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고를 때 나름대로 꼼꼼한 편이다. 되도록 목차는 꼭 확인하는 편이고, 서평이 있다면 몇개 정도는 훑어보고 대충 감을 잡는다. 이 책은 제목도 눈길을 잡고, 목차에서도 왠지 책의 내용을 아우르는 자태가 깊이가 있고 폭이 넓어 보였다. 그런데 과연...

일단 책의 구성은 이렇다. -과연 동양인과 서양인의 사고 패턴이 다른가?- 거기에 맞는 테스트를 한다. 물론 특수한 기계 장치에 머리를 넣고, 물리적 두뇌를 살피는 실험은 아니다. 그냥 책상 위에 올려 놓은, 설문지를 열심히 풀면 된다. 책 기획의 대범함에 비해 도출 과정은 대단히 소박하다. 그러면 결과가 나오는데, 대개 이 책의 저자를 포함해서 연구진들의 예측에 거의 들어 맞는다. 즉 다양한 질문들이라도 어떤 굵직한 두 개의 패턴을 염두해 두고 각기 그 패턴의 연속성이 확인되는 것이다. 물론 두툼해진 설문지라는 경험 데이터로!  

우리가 막연하게 동양 사람과 서양 사람들은 다르겠지? 하던 것을, 그래도 뭔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근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알려준다. 서양인이 주체와 관련된 어떤 점, 대상에 집중하는 사고 패턴이라면, 동양인은 배경, 맥락, 관계성에서 사고하려는 경향이 있는 걸로 나온다. 다른 식으로 말한다면, 서양인이 논리적 범주적인 사고에 능하다면, 동양인은 감성적인 친밀도로 엮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가령 팬더 곰, 원숭이, 바나나 이렇게 세 개의 항목에서 두개를 묶는다면, 서양인은 팬더 곰과 원숭이를, 동양인은 원숭이와 바나나를 택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보면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논술 채점 문제 때문에 공부하는 학생이나, 그것을 평가하려는 대학교에서 뭔가 분명한 기준을 잡지 못해 애를 먹는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어떤 신문 뉴스에서, 채점을 담당하는 교수가 하는 말이, 양비론적인 사고는 일단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둘 중에 그래도 좀 더 나은 걸 골라서 그쪽을 옹호하는 것이 점수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을 응용해서 본다면, 그러한 교수의 태도는 서양식 사고에 가까운 사람들에게 유리해지는 꼴이다. 양비론이든, 절충주의든, 극단주의든, 그거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결국 거기에 담긴 합리적이고 타당한 내용인데, 어떤 선입견을 미리 부리는 것에 대해 한번 검토해 봐야 하지 않을까? 동양인은 상극보다는 상생, 한쪽을 제거하는 것 보다는, 둘의 장점을 살려 둘 다 살리는 생명의 감성이 있다. 저 과거 원효의 '화쟁논리'도 그러한 바탕에 있는 것이 아닌가..

무조건 서양식 이성 줌심, 논리성에 부합해야지 합리적인 인간이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 (기준) 시작부터 먼저 합리적 반성으로 검토해봐야 할지도 모른다. 근대에 서양의 (물리적) 큰주먹 한방에 동양이 눌려서 움푹 들어가 버렸지만, 그거 자체가 게임 오바는 아니다. 이 책의 미덕이라면, 우리가 동양인의 사고( 패턴)와 서양인의 사고 중 어느 쪽이 확연하게 옳다고 말할 수는 없다는 데 있다. 저자가 그 동서 두개의 패턴이 합쳐지는 쪽으로 갈지도 모른다고 하지만, 그냥 그 자리를 지키면서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늘 새롭게 생성해 나가는 것도 왠지 괜찮을 거 같다.

너무 설문지가 남발해서 중간 어딘가부터는 긴장감을 빼놓기 시작하는데, 그래도 고등학생들이 이 책을 읽는다면, 동양인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한번 긍정적으로 되물을 수 있는 좋은 자극이 될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