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이 일단 결정되고 나면 그 과보는 피할 수 없다. 그것은 절대로 그냥 소멸되지 않는다. 언젠가는 업을 지은 사람에게 그 결과가 나타나고야 만다. 여기에는 어떠한 예외도 있을 수 없다. 「법구경」에서는 이것을 "하늘에도 바다에도 산중 동굴에도 사람이 악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곳은 아무 데도 없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업은 개인의 의지작용에 의해 짓는 것이므로 전적으로 개인적인 것이다. 자신이 지은 업을 다른 존재에게 이전시킬 수 있다거나 다른 사람이 지은 업의 과보를 자기가 대신 받을 수는 없다. 설사 그것이 선업의 과보일지라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업의 원리를 ‘자신이 짓고 자신이 받는 원리’, 즉 자작자수의 원리 또는 자업자득의 원리라고 하는 것이다. - P117
왕사성의 비극이라고 불리어지는 연유는, 이 경의 첫머리에 태자 아자따사뜨루가 그 아버지를 가두고 어머니마저 가두어 버리고, 감옥에 갇힌 어머니가 부처님을 부르는 장면이, 현대에도 있을 수 있는 비극적인 사건이기 때문이다. 아자따사뜨루가 그런 끔찍한 사건을 왜 일으켰는지에 대하여 경에서는 말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먼저 그런 비극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보도록 하자. 이 부분은 「아사세왕국경」을 비롯하여 여러 경전에 언급되어 있는 것을 발췌하도록 하자. 마가다국의 왕인 빔비사라왕은 어진 정치를 펴고 국민의 절대적인 신망을 받고 있는 왕이었다. 부처님께 귀의하여 항상 진리에 접하였으며, 곁에는 언제나 아름답고 총명한 왕비 위제희 부인이 있었다. 이 세상에 행복이라고 이름 지을 수 있는 것은 모두 갖추고 있었다. 단 한 가지 나이가 이미 50을 바라보는 데도 불구하고 아직 슬하에 아들이 없다는 게 흠이라면 흠이었다. 그래서 하루는 점 치는 사람을 불러 점을 치게 하였더니, ‘안심하십시오. 반드시 왕자를 얻게 됩니다. 저 건너 산에서 수행하고 있는 선인(仙人)이 있는데, 그 선인이 수명이 다하면 부인의 몸에 왕자로 잉태될 것입니다. 그것은 앞으로 3년 후의 일입니다.’라고 대답하는 것이었다. 왕비는 대단히 기뻐하였지만, 그 아이가 태어나는 것은 앞으로 3년이나 지나야 한다는데, 그것은 너무나 긴 시간이었다. 왕비는 이미 40이 넘은 여성으로서 도저히 3년을 더 기다릴 수는 없었다. 여러 모로 생각한 끝에 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3년 후에 아이를 갖게 된다는 것은 선인이 앞으로 3년을 더 산다고 하는 말이지요. 그 말은 바꿔 말하면 그 선인이 죽기만 하면 곧 태자로 태어나게 된다는 말입니다. 그 선인도 나이 들어 그렇게 서글프게 사는 것보다는 하루라도 빨리 태자로 태어나는 편이 훨씬 나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참으로 무서운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왕은 곧 사신을 보내서 그 선인을 죽였다. 그러나 아무리 선인이라고 하더라도 목숨이 아깝지 않은 사람은 없다. 죽음에 임해서 그 선인은 원한을 품고 반드시 두 사람에게 원수를 갚을 것을 다짐하였다. 그런 저런 일이 있은 다음달에 부인은 아이를 갖게 되었다. 위제희 부인이 아이를 갖게 되었다는 소식은 금방 온 성 안에 퍼졌다. 왕을 비롯하여 모든 국민이 기뻐하였으며, 그렇게 세월은 흘러갔다. 이윽고 해산달이 다가오자 왕은 다시 점을 치도록 하였다. 점 치는 사람은 점괘를 보고는 안색을 바꾸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분명히 왕자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이 아이는 두 분을 몹시 원망하고 있으며, 성인이 된 다음에 반드시 두 분에게 복수할 것입니다.’ 이 말을 들은 왕과 왕비는 매우 두려워하였다. 잔인하게도 자기네의 행복을 위해 무고한 선인을 죽인 일이 있으며, 그 선인이 죽음에 임해서 복수하겠다고 다짐했던 일이 생생하게 떠오른 것이었다. 그로부터 매일 밤마다 그 선인이 꿈에 나타나서는 무서운 형상을 하고서 복수하겠다고 소리치는 것이었다. 왕과 왕비는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다. 다시 무서운 계획을 세웠다. 산실을 높은 누각에 마련하고 그 밑에 칼을 빽빽이 세우고서 아이를 낳아 떨어뜨렸다. 참으로 끔찍한 일을 실천에 옮긴 것이었다. 그러나 아이는 죽지 않았다. 새끼손가락 하나만 잘리고 기적적으로 살았다. 아이는 울음을 터뜨렸고, 그 울음소리를 들은 왕비는 모성이 살아나 그 아이를 키우게 되었다. 왕은 이 아이의 이름을 아자따사뜨루(未生怨, 태어나기 이전부터 원한을 가졌다는 뜻)라고 지어 주었다. 아이는 예쁘게 자랐으며, 어느덧 왕도 왕비도 끔찍한 일들은 말끔히 잊어버렸다. 태자는 어엿한 성인이 되도록 사랑을 듬뿍 받으며 자랐다. 성인이 된 태자는 총명하였으며, 부모를 존경하고 따랐다. 여기에 조달(調達=提婆達多, Devadatta)이 등장한다. 조달은 붓다의 사촌 동생이며, 뛰어난 수행자였다. 그러나 붓다의 교단을 탐내고 분열을 조장했던 악인이다. 그가 아자따사뜨루 태자를 현혹시키고, 과거에 두 번이나 자신을 죽이고, 죽이려 하였던 사실을 환기시키면서 쿠데타를 일으키도록 종용하였다. 그래서 태자는 부왕인 빔비사라를 감옥에 가두어 죽게 하고, 왕을 살리려고 애쓰는 그의 어머니마저 감옥에 가두게 하였다. 「관무량수경」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자기의 잘못은 깊이 뉘우치지 못하고, 순전히 남의 탓만 하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여성, 위제희 부인을 통해서, 불교의 깊은 신앙 세계를 열어 보인 경전이 바로 이 「관무량수경」이다. 이 경전의 특징은 크게 2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 첫째는, 악인을 구제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악인이란, 진실을 구하면서도 진실과 거리가 멀고, 선(善)을 가까이하려 하지만 선할 수 없는, 영겁의 시간과 공간에서, 죄업이 막중한 범부 중생을 말하는 것이다. 자기의 욕망을 성취시키기 위하여는 수행중인 선인(仙人)마저도 죽일 수 있고, 또 자기의 명예와 안락을 위해서는 자식마저 죽일 수 있는 그런 최저, 최하의 악인(惡人) 범부(凡夫)이기는 하지만, 현실 생활 가운데서는 왕비라고 하는 최고의 지위에 있는 위제희 부인이 바로 그런 악인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그런 악인이야말로 아미타 붓다의 구제 대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여인성불(女人成佛)이다. 이 부분에 대하여는 후대의 사상가들에 의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 예를 들면, 원효의 「무량수경종요」에서는 당시 중국의 담란이나 혜원을 비롯해서 많은 사상가들에 의해서 제기된 위제희 부인의 성불론을 결론지어서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여성(女性)은 왕생하지 못하지만 여인(女人)은 왕생할 수 있다. 그것은, 악성(惡性)은 왕생할 수 없지만 악인의 왕생을 부정하지 않는 것과 같다.’ - P252
인간은 현재라고 하는 시간과 공간의 제한된 범위 안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행동하고 있다. 인간의 가치는 언제나 ‘현재’라고 하는 시대상을 통해서 보편의 가치를 추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선과 악이 그것이다. 그것은 다시 현재의 ‘나의 행동’에서 분별되지만 ‘나의 생활’ 속에서는 보수적인 의미의 가치체계가 형성된다. 현재라는 시대상을 통해서 ‘나의 행동’은, 혁신적이며 고답적인 가치체계가 무한한 자유를 추구하는 양상을 드러내지만, 그것은 오히려 부자유를 초래하고 만다. 아비달마(阿毘達磨) 불교를 구축한 출가비구들이 그랬으며, 삼독(三毒)번뇌를 떨쳐 버리려고 몸부림치면서 더욱 삼독번뇌 속에 빠져들게 되는 위제희 부인이 그랬다. 자유를 추구한 기연(機緣)을 다라 쫓아서 가다 보면 거기에는 부자유라고 하는 올가미가 기다리게 마련인 것이다. 현재라는 시대상에 비치는 ‘나의 생활’은 무수한 가치의 엄습으로 인해 자기 중심적인 보수적 가치체계를 지향하게 된다. 그것은 역사와 문화, 사회 가운데에서 수용과 반발을 통해서 안온(安穩)을 추구하게 되지만, 삼독번뇌 속에 안온함이란 없는 것을 깨달아 알 뿐이다. 거기에서 시대적인 불안과 좌절이 대두하여 ‘나의 괴로움’이 형성된다. 그 괴로움을 벗어나고자 할 때, 하나의 가치 지향이 나타난다. 괴로움이 깊으면 깊을수록 그것은 전일(專一)한 것으로 응결된다. 바로 이 때에 ‘구제(救濟)의 기연’이 성립되는 것이다. 마치 「열반경」 범행품(梵行品)에서 반열반(般涅槃)을 앞둔 붓다가, 오직 아자따사뜨루 왕의 이고득락(離苦得樂)만을 위하여 열반에 들지 않겠다고 한 것과 같은 것이다.
ㅇ기연: <불교> 부처의 교화를 받을 만한 인연. - P262
인간이 행복해지고 싶다, 자유를 획득하고 싶다고 하는 바람[願]은 근원적인 것이며 순수한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그 바람이 성취될 수 없는 상태의 어리석은 존재일 수밖에 없다. 진실한 의미의 행복과 자유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인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떠나서는 사유할 수도 존재할 수도 없다. 삼독번뇌에서 헤어날 길이 없는 인간 존재가 내 자신의 고뇌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한히 묻고[問] 묻는 과정에서 생기는 절망과 좌절은 결국 제행무상과 제법무아를 확인하는 과정인 것이다. 「무량수경」의 앞 부분에서는 그 과정마저도 여래의 위력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무량수경」에서 아난다가 붓다께서 다섯 가지의 서상(瑞像)이 현현(顯現)함을 밝혔고, 붓다도 그것을 긍정하지만, 그 뒤에 여래의 출세(出世)의 의의와, 자비와 지혜의 무한함을 강조한 다음에 아래와 같이 여래의 위력을 표현하고 있다. 여래에게 그 뜻을 묻고자 하였던 그것도 실은 여래의 뜻(여래의 威力)인 것이다. - P263
풍토(風土)란 인간이 살고 있는 생활환경 그 모두를 말한다. 인간은 예로부터 각자가 살고 있는 생활환경 속에서 사유하고 노력하여 보다 좋은 생활의 지혜와, 정신적 육체적인 안정과 평안 그리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가라는 사유법도 고대 인도인들이 지리적·기후 풍토적인 생활환경 속에서 생활의 지혜로 이룩한 종교 문화이기에 그러한 요가 사유의 명상이 형성될 수 있었던 환경과 조건 등을 선의 풍토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도가 위치하고 있는 곳은 지형적으로 북쪽에는 히말라야산이 우뚝 가로질러 솟아 있고, 왼쪽에는 인더스강, 오른쪽에는 갠지스강이 흐르고 있으며, 기후적으로는 서남 계절풍이 부는 몬순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몬순지대는 약 반 년을 주기로 하여 겨울에는 대륙에서 대양으로, 여름에는 이와 반대로 대양에서 대륙으로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대륙 변방지대이다. 인도에는 이러한 계절풍이 부는 4월에서 7, 8월까지의 우기에는 거센 비바람이 불어닥치며 많은 비가 내리기 때문에 사람들이 밖에서 일을 할 수 없고, 또한 다닐 수도 없다. 인도뿐만 아니라 동양인들은 집을 짓고 가정을 꾸미며, 농사일을 하면서 안정되고 정착된 생활을 영위하는 농경문화인이다. 따라서 대지나 흙, 산천초목은 물론, 눈·비·바람 등 모든 자연과 더불어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는 생활의 지혜를 가지고 있다. 즉, 인도인들은 몬순이란 계절풍과 더불어 세차게 몰려오는 비바람에 저항하지 않고 자연의 은혜를 참고 받아들이며, 자연에 순응하는 생활을 하였다. 사막에서나 농경지대에서나 비(물)는 그야말로 생명수이며 감로수이다. 산천초목 등 대지의 모든 존재를 양육시키는 생명수이기도 하다. 때문에 인도인들은 대지의 생명수와 같은 그러한 자연의 은혜를 받아들이기 위해 몬순의 계절풍이 부는 우기에는 조용히 집 안에서 요가 사유의 명상을 하며 몬순이 끝날 때까지 참고 기다렸다. 사막에서 살고 있는 유목민들은 보다 좋은 생활환경을 찾아다니기 위해 항상 끊임없이 옮겨다니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유목민들의 생활풍습에서 정신적인 안정으로 전개되는 요가 선정의 사유의 문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처럼 고대 인도인들은 몬순이라는 거센 비바람이 부는 우기에는 외부의 출입을 자제하고 가만히 집에서 안주하여 신을 사유하고, 자기 자신의 존재를 관찰하며, 괴로움의 세계인 이 사바세계에서 벗어나 해탈할 수 있는 종교적인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요가 사유의 문화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몬순이라는 계절풍과 기후나 풍토가 인도인의 정신인 요가, 사유의 문화를 만든 것이 아니라, 인도인들의 예지와 종교적인 정신이 그러한 풍토를 이용해서 신(神)을 사유하고 자신의 존재를 사유·명상하며, 종교적인 인생과 삶의 지혜를 창조한 것이라는 점이다. - P2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