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보다 : 겨울 2022 소설 보다
김채원.성혜령.현호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2년 12월
평점 :
절판




   




 겨울은 춥다. 이 추위는 어쩐지 어두운 느낌 아닌가. 동지가 지나면 낮이 조금씩 길어지기는 하지만 겨울이 다 간 건 아니다. 추워서 쨍할 때 있기는 하구나. 시린 파란하늘. 덜 춥고 공기 좋은 날이라면 좋을 텐데. 그건 바랄 수 없겠지. 바라면 안 되겠다. 내가 이렇구나. ‘해도 돼’보다 ‘하면 안 된다’ 생각하는 거. 이런 생각하는 게 편해서다. 바라는 걸 모두 가질 수는 없는 거 아닌가. 그저 자신이 가진 걸 생각하는 게 낫지. 자기대로 살기.


 한해에 네번 나오는 책 ‘소설 보다’. 이번에 《소설 보다 : 겨울 2022》를 만났다. 겨울이 들어가서 잠깐 겨울을 생각했다. 여기 실린 소설 세편 다 어두워 보인다. 세 사람 다 처음 만났다. 김채원 소설 <빛 가운데 걷기>는 할아버지(노인)와 아이가 함께 사는 이야기다. 긴 시간이 나오지는 않는다. 할아버지는 아이가 집에 돌아올 때쯤 학교에 데리러 갔다 집에 오고, 아주 가끔 둘이 핫도그와 오렌지 주스를 사서 나눠 먹기도 했다. 노인은 아이를 집에 데려다 놓고 밖으로 나와 걸었다. 걸으면서 딸을 생각했다. 딸은 아이 엄마다. 아무래도 딸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 같다. 딸은 왜 그랬을까. 결혼하는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 아이를 갖고 결혼하고, 그 뒤 정신병원 치료를 받기도 했나 보다. 이런 말 때문에 난 딸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여긴 걸지도. 그런 말 안 나오는데. 단편이기에 노인 딸이 어땠는지 잘 모른다. 노인이 조금 생각하는 걸로만 알 수 있다. 아이는 조금 문제가 있나 보다. 선천성은 아니어서 치료하면 나을지도. 다른 사람은 그렇게 여겨도 노인은 아이가 그럴 수도 있지 하는 것 같다. 지금은 아이가 어려서 그런 거고 자라면 달라지겠지. 아이가 잘 자라기를 바란다.


 두번째 <버섯 농장>(성혜령)을 보면서는 세상이 조금 무서운 느낌이 들었다. 자신이 쓰지도 않은 빚이 생기면 어쩌나 하는. 별 걱정을 다했구나. 진화는 남자친구가 아는 동생이 일하는 곳에서 휴대전화기를 사고 시간이 흐른 뒤 빚을 갚으라는 연락을 받게 된다. 진화 이름으로 전 남자친구가 아는 동생이 휴대전화기를 개통하고 게임을 하고 빚을 졌단다. 그런 빚은 어떻게 해야 할까. 진화는 친구 기진한테 빚을 진 사람 아버지가 있다는 요양 병원에 차로 태워다 달라고 한다. 빚을 진 사람 아버지가 요양 병원에 있는 건 아니고 어머니가 있었다. 빚진 사람한테는 할머니다. 남자(아버지)는 어머니를 요양 병원으로 모시려고 아내와 헤어졌다. 아들은 이제 다 자랐으니 자기한테 책임이 없다고 말한다. 그 말이 틀린 건 아니지만.


 부모가 평생 자식을 책임지지는 못한다. 그래야 하는데. 이 이야기는 진화가 어쩌다 빚을 진 이야기면서 진화와 기진 두 사람 이야기기도 한 듯하다. 둘은 고등학생 때 만나고 서로의 부모가 안 좋다는 걸 알게 되고, 그런 비밀을 나눈 사이다. 하지만 기진 엄마 아빠는 차 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기진은 부모가 죽고 나자 부모가 그렇게 안 좋은 사람은 아니었다는 걸 깨달았다. 기진은 일자리를 힘들게 구하지 않고 부모가 남겨준 돈으로 살아도 됐지만, 진화는 언제나 일했다. 진화는 자신이 어려울 때 기진이 도와준다는 말을 하지 않은 걸 섭섭하게 여겼다. 친한 친구여도 돈은 좀. 앞으로도 진화와 기진은 친구로 지낼까. 둘은 함께 빚을 진 사람 아버지 시체를 땅에 묻었다. 갑자기 이런 말을. 그 사람은 갑자기 죽었다. 그럴 때는 경찰에 전화를 해야지. 소설이어서 땅에 묻게 했나 보다. 그 부분은 현실과 동떨어졌지만, 다른 건 실제 일어날 것 같은 일이다.


 마지막 이야기 <연필 샌드위치>(현호정)에서 ‘나’는 꿈속에서 연필을 넣은 샌드위치를 만들어 먹어야 했다. 빵 사이에 연필을 채우고 다른 것을 넣어도 된다. 그런 샌드위치 이 아파서 어떻게 먹나. 연필이 씹히기는 하려나. ‘나’는 그걸 먹는 감각을 말한다. 나무와 흑연. 치즈 같은 지우개를 넣기도 한다. 그런 이야기 사이에 할머니가 먹던 꽈리고추 멸치볶음 간장 냄새가 싫었다는 이야기와 엄마가 음식을 먹지 못해 말랐던 이야기도 나온다. 할머니 엄마 나 하면 좋은 이야기가 많을 것 같은데, 여기 담긴 건 그렇지도 않다. 할머니는 이모가 해준 음식이 맛있다 하고. 이렇게 말하는 걸 보면 할머니는 외할머니 같은데. 엄마와 딸이어도 사이가 안 좋을 수 있겠다. 그래도 엄마와 ‘나’는 사이가 나빠 보이지 않는다. 그건 다행인가. 지금 음식을 먹지 못하는 건 ‘나’다. 언젠가 ‘나’가 음식을 먹고 건강해지길.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JOR 2nd(メジャ-セカンド) 26 (少年サンデ-コミックス) (コミック)
미츠다 타쿠야 / 小學館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저 세컨드 26

미츠다 타쿠야



 




 야구부원이 모자란 오오비중학교와 운동장을 쓰지 못하게 된 후린학원이 합동팀을 만들고 봄대회에서는 이겼다. 후린학원 교장은 자기 학교 야구부를 도와주지는 않고 방해만 했구나. 교장 에가시라는 다이고와 마유무라 미치루 아버지하고 안 좋은 일이 있어서 그랬다. 지나간 일인데 그걸 아이들한테 갚으려 하다니. 어른인데. 에가시라는 나이만 먹고 어른은 되지 못한 것 같다. 그런 거 아이들이 마음 쓰지 않고 하고 싶은 거 했으면 좋겠다. 교장만 좀 그렇지 다른 사람은 후린 오오비 야구부 합동팀에 도움을 주려 하니 말이다. 나이만 먹었다고 했는데, 다이고나 미치루 아버지보다 윗세대다.


 책이 나오고 몇달이 지나고 보게 됐다. 일찍 보려고 했는데 어쩌다 보니 밀렸다. 이번 <메이저 세컨드>는 26권이다. 다른 만화도 빨리 봐야 할 텐데. 후린중학교 야구부에 감독으로 온 사람은 메이저에서 야구를 했던 사토 토시야다. 후린과 오오비 야구부가 합동팀을 하게 된 게 신문에 나기도 했다. 두 학교에는 새로운 학생이 들어올 거다. 아직 입학식은 안 했지만, 후린 오오비 합동 야구팀을 보러 온 아이가 많았다. 그 안에는 사와(후린중학교 야구부로 여자아이다) 동생도 있었다. 그 아이들이 다 야구부에 들어오면 후린 오오비 합동팀은 없어질지도 몰랐다. 감독 토시야나 고문 선생님도 그걸 조금 걱정하고 아이들도 그렇게 되면 아쉽겠다 했다. 그렇게 되지 않으면 좋을 텐데.


 후린 오오비 합동팀이 그만두기를 바란 건 후린중학교 에가시라 교장이었다. 이번에도 교장은 심술을 부리다니. 내가 보기에 그건 심술이다. 1학년 아이가 야구부에 관심을 가질 만한 글을 쓰고 포스터를 만들고는 그걸 고문 선생님한테 붙여두라고 했다. 거기에는 운동장을 만들겠다는 말이 있었다. 전에는 운동장에다 새로운 강당 짓고 야구부가 운동장을 못 쓰게 만들었는데, 이제는 잡목림 나무를 베고 운동장을 만들겠다니. 좀 우습구나. 거기도 학교 땅인가 보다. 아직 운동장 만들려고 하지도 않았는데, 난 나무를 베면 안 될 텐데 했다. 운동장이 생기고 야구부가 활동할 수 있으면 좋게 여겨야 하는데. 감독 토시야는 다른 학교 선생님들과 임시 임원회의를 열었다. 후린 오오비 야구부 합동팀 일로. 야구 잘하는 학교에서는 후린 오오비 합동팀이 여름대회에 나와도 된다고 했는데, 반대하는 사람도 있었다. 후린 오오비 합동팀으로 하는 조건을 걸었다. 후린 오오비 합동팀이 지역대회에서 이겨도 현대회에 나가지 못한다는 거였다. 본래 그런 규정이 있다고.


 현대회에 나가야 히카루네 학교와 다시 경기할 텐데. 토시야는 지구대회에서 이기면 현대회에 나가지 못하는 걸 아이들한테 말하지 않았다. 아이들이 실망할까 봐. 그런 건 어떻게든 알려지기도 한다. 인터넷 기사는 하나였지만, 다음날 신문에도 그 이야기가 실렸다. 그게 좋은 쪽으로 움직였다. 여러 학교 사람들이 항의했다. 다행이다. 그런 사람이 있어서. 미치루는 인터넷 기사를 보고 오오비 아이 둘과 합동팀 그만두자고 했는데. 자기들 셋 때문에 후린 야구부가 제대로 야구 못할까 봐. 그렇게 생각했지만 미치루는 아쉽게 여겼다. 후린 오오비 야구부 합동팀 그대로 해도 된다니 다행이다. 3학년은 이번이 마지막인데. 고등학생이 되면 다이고는 여자아이들과 야구 못하겠다.


 사와 동생 하루토는 야구할까. 사와는 하루토한테 재미로 가벼운 마음으로 야구부에 들어올 거면 오지 마라 했다. 하루토는 야구 하면 잘 할 것 같고, 조금 관심 있어 보였는데. 그건 나중에 나오겠다. 하루토 친구는 조금 웃겼다. 하루토와 야구부 들어가기로 했을 때는 글러브를 사고 다음에 탁구부에 들어가려고 했을 때는 탁구채를 샀단다. 하루토는 탁구부에 들어가려다 그만뒀다. 야구부에 갈 것 같은 느낌이 조금 드는데. 예전에 후린 야구부 고문 선생님이 야구부에 관심 없다고 안 좋게 여겼는데, 지금은 그때보다 나아졌다. 지금도 야구는 잘 모르지만. 고문은 여자 선생님이고, 아이들이 야구를 즐겁게 하기를 바라는 것 같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불 4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이라고 해서 이야기만 따라가야 하는 건 아니겠지만, 《혼불》 4권, 2부 평토제는 이야기가 많이 나아가지 않았다. 혼례를 치르고 얼마 안 되어 남편이 죽은 청암부인은 이씨 종가 며느리로 살았다. 청암부인은 기울어가는 이씨 종가를 일으켜 세우기도 했지만, 일제 강점기가 오고 가뭄이 들고 저수지가 말랐다. 이 일은 창씨개명을 하고 난 뒤였다. 청암부인은 집안을 지키지 못했다 여기고 손자인 강모가 부청 돈을 횡령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쓰러졌다. 지난 《혼불》 3권에서 청암부인은 세상을 떠났다. 그 뒤 이야기는 참 천천히도 흐른다.


 강모는 사촌 강태를 따라 만주로 달아난다. 강모가 큰 뜻이 있어서 만주에 가는 건 아니다. 종손이라는 게 부담스러워서 달아나는 거였다. 강모가 일하는 곳에서 횡령한 돈으로 기생집에서 빼낸 오유키가 기차에 있었다. 오유키는 어떻게 그 기차에 탔을까. 강모가 떠난다는 걸 알고 강모를 따라간 건지. 그건 잘 모르겠다. 기차에서 오유키는 강모한테 아무 말하지 않았다. 강모는 오유키가 어딘가에서 내리지 않을까 했는데 내리지 않았다. 기차표 검사할 때 오유키는 차표가 없어서 차장실에 가야 했다. 강모가 그 모습을 보고 함께 갔다가 돈을 낸다.


 청암부인은 자신의 장례를 치를 때 음식을 많이 하고 많은 사람과 나눠 먹으라 했다. 그런 건 좋은 거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번 ‘혼불’ 4권 맨 앞부분에는 노비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 게 왜 나오려나 하는 생각을 하고 보았다. 노비 신분 세습이 조선 전기에는 부모에서 하나만 천인이어도 자식은 천인이 되었다. 한때는 종부법(從父法)을 시행하고 아버지 신분에 따라 자식 신분이 정해졌다. 그 일을 양반이 반발해서 종모법(從母法)이 시행되고 어머니가 종이면 아들은 노(奴)가 되고 딸은 비(婢)가 되었다. 이 책 《혼불》 시작은 1930년 후반으로 이제 노비는 없어졌는데, 아주 사라지지 않은 곳이 매안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번에 거멍굴 옹구네가 춘복이한테 강실이를 이야기를 하지 않았나. 춘복이가 강실이를 넘보는 건 종모법 때문이겠지. 강실이가 양반이고 강실이가 자기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는 양반이니.


 미국에 노예제도가 있지 않았나. 그런 거 보면서 참 너무한다 싶은 생각을 했는데, 한국 아니 조선이라고 다르지 않았다. 뭐가 다르지 않았냐면 양반이 종을 자기 마음대로 하고 아이를 갖게 한 일이다. 그런 건 예전에 드라마에서 보기도 했구나. 백인이 흑인 노예를 성폭행하는 건 끔짝하게 여기면서 양반이 여자 종을 성폭행하는 건 그렇게 끔찍하게 여기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어떻게 그랬는지. 이씨 종가에 사는 우례는 어릴 때 기채 동생 기표한테 성폭행 당하고 아이를 낳았다. 그 아이는 봉출이로 지금 열다섯이다. 다들 용출이 아버지가 누군지 아는가 보다. 봉출이도 그런 말 들었겠다. 우례는 언젠가 꼭 봉출이가 자기 성을 찾기를 바랐다. 앞으로 봉출이가 나올지. 우례 이야기 하기 전에 어머니가 종이고 아버지가 양반이었던 유자광 이야기가 나왔다. 유자광은 서얼이었지만 잘됐다고 한다. 죽을 때와 죽고 난 뒤는 안 좋았지만.


 조선에 노비가 없어졌다 해도 노비였던 사람은 그게 싫을지도 모르겠다. 그때 돈을 벌고 신분세탁한 사람도 있을 거다. 춘복이가 그걸 바라는 건 아닌가 싶다. 신분상승인가. 옹구네는 춘복이 마음을 눈치채고 자신을 버리면 춘복이가 강실이를 넘본다는 소문을 내겠다고 한다. 자신을 버리지 않고 죽 산다면 촌복이를 돕겠다고 한다. 옹구네 무섭구나. 그것보다 춘복이가 뭐가 좋다고. 옹구네는 양반인 강실이가 자신이 사는 곳에 오는 걸 보고 싶다 했구나. 강모가 자기 마음을 참았다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 텐데. 강모가 강실이한테 한 것도 성폭행 아닌가. 그런데도 강실이는 강모가 와서 자신을 도와주길 바라는 듯하다. 강모는 희망이 없다. 자기만 힘들다고 떠나지 않았나.


 종부뿐 아니라 종손도 쉽지 않겠다. 그 뒤에도 조선, 한국은 첫째아들을 더 생각했다. 지금은 아이가 하나거나 아예 없는 사람도 있구나. 이제는 대를 잇는 걸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아이가 살기 좋은 나라여야 사람들이 아이를 낳을 텐데. 그것보다 결혼 안 하는 사람이 더 많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 드립백 홀더 - 커피 드립백 홀더

평점 :
절판


드립백 커피를 조금 편하게 내리고 싶어서 이걸 샀다. 드립백을 손으로 들지 않아도 돼서 좋기는 하다. 마지막엔 들어올려야 하다니. 컵이 작아서 그렇구나. 물을 덜 부어야 커피가 맛있을 텐데, 물을 많이 붓는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불 3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나고 살다 죽는다. 그런 일이 자연스럽다 해도 오래 가까이 살던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무척 슬프겠다. 아프지 않다 자다가 세상을 떠나도 그러겠지. 이씨 종가에 온 김씨부인은 잠을 자다 세상을 떠났다 한다. 청암부인은 남편과 시아버지가 없는 종가 종부로 왔다. 그나마 시어머니보다 덜 무서운 김씨부인이 있어서 의지하고 살았다(이 김씨부인은 보쌈당했다. 옛날에 그런 게 있었다니. 이건 거의 사람을 억지로 끌고 오는 거 아닌가. 그런 게 죄가 되지 않는 시대였다니. 여성은 아무 말 못하고 그대로 살아야 했겠다). 두 사람이 서로 의지했다고 해야겠구나. 혼례를 치렀다 해도 남편이 죽으면 그 집에 안 가도 됐다면 좋았을 텐데, 옛날엔 그런 게 없었구나. 남편이 죽어도 여자는 그 집 귀신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가.


 이번 《혼불》 3권은 2부다. 혼불은 모두 5부고 두 권씩이다. 강모는 집에 오고 사랑에 갇혀 있었던가 보다. 강모는 부청 돈을 기생 때문에 횡령했다. 강모가 집에 오고 청암부인을 만났을 때 청암부인은 강모가 횡령한 돈 삼백원을 주었다. 청암부인은 아파서 거의 잠으로 보냈는데, 강모가 왔을 때 잠시 눈을 뜨고 그걸 전해주었다. 그런다고 강모가 정신차릴까. 강모는 자신이 종가를 이어야 하는 걸 부담으로 여겼는데. 강모는 자신이 아무것도 아니기를 바랐다. 종가에서 태어나지 않고 가난한 집안에 태어났다면 어땠을지. 그때는 그때대로 불평했겠지. 거멍굴에 사는 춘복이였다면. 사람은 자신이 가진 걸 고맙게 여겨야 하거늘 그러지 못한다.


 거멍굴 이야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옹구네는 춘복이한테 강실이 이야기를 한다. 춘복이가 자신한테 마음을 안 줘서 그런 건지. 춘복이는 결혼하고 자식을 낳지 않겠다고 했다. 자신처럼 제대로 살지 못할 걸 생각하고. 춘복이가 노비는 아닌 것 같은데. 옹구네가 강실이 이야기를 하자 춘복이는 강실이를 생각했다. 강실이는 양반집 딸이다. 지금까지 멀리서 보기만 했지 넘본 적은 없었다. 강모와 강실이 이야기는 거멍굴에 퍼지고 춘복이도 알았겠지. 춘복이는 그 일을 약점으로 잡고 강실이를 넘보게 됐다. 기회를 잡으려는 것 같다. 왜 옹구네는 강실이 이야기를 한 건지. 그러지 않아도 강실이 혼사 이야기가 잘 안 됐다. 다른 사람은 다 아는 걸 강실이 부모는 아직도 모르는가 보다. 등잔 밑이 어둡구나. 강모는 강태가 떠난다고 하는 말을 듣고 자신도 따라가기로 한다. 달아나는 거구나. 아버지가 음악하는 걸 반대했지만 강모도 거기에 큰 뜻은 없었다.


 남편도 없이 종가 종부가 되고 집안 어른이 된 청암부인이 세상을 떠났다. 청암부인은 집안 재산도 늘렸다. 그게 갈수록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효원은 청암부인이 세상을 떠나서 무척 슬펐다. 효원은 강모와 잘 지내지 못해도 청암부인이 있어서 살았는데. 청암부인은 효원을 자신과 비슷하게 여긴 듯도 하다. 며느리한테는 마음을 잘 주지 않은 것 같았는데. 강모 어머니인 율촌댁은 시어머니한테 눌리고 살았다 여겼다. 효원을 보고 자신이 눌릴 것 같아서 처음부터 기를 누르려 했다. 꼭 그렇게 눌러야 할까. 청암부인이 죽은 건 이씨 문중이 기우는 것과 같을까. 저수지도 마르고. 이기채보다 동생인 기표가 여러 가지 일을 맡아서 했는데, 어쩐지 걱정스러워 보인다. 땅을 사고 땅값을 제대로 안 주다니. 아니 기채가 준 돈을 기표가 가운데서 가로챘다. 그런 일이 한두번이 아닐 것 같다. 형제도 다 소용없나 보다.


 예전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지만 ‘혼불’은 1930년대 후반부터 나온다. 그때가 더 힘들었으려나. 일본이 조선에서 쌀을 다 가져가고 남자는 군인이나 탄광에 여자는 일본군 위안부나 공장 일을 시키려고 끌고 갔으니. ‘혼불’은 조선이 독립한 뒤도 나올지. 이때 가뭄이 이어져서 굶어죽는 사람이 많았다. 소작인은 거의 받는 것도 없었다. 일본이 다 빼앗아가서. 창씨개명을 했다면서 양반이 어디 있나 하는 사람도 있다. 이씨 집안은 어떻게 되려나. 효원이 집안을 지키려 할 것 같기는 한데, 청암부인처럼 하지는 못하겠다. 강모는 아주 돌아오지 않을까. 앞으로 보면 알겠지.




희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11-08 1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1-10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넬로페 2023-11-08 2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몇 년전에 전주에 있는 최명희문학관에 가 본적이 있어요. 아기자기하면서 예쁘더라고요.
혼불 리뷰 읽으니 그때가 생각났어요.

희선 2023-11-10 23:41   좋아요 1 | URL
저는 혼불 문학관하고 최명희 문학관 같다고 여겼나 봅니다 전주에도 그게 있구나 했네요 혼불 문학관은 남원에 있더군요 최명희 문학관은 전주였다니... 그런 게 한 곳에 있는 게 아니군요 지금 찾아보니 거기에 느린우체통 있다는 말이 나왔어요


희선

stella.K 2023-11-08 20: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혼불 읽고 계시는군요.
이 책 오래된 책인데...
저는 1권인가, 2권 읽고 다시 못 읽고 있습니다.
희선님은 완독하시길.^^

희선 2023-11-10 23:44   좋아요 1 | URL
이것보다 먼저 《토지》를 봐서 이것도 한번 볼까 하고 보게 됐습니다 앞으로 잘 안 나가요 책 이야기도 그렇고 책 읽는 속도로 잘 안 나요 천천히라고 봅니다 한권 보는 데 며칠이나 걸리다니... 다른 이야기도 중요할 텐데, 그런 건 조금 지루하게 여기는군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