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책을 주문하다가 너무 오래 방치한 누군가?의 서재에 잠깐 들렀다. 그 누군가는 아마도 나...일 것이다.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이라는 이 책의 느낌은, 부제 '... 치유하는 영화읽기'가 오히려 더 알맞다. 제목은 왠지 어려운 느낌이 나는데, 그렇게 깊게 이론적으로 파고들지 않는다. 아마도 정신분석과 관련된 뾰족한 용어들이 작은 산을 이루는 책들에 대한 저자의 염려였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한 친절함에 비해선 뭔가 끈덕지게 남는 지적인 중량감은 떨어진다. 특이한 건, 이 책의 저자는 쥐를 잡는데 고양이의 색깔을 문제삼지 않는 실용적인 입장에서 융과 라캉을 동시에 활용하고자 하는 의욕을 보여준다. 일견 타당하다. 그러나 고기를 잡을 때, 그물과 낚시를 동시에 쓰는 경우는 없지 않은가? 인간의 문제는 산술적인 것(가령 1+1=2)과는 다르게, 제대로 된 초점 하나를 잘 잡아서 들어가는 길에서 풀리는 일도 있다. 어쨌든, 저자의 태도는 한 번 긍정적으로 생각해 볼 꺼리가 된다고 본다. 

<라캉과 한국영화>에 실린 글들의 제목을 보니까, 위에 저자가 왠지 달가워 하지 않을 거 같은, (라캉식) 용어 주위에 포진한 과잉이 느껴지는 짧은 늘어섬들이 눈에 띈다. 발산은 하지만 왠지 속 깊이 스며들지 않을 거 같은 텍스트가 아닐까? 미리 설레발 예감을 해본다.

새벽에 갑자기 주문을 한 <라캉과 영화 이론>은 '라캉과 영화'를 좀 더 분명하게 묶은 책이 아닐까싶다. 번역은 읽어봐야 알겠지만, 왠지 그리 나쁘진 않을 거 같다. 난 라캉보단 들뢰즈에 더 가까운 기질이 있다고 여기는데, 오히려 라캉에 관한 책을 훨씬 더 많이 보는 거 같다. 왜 그럴까? 

라캉과 영화.. 이 지점에서 이젠 영화를 낭만적이고 감상적으로 보기엔 글러먹은 것 같다. 영화 안에서 감상자 자신을 비춰주는 섬뜩한 거울들을 만나게 되는 풍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