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두 책을 보았다, 책의 주제와 방향은 다르지만, '상호인과'가 중요한 개념으르 쓰이고 있었다. 한자경 교수의 <불교의 무아론>과 조애너 메이시의 <불교와 일반시스템 이론>이 그 책들이다.
<무아.윤회문제의 연구>
그러나 불교에서의 상호인과(성)에 대해 한자경 교수는 좀 더 세밀한 탐색을 한다. 그냥 막연하게 서양의 '시스템 이론'과 겉에서 잘 맞는거 같고, '쌍방향'이라는 낭만적인 흐름에 아무 비판없이 내맡기다 보면, 뭔가 중요한 핵을 그냥 지나치기 쉽다. 이것이 서구 이론에 밝은 불교학자들이나, 불교에서 어떤 돌파구를 찾으려는 서양학자들에게서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조애너 메이시에게도 만약 세밀한 부분에서 오류가 있다면, 불교와 서양 과학의 만남에서 닮은꼴 찾기게 급급한, 비판적으로 다시 살피는 여유가 부족했던 연구 시기와도 영향이 있을 것이다.
일단 한자경 교수는 같은 상호인과성이라도 가령, 불교의 12지 연기에서 그것이 동시적인 쌍방향의 상호 의존성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르는 즉 이시적(異時的) 혹은 계시적(繼時的) 상호인과성임을 강조한다. 그래야 어떤 단순한 반복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꼴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발전, 생성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조애너 메이시 같은 학자의 경우는, 어떤 일방적인 안과율에서 불교나 동양 사상에서 상호인과율의 아이디어를 얻은 것 까지는 좋았지만, 그 미세한 것 까지는 간과한 것이다(물론 이렇게 간단하게 어느 쪽이 옳다고 말한 단계는 아니지만, 잠시 한쪽을 우위에 두고 진행하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한자경 교수의 '자아' 문제에 대한 집착은 독일 유학에서부터 다시 불교로 이어지는 '자아를 찾는 오디세이'를 방불케 하는 책들에서 엿볼 수 있다. 이것이 최근 불교 유식학과 관련된 좋은 결과들로 이어지는 거 같다. <일심의 철학>, <유식무경>, <불교의 무아론> 등 원래 불교학 전공자였던 국내 학자들에 비해 분명하고 새로운 것들을 만드는 모습이다.
<유식의 구조> <불교의 심층심리>
<환상의 정신분석>은 세미나를 녹취한 것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여기에 눈에 띄는 장이 있는 데, '유식 불교와 정신분석'이라는 제목이다. 물론 저자(임진수)는 유식학과 정신분석학을 비교한다는 것이 대단히 난해한 일임을 강조하면서, 둘을 조심스레 비교하고 있다. 그러나 유식학의 개론적인 수준에서만 논의되고 있는 것이 좀 아쉬운 부분이고(그래도 이런 글을 본다는 건 대단히 어려운 일 아닌가!), <유식의 구조>라는 책에서 그러한 시도가 불완전하게 있었다면서, 그책을 인용하는 것도 좀 심심했다. 그 책을 인용하는거야 비판적인 서술을 위해 필요할 수도 있지만, 유식학에 관한 더 좋은 연구들이 있을 터인데, 아직 거기까진 접근이 못미친건지 그 이상의 것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지, 1500년전의 연구가 이정도까지 왔다는 거에 대해 놀라움을 표시하지만, 결국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더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는 식으로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여기서 메다드 보스의 <정신분석과 현존재분석>라는 책이 언급되는데, 이죽내 교수의 번역으로 책방에 나와 있다. 하이데거의 '현존재(Dasein)'를 정신분석에 응용한 '현존재 분석'에 관한 책이라는데, 이것이 유식에서 강조하는 현재성, '사건'을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는데 저자 임진수씨의 말대로 어떤 좋은 참고가 될 거 같기도 하다.
최근에는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이 심심찮게 목격되는데, <선수행과 심리치료>도 여기에 가세했다. 목차를 보니까, 그냥 우발적인 아이디어에서 파생한 책으로 보이지 않고, 무게와 체계적인 흐름이 느껴진다. 곧 구해서 볼 생각이다. <불교의 심층심리>와 아까 이죽내 교수의 <융심리학과 동양사상>은 융심리학과 불교의 만남이 모색되는 책이다.
처음에 <불교와 일반시스템>이란 책을 말했는데, 이 책은 또한 (시스템) 생태학에 관한 책이기도 하다.
불교(선 포함)와 생태학에 관한 책이 생각보다 많이 보인다. <불교와 생태학>은 그냥 불교가 아닌 남방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그리고 특이하게도 미국불교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는데, 설명에 보면, 불교생태학 연구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책으로 소개되고 있다. 하워드 오덤의 <시스템 생태학>은 나온 지 좀 지난 책인 데, 생태학이 들어가서 그것을 주제로 좀 수월한 책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그렇진 않다. 시스템에 대한 깊이 있는 이론과 컴퓨터와 관련해서 매우 분석적인 부분도 다루어지는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