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년산행 계룡산 다녀오다

새해다. 새해가 되면 나는 주변에 있는 국립,도립공원급의 산을 다녀온다. 올해는 가장 가까이에 있는 충청의 명산 계룡산을 다녀왔다.
아침일찍. 그러나,

한라산 등반후 오랜만에, 추운 날씨에 등산해서 그런지 1등후 2등때부터(두번 오름) 양쪽 허벅지 근육통, 왼쪽 무릎이 너무 아파 😢 다리를 억지로 끌다시피 산행. 힘든 하루. 장군봉 패스, 가다간 왼다리가 아작날거 같아서ㅠㅠ

계룡산의 최고봉은 천황봉(천단, 890m) 이나 군사시설이 있어 출입금지 구역(딱 한번 가봤다. 천단까지는 못가고 철조망 밑으로)으로 관음봉(766m)이 대신...그리 높지 않은 산이나 암릉이 많아 다소 난이도가 있고 충남의 명산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충남에서 젤 높은 산은 금산에 있는 서대산(905m).

계룡산은 충청지역에서 국가 대소사 제의를 지내는 명산으로 삼국사기와 세종실록지리지, 고려사지리지, 동국명산기에 기록되어 있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진산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공주의 공산과 아산 신창의 성산이 충남의 진산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동학사, 갑사, 신원사, 마곡사를 계룡산의 4대사찰이라한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면 마곡사는 공주 유구의 태화산 밑에 있어 계룡산의 사찰이라 말하기 어렵다. 마곡사는 김구(김창수) 선생님께서 을미사변의 충격으로 황해도 안악 치하포에서 일군 장교 쓰치다를 맨손으로 때려죽이고 인천 감리영에(해주옥에서 이감) 투옥중 탈옥하여 마곡사 백련암에 은거하셔서 유명해졌고, 유구, 마곡은 난리가 나면 피란을 갈만한, 정감록이 예찬한 십승지 중에 하나다. 실제 공주 신풍이라는 곳의 산골짝은 6.25 때 난리가 난 줄 몰랐다고 한다. 신풍은 유구 옆이다.
동학사는 비구니 절로 유명하고, 한국 근현대 불교를 개창하고 선종을 중흥시킨 경허스님께서 용맹정진하신 절이다(최인호의 장편소설 길없는 길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 십승지: 영주 풍기, 봉화 춘양, 보은 속리(산), 남원 운봉, 예천 금당실(용문면), 공주 유구 마곡, 영월 연하리 미사리 노루목, 무주 무풍, 부안 변산, 합천 가야

영지순례에 의하면 계룡산에서 제일 영험한곳은 연천봉 밑에 있는 등운암이며 도사들의 영발 충전소라 소개하고 있으나, 지금의 등운암은 영을 충전할수가 없다. 먼 불사를 크게 일으키는지 포크레인이 여기저기 파헤치고있다. 계룡산에서 제일 높은곳에 있는 암자다. 해발 720m
연천봉 반체제 도사들의 포인트
방백마각 구혹화생 方百馬角 口或禾生 조선이 망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자세한 해설은 사진첨부)

내가 오늘 산행한 코스는 지석골 --> 작은배재 --> 큰배재 --> 남매탑고개 --> 남매탑(상원암) --> 삼불봉고개 --> 삼불봉 --> 자연성릉 --> 관음봉 --> 관음봉고개 --> 문필봉 --> 연천봉고개 --> 등운암 --> 연천봉 --> 연천봉고개 --> 갑사 --> 신흥암 --> 금잔디고개 --> 수정봉 --> 삼불봉고개 --> 남매탑 --> 남매탑고개 --> 큰배재 --> 신선봉 --> 임금봉 --> 작은배재 --> 지석골, 거리 18km, 고도 1958m
임금봉에서 장군봉 거쳐 지석골로 가려했으나 왼쪽다리(무릎)이 너무 아파 패스. 그쪽으로 가면 3~4km는 더 돌아가야하고 계룡산에서 젤 험한 코스.
예전처럼 장군봉쪽으로 올랐어야 했는데. 패착.

예전, 나는 이상보 선생님의 갑사로 가는 길(동학사 --> 남매탑(상원암) --> 삼불봉고개 --> 금잔디고개 --> 신흥암 --> 갑사)이라는 수필이 갑사앞 가을날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길인줄 알았다. 근데 아니었다.
함박눈이 소복이 내리던 날 작가는 동학사 경내를 돌아보고 남매탑을 거쳐 갑사로 가는 중이다. 중간 기착지인 남매탑에 들러 남매탑에 얽힌 전설을 회상하는 내용이었다. 대덕의 부동심과 백설인 양 순결한 처자의 발원력, 금수라 하더라도 결초심을 잃지 않은 산중호걸. 역쉬 🐅 🐯 호랑이.
22년전 난 눈을 맞으며 친구(아내)와 이 길을 걸었고(사실 반대로 갑사에서 동학사로 동학사로 가는 길 ㅡㅠ) 오늘 또 걸었다.(사실 여러번)

김지하는 내고향 보령의 작가 이문구 선생과 송기숙, 황석영, 장선우 등과 함께 민중(동학)사상의 뿌리를 찾고 신인류를 꿈꾸며(1, 2권 제목ㅎㅎ) 공주, 부여, 논산, 익산, 남원, 모악산 등지를 기행하고 사상기행이라는 대작을 썼다. 그 시발점이 바로 이 계룡산인 것이다. 사실 출발지는 서울의 운당여관이고 첫 기착지가 공주 계룡면이다.
(여기서 김지하는 자칭 계룡산 산주로 군림해온 땡초 송명초를 만난다. ˝내 이름 명초는 풀을 밝게한다. 즉 댐배를 핀다는 뜻이유. 그렁께 먼첨 댐배버터 한 대 태리구 얘기헙시다유˝)

♡명천 이문구의 관촌수필: 관촌은 내고향 보령시 내항동 일대로 지금 대천여상이 자리하고 있다.
참고, 보령의 제일 유명인은 이선희(보령시 주산면 증산리), 이선희 동생이 전국노래자랑 웅천 무창포 편에서 대상 수상
*☆오류수정: 관촌은 내항동이 아닌 대천2동, 생가는 대천동 387번지, 도로명 관촌4길 13-9, 13-11

이문구: 충남 명문가 한산 이씨, 목은 이색, 토정 이지함, 월남 이상재, 아계 이산해, 백옥헌 이개 등이 한산 이씨

산 너머 저쪽엔
별똥이 많겠지
밤마다 서너 개씩
떨어졌으니.

산 너머 저쪽엔
바다가 있겠지
여름내 은하수가
흘러갔으니. 

        이문구 동시 ‘ 산너머 저쪽‘ 전문

민중사상의 고향 계룡산에 덜 한번 놀러들 댕겨 오셔유♡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2-01-01 19:1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대천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역시 이문구 아니겠습니까. 이선희는 잘 봐줘서 백년은 가겠지만, 이문구는 적어도 2백년을 갈 거 같은데요. 제가 그 동네에 애착이 있어서 허튼 얘기를 덧붙였습니다. ^^

대장정 2022-01-03 07:14   좋아요 3 | URL
허튼 얘기라뇨🤗 그래도 이선희가 더 유명하죠. 대한민국 최고의 가수중의 하나라고도 하고. 대한민국 최고의 작가는 이문구다.🤔 이선희는 알아도 이문구 선생님을 모르는 사람이 많기는 하죠 ㅎㅎ

mini74 2022-01-01 19:5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읽기만 해도 숨이 차는 ㅎㅎ 대장정님 새해를 대장정으로 시작하셨군요 👍올 한 해 힘찬 시작 멋지십니다 ~~

대장정 2022-01-01 20:08   좋아요 4 | URL
ㅎㅎ 숨차지는 않았지만 그런적 없었는데 오늘은 도가니가 아파 죽는줄 알았어요. 호랑이 기운을 받아 힘찬 호랑이해가 되시길~~~☆☆바라요.

새파랑 2022-01-01 20:4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대장정님 오늘 대장정을 하고 오셨군요~!! 새해 첫날부터 완전 멋진 하루를 보내셨군요 ^^ 멋쟁이 입니다~!!

대장정 2022-01-01 21:01   좋아요 4 | URL
임인년 호랑이해 대장정을 계룡산 대장정으로 시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계룡산 정기를 새파랑님에게로~~☆☆

그레이스 2022-01-01 21:4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계룡산 다녀오셨군요
멋지세요
날추워서 저는 집에서 꼼짝도 안하고 있는데^^

대장정 2022-01-01 21:50   좋아요 4 | URL
네, 새해됐으니 일출도 보고 올 일년 건강기원도 하고, 1월1일은 반드시 산에 갑니다. 가져간 생수병이 꽝꽝 얼더라구요 ㅎㅎ 감사합니다. 그레이스님! 좋은 일만 가득, 호랑이기운과 계룡산 정기가 그레이스님에게도~~☆☆

scott 2022-01-01 23:0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우와 대장정님 새해 첫날 계룡산에 기운을 가득!!

올려 주신 산 등선과 명소들 중에 남매 탑의 사연이 슬픈것 같습니다

대장정님이 들려주신 문인들의 이야기!
계룡산에 뿌리를 두었던 작가들이 이리 많았다니 놀랐습니다.

2022년 대장정님 계룡산 기운에
건강하게 행복하게 ^ㅅ^

대장정 2022-01-02 00:02   좋아요 3 | URL
스콧님께도 남매탑 산중호걸의 기운과 계룡산 정기를 보내드려요. 잘 받으셔요~~☆☆

오거서 2022-01-02 08: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대장정님 새해맞이 독보적! ^^

대장정 2022-01-02 12:19   좋아요 2 | URL
독보중의 ˝보˝입니다. 32,500보 걸었습니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