의 눈물>은 소말리아 대신 나이지리아를 택했을 뿐 스토리의 목적은 변함없다.



* 레나 켄트릭스 박사와 그녀의 환자들. 저 아프리카 사람들은 알까. 이 영화가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영화 엔딩 크레딧에 이름 한번 올리지 못할 사람들이지만 저 사람들의 연기도 매우 좋았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제작사(정확히는 제작사와 미국방부)는 그들에게 무엇을 대가로 영화에 출연해달라 말했을까. 음식일까 아니면 의료품?

  레나 켄트릭스 박사를 구출해오는 것이 임무였고, 임무를 무사히 달성할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나의 애원과 두고 온 마을의 참혹한 실상을 하늘에서 보게 된 워터스 대위는 헬기를 돌려 함께 먼 길을 걸어온, 그대로 내버려두면 반군에 의해 살육당하는 그들을 살리기 위해 위험을 무릅서기로 한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는 나중에 판단하자, 나도 내가 왜 이러는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더이상 저들을 두고 갈 순 없다, 그들을 구하기 위해 카메룬 국경까지 우리는 함께간다.

  함께 먼 길 떠난 레나 일행 속에 누군가 첩자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어찌 반군의 추격군이 잠도 자지 않고 우리를 추격한단 말인가. 그들이 쫓는자 누구인가. 레나 박사를 구하기 위해 파견된 네이비씰은 이제 어느덧 나이지리아의 암살당한 대통령의 외아들을 보호해야 하는 임무를, 또 함께 가는 저 많은 사람들을 살려 국경을 통과해야 하는 임무를, 떠맡게 되었다. 위에서 명령한 것도 아닌데, 오히려 대령의 명령을 어겨가면서 워터스 대위는 그들의 유능하고 충실한 부하들을 이끌고 자신의 선택에 책임지기 위해 목숨을 던졌다.



* 오른쪽에 워터스 대위역의 브루스 윌리스. 그의 똥씹은 듯한 표정은 참으로 다양한 영화에 그의 얼굴을 들이밀게 한다. 개인적으로 브루스 윌리스에 대해서는 (어디서 기원했는지 모를) 약간의 호감을 가지고 있지만 그가 출연하는 매 영화마다 그의 똥씹은 같은 표정을 보는건 이제 좀 질렸다. 그는 왜 한결같이 똥씹은 표정일까. 한 가지 표정으로 다양한 영화에 출연할 수 있다는 사실도 놀랍다. 55년생인 그도 이제 나이 꽤나 먹었는데 아직도 몸을 던지는 액션연기가 가능하다니 대단하다.

  마지막으로 너희들의 의견을 듣고싶다. 나는 저들을 그냥 두고 갈 수 없다. 너희들은 어떻게 생각하느냐. 우리 전쟁이 아니라 생각하지만 대위님을 따르겠습니다. 저들을 두고 갈 수 없습니다, 더 이상 짐짝 취급하기 싫습니다, 그들이 죽으면 저도 죽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살면 저도  삽니다, 아 이 눈물 겨운 현장이라. 자신의 목숨을 버려가면서 먼 이국 땅에서 자신을 따르는 무리를 살리기 위해 목숨을 버리다니. 

  정말, 영화 보는 내내 네이비씰 대원들의 그들에 대한 동정, 애정, 연민을 느낄 수 있었고, 심지어 눈물까지 흐른다. 무참히 도륙당하는 마을 주민들의 모습과, 아이는 내던져져있고, 엄마는 반군에게 가슴을 도륙당한 채로 목숨만 붙어있다. 누구는 휘발유에 불태워지고, 누구는 질질 끌려다니며 강간당하고, 누구는 칼에 찔려 죽고, 누구는 반군 앞에 춤추며 죽어간다. 영화는 선악의 구도를 확실하게 감잡게 해준다. 무참히 주민들을 살해하는 반군은 악의 화신이요, 소수의 인원으로 그들을 처단해 주민을 구출하며 눈물 흘리는 미군은 정의의 사도다. 아 진짜 나도 영화 보면서 눈물 흘리지만 내 눈물이 역겹다.  

   영화를 볼 때 꼭 알고 봐야 할 것 하나는 2001년말 선보인 <블랙호크다운>이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대 테러전을 수행하기 바로 직전에 개봉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2003년 초  <태양의 눈물>은 미국의 이라크 전을 앞두고 개봉되었다. 이 두 영화의 의미는 아프리카에서 행해지는 참혹한 전쟁의 실상을 알리고 핍박받는 그들을 구출해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그들 국가에 대한 전쟁선포를 정당화하는데 있다. 두 영화 모두 미 국방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만들어진 영화이며, 아프리카에서 인민들을 이끌고 반군에 저항하는 스토리는 마치 미국이 정의의 사도인양 묘사되고 있다. 순수한 전쟁 영화로서 볼 영화는 절대 아니다. <태양의 눈물>은 2001년 당시 <블랙호크다운>으로 인해 대 테러전의 국민 지지율이 올라갔다고 판단, 이라크 전을 앞두고 다시 한번 같은 수법으로 지지율을 상승시키려는 미 부시정부의 전략이다. 

  미국은 자신들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을 영화를 통해 정당화시키고 있다. 남의 땅에서 내정간섭한다는 반론은 그냥 그렇게 넘긴다쳐도, 미군이 정말 그들이 주둔하며 전쟁을 치룬 그 국가들에서 영화와 같은 외딴 민족에 대한 동정심과 애정과 연민의 마음을 가지고 그들을 대하는지 의문이다. 영화 속 반군처럼 젊은 여자애들 강간하지 말고, 너희들 앞에서 춤추며 쇼하라고 하지 말고, 아무런 이유 없이 두건 씌워놓고 러시안룰렛 놀이 하지 말고, 의심스럽다는 이유로 아무렇게나 살해하지나 말아라. 한참 이라크 전쟁이 진행 중일 때 언론을 통해 사진으로 전해진 영국군과 미군이 행한 그 참담한 실상은 어찌 설명할 수 있을까. 영화 속 반군의 모습은 그 사진의 영국군과 미군의 모습과 별로 다를 바 없던데.

 
p.s. 순수하게 즐기는 전쟁영화로 봤을 때 - 이 영화에 담긴 이러한 정치적 의도를 빼놓고 본다는 것이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 <태양의 눈물>은 <블랙호크다운>보다는 확실히 떨어진다. 사실감과 긴장도와 눈물 자아내는 극적장치면에서도. 그러나 두 영화 모두 '순수하게 즐기는' 전쟁영화로 봤을 때 합격점을 줄 만하다. <태양의 눈물>의 안톤후쿠아 감독과 브루스 윌리스 주연은 <블랙호크다운>의 리들리 스콧 감독과 이완 맥그리거, 에릭 바나 주연보다 캐스팅 면에서도 떨어지지만, 두 영화만을 놓고 비교하지 않고, 모든 전쟁영화를 통틀어 본다면 둘 모두 만족스럽다. 재밌는 사실 한 가지는, 한스 짐머라는 음악감독이 두 영화의 음악감독을 맡아 작업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1-22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근에 케이블 TV에서 몇차례 방영하더군요.
말씀처럼 선악의 구도와 결말이 뻔한 영화이므로 몰입이 좀 어려웠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