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SE (dts 2disc) - 아웃케이스 없음
송해성 감독, 이나영 외 출연 / 에이치비엔터테인먼트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1. 대학 다닐 때, 일주일에 한번은 학교 앞 서점에 꼭 들렀었다. 어떤 책이 보고 싶다고 생각하고 잠이 들면 꿈 속에서도 서점에서 책을 뽑고 있었다. 다음 날 서점에 가보면 어느 귀퉁이 맨위 책꽂이 한가운데쯤 하는 식으로 쉽게 책을 찾은 적이 많았다. 항시 다닌 탓에 서점의 모든 책이 사진처럼 찍혔다가 꿈 속에서 떠올랐기 때문이리라.
이 영화도 여러 사람들에게 꼭 보라는 얘기를 들은 영화다. 그러다가 이렇게 늦게 보게 된 것은 다 인연이다. 특히 [1분후의 삶]을 읽고 이 영화를 본다는 것이 행복하게 느껴진다. 아마도 예전의 책찾기처럼 이제 이 영화를 찾아볼 때가 되었다고 무의식 중에 떠오른 것 같다.
[1분 후의 삶]은 죽을 고비를 넘긴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이 영화는 죽음을 앞둔 사형수의 이야기이다.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살아있는 자의 새로운 삶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 사형수란 언제나 유한한 인생을 가진 우리들의 상징이 아니던가! 영화를 보며 자꾸 눈시울을 적시게 되는 것은 윤수(강동원)나 유정(이나영)의 모습 속에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되는 이유가 아닐까?
2. 대학교 다닐 때 참으로 감명깊게 본 소설이 빅토르 위고의 [사형수 최후의 날]이었다. 그때도 책 맨 마지막에 사형 제도 폐지를 역설할 때는 정말 가슴이 저며왔는데 지금은 오히려 서글프기도 한데 아직껏 사형제도가 남아있는 나라에 살고 있는 까닭이다.
가진 자가 사형에 처해지는 경우는 드물다. 돈과 권력이 사형에 이르는 죄를 피해가도록 하기 때문이다. 사형은 대체로 없는 자들의 몫이고 이들은 법의 혜택도 별로 받지 못한다. 돈이 없기에 사형에 이르는 죄를 피할 수 없고, 정당한 변호를 받지못해 감면의 은사를 받기도 어렵다는 것은 참담한 현실이다.
3. 이 영화에서 내내 머리를 맴돌던 생각은 어쩔 수 없이 '유정(이나영)이 윤수(강동원)를 이해할 수 있는가?'라는 것이었다. 상투적으로 말하면, 지식인은 기층민을 이해할 수 있는가? 문득 군대때 만났던 한 사람이 떠올랐다.
이등병 때 상병이나 병장을 보면 부럽기 마련이다. 하물며 제대가 코앞인 말년 병장은 어떻겠는가? 그런데 이상하게도 옆 소대의 말년병장은 전역이 가까울 수록 더 우울해 보였다. 참고로, 그는 50킬로가 안되는 왜소한 체격과 볼품없는 얼굴이었다.게다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바로 군대에 들어와서 이등병인 나보다도 나이가 적었다.
그는 조금은 맹하고 실없는 사람이긴 했지만 다른 사람들처럼 폭언이나 폭력을 행하지 않는 사람이어서 이등병인 나하고도 친했다. 나는 그가 제대하기 얼마전 마침내 용기내어 "이제 곧 자유의 몸이 되는데 왜 그렇게 슬프냐?" 고 물었었다. 그의 얘기는 조금 서글펐다.
"난 가난한 집에 태어난데다 힘이 없어서 내내 친구들한테 맞고 살았어. 중 고등학교 내내 쥐어터져서 지옥같았지. 그런데 졸업하니깐 이제 내가 돈을 벌어야 된거야. 난 머리도 나쁘고 힘도 없는데 할 것도 없쟎아. 미치겠드라구. 그래도 군대에서는 밥도 주고 상병 단후로는 쥐어터지지 않아서 얼마나 평온했는데, 또 사회로 돌아가려니 잠이 안와."
그 말을 들으며 나는 그가 내게서 얼마나 멀리 있는 사람인가 하고 생각했었다. 영화처럼, 고아원에서 자랐으며 앵벌이로 먹고 살다가 끝내 동생을 잃기까지한 윤수를 유정이 이해할 수 있을까? 그러나 이해할 수 없다면 인간 사이의 관계란 어디서 소통의 희망을 찾을 수 있는 걸까?
4. 그럼에도 윤수와 유정은 소통한다. 내가 눈여겨 본 부분은 '비밀로 하기'였는데 영화에서 '비밀로 하기'또는 '침묵 속에 가두기'는 양날의 칼이다. 유정의 상처를 들어주지 않았던 유정 어머니의 비밀로 하기는 유정을 죽음과도 같은 상처투성이의 길로 내몬 반면, 유정의 비밀을 죽음으로 안고 가겠다는 윤수의 비밀로 하기는 소통과 소생의 물고를 튼 셈이 되었다.
생각해보니. 나 같이 말하기 좋아하고 여기저기 옮기기 좋아하는 인간의 혀는 거의 살인적이다. 나는 새삼 침묵이라는 단어를 떠올렸다. 침묵은 상대방의 상처를 감싸고 마음을 열게 하며 마침내 새로운 삶으로 이끌 수도 있는 것이다. 차라리 친구보다도 차디찬 담벼락이 나을 때도 있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도 얄팍한 동정과 연민은 침묵의 위로에 짝할 수 없는 것이리라.
5. 사람들은 사형수의 삶이 멀리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가 근무하는 요양병원에서는 요즘 매일 2,3명의 환자가 돌아가신다. 사형수가 자신의 순번을 공포에 떨며 기다리듯이 자꾸 비어가는 옆 병상에 공포를 느끼는 노인들의 슬픔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러나 실토하건대, 이 분들의 슬픔에서 나는 다시 한번 좌절감을 느낀다. 나같은 놈이 지하 장례식장에서 매일 장례차가 나가는 것을 우울하게 보는 80순 할머니, 할아버지의 마음을 어떻게 헤아릴 수 있겠는가? 언젠가 한 노인은 저멀리 가는 차를 보며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산천초목으로 나는 가네."하고 노래를 하고 계셨다.
어제는 선물로 받은 감을 독한 감기로 비쩍 마른 101살 할머니 입에 조금씩 넣어드렸는데 할머니는 자꾸 자기는 껍질을 먹을 테니 속살은 나더러 먹으라고 하신다.그렇게 배고프다고 하시던 분이! 결국 옆에 계신 할머니에게 남은 감을 먹여드리고 돌아서니 새삼 할머니도 아주 먼 곳에 계신 분이라는 것을 알겠다.
이 곳은 오래 사시라고도 일찍 가시라고도 할 수 없는 이상한 곳이다. 여하튼, 영화처럼 이곳도 사랑할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