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화성의 인류학자 - 뇌신경과의사가 만난 일곱 명의 기묘한 환자들
올리버 색스 지음, 이은선 옮김 / 바다출판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도 당연하게 여기는 것들이 있다. 특별히 배우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되고 굳이 설명이 필요 없는 것들. 그래서 우리들은 다른 사람들과 만날 때, 공통적으로 가진 그 배경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떤 (특정)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것들이 지극히 낯설고 생소할 수 있다. 도대체 저 사람들은 어떻게 구체적인 의사 전달 없이도 무언가를 원활하게 전달하고 바로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런 풀리지 않는 큰 의문을 가진 사람들 중에는 우리가 익히 아는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도 있다. 이 책의 제목 '화성의 인류학자'가 된 심정이 바로 그러한 것일 것이다. 즉 자폐증이 있는 사람들의 눈에는 일반 사람들의 속내는 도무지 알 수 없는 '그 무엇'이다. 자연스럽게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차츰 그 무리에 동화되어 알 수 있는 성질의 것이 못된다. 그러니 대부분은 사회와 멀리 떨어져서 외롭게 혹은 누군가의 도움에 의지해서 살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템플이라는 여자도 그러한 불리함을 갖고 있지만, 새롭게 터득한 방식으로 사회생활을 성공적으로 꾸려나간다. 그러나 사람들과의 동화가 아니라 마치 알고리즘처럼 머릿속에서 반복적으로 그들의 태도를 종합해서 대처하는 일종의 편법이자 임시방편에 속한다. 그러니까 템플은 스스로를 마치 화성의 인류학자가 된 기분으로 (지구인들을 관찰한 끝에) 그들을 이해해서가 아니라 같이 생활하기 위해 규칙을 겉으로만 따르는 어중간한 입장이기도 한 것이다.

결국 사람들에게는 서로 다른 내면의 패턴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느 쪽이 더 우월하고 정상이라고 단정짓기도 그렇다. 일단 간단히 말해서 템플과 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들보다는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숫적으로 너무도 많기 때문에 그들은 약자의 위치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 밖에도 이 책에는 비행기까지 운전하는 투렛증후군을 가진 의사 이야기도 나온다. 강박적으로 어떤 이상 행동을 끊임없이 반복하는데, 이러한 '틱'증상은 수술 같은 긴장된 순간에는 다행히 나오지 않으니 참 신기하다. 그러나 그러한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인생을 즐기려는 그의 태도는 참 인상적이었다.     그럼 또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더 꺼내보자. 가장 흥미가 있었던 곳이기도 한데, 바로 뇌 손상과 그림(미술)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런 경우에 예술쪽으로 보통 사람과 다른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기억력이나 암산에 대해서도 우리는 영화 '레인 맨'에서 몇몇 장면을 기억해 낼 수 있다).

어느 날 사고로 갑자기 색맹이 되버린 화가는 자신의 시야에서 색들을 전부 잃었지만, 이상하게도 아주 멀리 있는 작은 물체까지 볼 수 있는 독수리와도 같은 시력을 갖게 된다. 처음엔 절망이 컸던 이 사람은 그러나 점차 자신이 보는 것들, 그 흑백의 세계에 매료된다. 그래서 새로운 치료로 다시 전처럼 돌아갈 수 있다는 말에도 시큰둥이다. 아니 오히려 불쾌한 반응을 보인단다.        화가 프랑코는 늘 향수에 시달린다. 그의 그림들은 과거 동심이 깃든 풍경들을 되새김질 하듯 화폭에 담아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놀라운 기억력까지 있어 그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재주가 뛰어나다. 거기다 그의 그림에는 보통 사람과 달리 여러 시점이 동시에 공존하는 기이함까지 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신기한 특정 능력들을 열거하는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 보통 뇌 손상을 가진 사람들이 보이는 천재적인 능력에 대해 그것이 단순히 기계적인 재생이나 창의력 없는 작업으로 평가하는 것이 대세였다. 그런데 저자 올리버 색스는 그런면도 없지 않지만, 그들도 나름대로 창조적으로 독특하게 재구성하는 능력도 있음을  옆에서 직접 지켜 본 경험과 다른 연구들을 통해 생생하게 보고한다.   

과연 우리 머릿속에 있는 두뇌는 정상으로 포장된 상태가 아니라면, 어떤 다른 기발한 풍경들을 품고 있을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정상의 차원엔 분명히 장점이 있다. 일반성과 안전함 그리고 질서 등등. 그러나 그 대가로 다른 능력들이 잠재성이라는 표정을 짓고 안으로 숨어 들어가기도 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그 능력들-뛰어난 기억력과 절대음감, 화가적 재능을 캐기 위해 두뇌에 대한 위험한 도박을 할수는 없지 않은가?

올리버 색스가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방식은 참 매끄럽고 재미가 있다. 그리고 다방면으로 많은 지식을 갖고 있음을 책을 읽으면서 알 수 있었다. 그 지식들을 딱딱하지 않게 사이사이에 먹기 좋게 끼워넣는 그의 친절함과 센스에 노련함이 보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는 이들 특이한? 사람들을 관찰하는 학자로서의 시선만을 가진 사람은 아니다. 인간적으로 그들을 이해하려고 하고, 뭔가 놓치는 것이 있지 않을까 염려하는 모습에서 애정을 발견하게 된다. 

아마도 우리들 애정이란걸 이해하지 못하는 자폐증을 가진 '화성의 인류학자', 템플에게 헤어지기 전에  "한번 안고 싶은데, 그래도 괜찮겠죠?" 하는 느닷없는 그 말...   순간적으로 머릿속이 잠시 쉬고 그냥 인간과 인간이 가슴으로 포옹하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라도 우리가 무작정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아닐까..        지구인과 화성인의 포옹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