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된 아빠]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아기가 된 아빠 살림어린이 그림책 20
앤서니 브라운 글.그림, 노경실 옮김 / 살림어린이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엄마고 엄마가 나라면]이라는 책이 생각났다.
앤서니 브라운은 아빠를 아기로 만들어버렸다. 모든 엄마들은 아이 +@ 남편까지 아이들과 같은 챙겨야하는 심정을 이해한 것일까?

철없는 아빠 존, 어른아이라는 말이 생각났다. 시끄러운 음악, 장난감, 멋부리기를 좋아한다.
젊게 보이고 싶어하며 그렇게 보이려고 노력하는 아빠이다.
그러다가 조금만 아프면 마치 아이처럼 엄살을 피운다.

우리시어머님 말씀으로는 어리나 나이드나 똑같단다.
똑같이 어른아이란 말이다. 

’젊음을 돌려드립니다’라고 쓰인 음료수 한병을 다먹는 대목에서는
몸에 좋다는 것은 만들어서라도 먹는 우리신랑이 생각났다.
시아버님, 친정아버지도 같이 오버랩되었다.
모든 집의 아빠들, 남편들을 그러할지도 모른다.

앤서니 브라운 자기 자신의 이야기가 들어갔는지도 모른다.

표지의 그림은 철없는 아빠 존이 음료수를 한병 다먹고 아기가 되었을때
세상사람들이 자신에게 지어주는 표정을 모아놓은 것이다.
이 그림을 보는 순간, 아기들도 다 이해하고 있지만 다만 말을 못할 뿐이라는 
어머님과 친정어머님의 말씀이 생각났다.

책의 부록으로 온 workbook은 아이와 함께 책을 읽고 난후 느낌을 그림으로 그려볼 수 있어서 유용했다. 아빠와 자신의 역할을 바꾸어 생각해보고 아빠와 함께 할수 있는 놀이도 그러보고, 
딸아이가 아직 어리지만 딸아이 나름 그림을 그려넣으니 더욱 뿌듯해졌다.

엄마와 아이가 공감가는 책내용부터 독후활동까지 풀세트인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홀가분 - 마음주치의 정혜신의 나를 응원하는 심리처방전
정혜신.이명수 지음, 전용성 그림 / 해냄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여기에 인용문을 입력하세요  
   
인터넷으로 정혜신님의 심리에세이를 만나게 된 것이 올해 초이다. 그러다가 홀가분이라는 오프라인 심리카페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자주가는 네이버 카페에서 가끔 올라오는 심리에세이를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위로가 되는 것 같았다.

그러다 '홀가분'이라는 책을 만나게 되었다.

 

맛있는 과자도 하루에 몰아서 먹으면 맛이 없어지듯이 심리에세이도 하나씩 하나씩 천천히 읽어야 제맛인 것 같다.

읽는 동안 내마음이 토닥토닥 위로 받고 있음이 느껴진다.

당신이. 늘. 옳습니다.

이 한문장이 너무나 너무나 와닿았다.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항상 의문인 나에게.
어렸을 때부터 이런 응원을 들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 60분 부모에서 [공부, 정서가 답이다]라는 주제로 한 아이가 나왔다.
공부에 관해서 비관적인 생각이 강했었는데.
엄마와 4주간 프로그램을 통해서 긍정적으로 말하기를 시도하니
공부에대한 성취의욕이 높아졌다.

엄마가 한 것은 "아, 어려웠겠구나. 피곤하겠구나"
라는 아이의 생각에 대한 공감과 이해였다.

홀가분의 전체적인 내용은 책을 읽고 있는 나 자신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펼쳐진다.

그래서 책을 덮고 나니
내마음이 토닥토닥 위로 받은 느낌이 들었다.

눈으로 읽는 심리상담소라고 해야하나.

"눈물도 말[言]입니다"
이 한문장은 마음 한켠에 서러운 마음들이 위로받는 느낌이었다.

"건강한 자기 존중은 호들갑이 아니라 실력입니다."
나를 가장 사랑할 수 있는 건 나 자신이다. 누군가에게 내가 할 역할을 떠넘기지 말아야겠다.
그림과 함께 만나는 심리처방전
[홀가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간호사가 된 돼지 너구리 돼지 너구리 6
사이토 히로시 글, 모리타 미치요 그림, 안소현 옮김 / 소담주니어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만 해도 벌써 여덟번째 읽는 책.

간호사가 된 돼지너구리. 딸아이 31개월 4살된 여아이다.

숲으로 간 돼지 너구리와 간호사가 된 돼지너구리가 있는데

하루 종일 "아픈 책 읽어주세요"를 반복하고 있다.

아이의 눈에 돼지너구리가 간호사가 된 모습이 재미있었나보다.

 

나 또한 마음씨 좋은 너구리가 너무나 마음에 들었다.

돼지너구리가 변신해다라고 해서 의사도 되고

또 돼지너구리를 위해서 진료소도 지어주고

다른 동물들을 진찰까지 도맡아서 한다.




 

특히나 가장 인상깊었던 두장면이 있다.

환자가 아무도 없자 찾아나서던 돼지너구리와 너구리.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그리고 또 하나.

의사인 너구리는 환자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멍난 우산, 고장난 시계 등 동물들이 가져온 고장난 물건들도 모두모두 치료해주었다.

 

궂은 일까지 마다하지 않는 너구리의 모습이 왠지 존경스러워졌다.

현실에서 잘 찾아 볼 수 없는 캐릭터이기에.
그리고 마지막에 돼지너구리에게 한마디 한다.
"돼지너구리야, 말만 그렇게 하지 말고 일을 해"
이렇게 솔직한 캐릭터 이기에 더더욱 정이 간다.
숲으로 간 돼지너구리를 읽고 이 책을 읽으니 더더욱 재미가 있다.
처음에 간호사가 된 돼지너구리만 읽었을 때는 돼지너구리을 완전히 파악하는데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루종일 딸아이에게 읽어주다 보니 이제는 왠지 내용을 외울 것 같다.
하나하나 설명이 달린 그림책이 아니라.
그림만 보고 추측이 가능한 그림책이기에 지루하지가 않다.

그리고 책을 펼치면 정감가는 너구리와 돼지너구리가 반겨주기에.
더욱 자주 손이가는 책이다.


style="WIDTH: 548px; DISPLAY: block; HEIGHT: 81px" id="__se_object_db0" class="__se_object" noresize="noresize" src="http://static.se2.naver.com/static/db_attach/iframe_template_for_se1_obj.html" frameborder="0" scrolling="no" s_isempty="true" jsonvalue="%7B%22code%22%3A%226643558%22%2C%22genreCode%22%3A%22%22%2C%22genreText%22%3A%22%22%2C%22id%22%3A%229788956897394%22%2C%22mode%22%3A%22book%22%2C%22rating%22%3A8%2C%22title%22%3A%22%EA%B0%84%ED%98%B8%EC%82%AC%EA%B0%80%20%EB%90%9C%20%EB%8F%BC%EC%A7%80%20%EB%84%88%EA%B5%AC%EB%A6%AC%22%2C%22type%22%3A6%7D" s_subtype="book" s_type="db">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으로 간 돼지 너구리 돼지 너구리 1
사이토 히로시 글, 모리타 미치요 그림, 안소현 옮김 / 소담주니어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돼지너구리가 뭐지?'라는 생각을 하며 책장을 펼쳤다.




돼지들은 먹는데만 정신이 팔려서 친구들이 없었다.

어느날 수상한 돼지가 나타났다. 돼지너구리는 그 수상한 돼지를 따라갔다.

그러다 늑대가 나온다는 숲으로 가게 되는데.

그 곳에서 너구리를 만났다.

너구리는 특별한 능력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변신하는 능력이었다.

돼지너구리는 자기도 변신하고 싶어 너구리에게 배웠다.

 

다른 돼지들과 달리 숲에 사는 돼지너구리.

기존의 돼지들의 생활방식에서 벗어났다. 자신만의 삶을 찾아서 인생을 개척한 돼지너구리이다.

호기심도 많고 하고싶은 것도 많고 되고 싶은 것도 많았다.

처음에는 '엥? 이게 뭐야?' 이랬던 내가 점점 돼지너구리의 매력속으로 빠져들었다.

" 되고 싶다고 생각만 하면 사자든 뭐든 될수 있어"
너구리가 돼지너구리에게 둔갑술을 가르쳐주면서 한 말이지만
왠지 마음에 와닿았다.
아이들에게 간접적으로 뭐든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주고 있었다.
아이들 뿐아니라 같이 읽고 있는 어른까지.

지금 자기자신에만 만족하지 않고 세상에 호기심을 가진 돼지너구리.
그리고 돼지너구리에게 삶의 터닝포인트가 된 너구리와의 만남.

시리즈로 나온 돼지너구리의 다른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돼지는 머리가 나빠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서 얼굴을 항상 돼지로 남아있고
몸만 변신하는 대목에서는 푸훗 웃음이 났다.
그런데 왠지
세상을 사는데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메세지가 담겨있는 거 같아
나 또한 마음이 편해졌다.

고정관념 벗어나기.
무엇이든 될 수 있다는 자신감.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안도감.

돼지너구리가 가르쳐준 교훈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학교는 불행한가 -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교육 3부작 시리즈 1
전성은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1. 한 카페에서 글을 하나 읽었다. 고등학생 딸아이의 체육대회에 학부모들이 초대되어서 갔는데 자유로운 분위기도 있지만 살짝 정신이 없기도 했다고 한다. 왜그런가 글을 읽어보니 학생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기획에서 실행을 한다고 한다. 난 졸업한지 오래되어 요즘 체육대회는 아이들이 기획하는가보다라고 댓글을 달았다. 그런데 돌아온 대답. 대안학교라서 아이들에게 자율성이 보장된다고 하였다.

결혼 후 뱃속에 아이가 자라고 있을 무렵, 남편과 의논한 적이 있다. 우리아이는 대안학교로 보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우리부부는 그 당시에는 의견일치를 보였다.

지금은 아이가 4살이다. 생각이 달라졌다. 어차피 대한민국에서 자라서 직업을 가져야 할 것 같으면 제도권 교육을 벗어날 수 없다고, 행여나 사회에 적응하는데 힘들어지지 않겠느냐고 걱정이 많아졌다.

더군다나 안심하고 보낼 학교를 못찾은 것도 사실이다.

#2. 내가 고등학생때, 당시 거창에서 근무하시던 아버지를 통해서 거창고등학교의 소문을 들은 적이 있다. 그때는 거창고의 내면은 몰랐다. 단지 그 학교 학생들이 좋은 대학에 많이 갔다고만 들었다.

 

이 두가지의 생각이 [왜 학교는 불행한가] 책을 손에 들게 만들었다.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내가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하자마자 전 선생을 만나 우리나라 교육을 어떻게 개혁해야 할지 배웠습니다. 선생의 말씀대로 교육개혁을 했으면 우리 학생들이 좀더 행복해졌을 텐데 그 방향으로 과감하게 나가지 못했습니다- 故노무현-2009년 3월 말, 故 노무현 대통령과의 봉화마을 만남에서-

앞 표지와 뒷표지에서 뿜어져 나오는 책의 포스에 눌러 읽어내려가지 시작했다.

 


p79 교육의 목적은 인류 평화다. 지배와 억압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일에 헌신하는 사람이 되라고 가르치는 일이 교육의 목적이 되어야한다.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정의이다.

 

p87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며...."

학교교육을 받는 목적은 출세에 있고, 이를 위해 동창끼리 끌어주고 밀어주자고 노래한다. 그리 나쁘다고는 할 수 없으나 뜯어보면 역시 정의, 평등, 자유, 박애, 독립과 같은 인류 보편적 가치를 외면하게 만들려는 의도가 뻔히 보인다. 교훈도 교가도 우연히 지금의 모습을 갖게된 것이 아니다.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하고, 해방후에도 그런 교가와 교훈이 계속되어 온 것은 우리 학교교육 정책을 총괄해온 교육부와 학교교육의 지도급 인사들이 얼마나 교육에 무지했던가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p141 학교교육은 아이들의 다양한 재능, 소질, 관심에 따른 다양한 교육을 해야 한다. 국가는 그렇게 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것이 국가의 도리다. 그러자고 국가가 있는 것이다. 그것이 국가의 존재이유이다. 인간은 자신의 재능과 소질과 관심에 따라 한 번 밖에 주어지지 않는 삶을 살 권리가 있다. 천부의 권리다.

 

한줄한줄이 마음에 와 닿았다. 고등학교 때 왜 내가 공부하고 있는지 몰랐다. 도대체 무엇을 위해 공부하는가 우울증에 걸려 자살까지 생각했었다. 지금까지 내가 문제인줄로만 알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나이 서른, 아직도 재능과 소질, 관심을 찾아 헤매이고 있다. 그나마 난 찾아 헤매일 수 있다는 사실에 만족하지만 조금더 일찍 이런 기회가 주어졌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우리딸에게도 나와 같은 삶을 살게 할 것인가.' 항상 이런 생각을 많이 한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부모들은 고민할 것이다. 제도권 교육이냐, 대안학교이냐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나도 아직 결정을 하지 못했다.

내딸이 또 딸을 낳아서 그 딸이 학교를 들어간다해도 대한민국교육이 과연 바뀔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