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적 사기 -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은 과학을 어떻게 남용했는가
앨런 소칼, 장 브리크몽 지음 | 이희재 옮김 / 민음사 / 200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지적 사기]를 재미있게 읽었으면서도 해당 주제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판단을 보류한 채 몇 년이 지났습니다. 여전히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이정우 선생님의 [탐독]에서 [지적 사기]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발견하고 원문을 인용합니다.
참고로 이정우 선생님은 원래 서울대 공대를 졸업한 분으로 진로를 철학으로 바꾸어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으셨습니다. 따라서 수학이나 자연 과학에 대한 이해가 일반 철학 교수분들보다는 높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하 원문 인용)
저열한 미국 물리학자들.(220 -222쪽)
'불확정성 원리'로 유명한 하이젠베르크는 많은 책들을 저술하기도 했다. 한참 과학의 세계에 눈뜨고 있을 때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를 정말 감동적으로 읽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후에 [물리학과 철학]을 읽기도 했다.
사실 하이젠베르크만이 아니라 양자역학의 초기 건설자들 대다수가 위대한 물리학자들이었을 뿐 아니라 상당 수준의 철학적 소양을 갖춘 사상가들이었고 나아가 품격 높은 유럽적 교양과 도덕을 한몸에 갖춘 지식인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물리학 논문들만 쓴 것이 아니라 상당량의 철학적 저작들을 쓴 저술가들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유독 하이젠베르크의 책들만이 많이 소개되어 있는 것 같다. 플랑크를 비롯해 다른 사람들의 저작들도 소개되어야 할 것이다. 트기히 루이 드 브로이가 쓴 책들([물리학에서의 연속과 불연속] [물리학과 미시물리학] [빛과 물질] 등은 매우 수준 높은 과학철학서들이다.
(*** 참고 : 적어도 이런 분위기를 짐작케 하는 책을 몇권 알고 있는데 쟈크 모노의 [우연과 필연] , 조셉 니덤의 [중국의 과학과 문명], 마티유 리카르의 [손바닥 안의 우주]는 인문학과 자연 과학이 이질적인 것이라는 나의 선입견을 깨뜨리는 책들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생리학자나 생명공학자들입니다.***)
그런데 과학의 중심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가면서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 유럽의 중후함과 깊이가 미국의 천박함과 오만방자함으로 바뀌면서 과학자들의 상이 현저하게 변해간 것이다. 리처드 파인만을 비롯해 미국 과학자들이 쓴 저서들을 읽으면서 유럽적 교양과는 너무나도 판이한 세계를 만나고서 실망했던 기억이 많다. 더구나 책 중간중간 철학에 대한 이해하기 힘든 구절들, 무지와 악감정으로 가득찬 구절들을 보면서 어이가 없다는 느낌을 받곤 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내가 과학(특히 물리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잃어버리기 시작했을 때가 바로 미국 과학자들의 이런 책들을 접했던 시기였다. 일급 물리학자의 말이라고는, 지식인의 말이라고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그런 구절들을 보면서 유럽 문화와 미국 문화가 어쩌면 이렇게도 다를까하고 놀라곤 했다. 과학이 계속해서 유럽에서 발달했다면 과학기술 문명의 풍토가 지금과는 많이 다를 것이다. 나는 영어 책들 외에도 프랑스, 독일 등 유럽의 과학서들과 일본의 과학서들을 많이 읽지만 이런 실망스러운 경험을 한 적은 별로 없다.
미국이라는 거친 나라가 과학기술을 발달시켰고 오늘날 그 힘으로 세계를 제패하고 있다는 사실은 인류 모두에게 비극이다. 더욱 더 불행한 것은 바로 한국이 미국의 우산 아래에 있고 문화 일반, 학문의 성격, 지식계의 분위기조차 거의 그대로 미국을 답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 과학계의 이런 분위기가 가장 극단적으로 표현된 경우가 바로 소칼의 [지적 사기]일 것이다. 이 책은 프랑스 사상가들이 과학을 오용한 사례를 분석. 비판하겠다고 했지만 그 근거가 너무나도 허무맹랑해서 한 편의 사기극 이상으로도 이하로도 볼 수 없다. 이 거칠기 짝이 없는 책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이 책은 인문학에 대한 미국 과학자들의 폭언, 유럽 문화에 대한 미국 문화의 악감정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더구나 습쓸한 것은 적지 않은 한국인들이 이 책에 동조했다는 사실이다. 그런 사람들 중에서 라캉의 [에크리]나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같은 책들을 원어로는 그만두고 영어 번역본으로라도 (아직 [차이와 반복]이 우리말로 번역도 되지 않았을 때 였다.)읽어본 사람들이 있는지 의심스럽다. 현대 프랑스 철학의 고전들을 제대로 읽어본 사람들이라면 소칼의 책에 별 관심도 갖지 않을 것이다.
누군가가 내게 이 책을 보내주었는데 (누가 보내주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나는 몇 대목을 훑어보고서 어이가 없어 그냥 구석에 던져놓았었다. 그런데 이 책이 화젯거리가 되고, 나아가 상당수의 사람들이 동조하는 것을 보고서 참으로 큰 당혹감을 느꼈다. 나는 이 씁쓸한 '지적 사기'를 보면서 학문의 세계, 지식인들의 세계가 사기와 폭력이 횡행하는 이 세상과 다를 바가 무엇이 있는가라는 심각한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배암발 : 이정우 선생님이 구체적인 사실을 지적하면서 소칼을 반박한 글을 쓰셨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댓글에 달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하튼, 새삼 공부가 짧구나 하는 한탄을 가지게 했던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