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갤러리에 다녀왔다

여몽지행 꿈길을 따라, 라는 제목의 중국 영아티스트 동시대미술전을 하고 있다. 파주 헤이리는 화이트블럭과 민속박물관파주를 가기 위해 갔는데 단위면적당 미술관이 너무 많아서 가다 멈춰 들어가고 가다 멈춰 들어가고 하느라 도저히 몇 백 미터 걸을 수가 없었다

혹시 저녁 어스름께 버스정류장에 앉아서 근처 올리브영이마 이니스프리 매장을 본 적 있는지? 호객하는 알바가 나와 지나가는 행인 손목을 살포시 잡고 언니 잠깐 구경하세요 하면서 자그마한 장바구니를 쥐여준다. 놀랍게도 장바구니를 드는 순간 뭐라도 사야겠다, 잊어버린 구매욕이 솟는지 행인은 매장을 들어간다. 마치 원래 방문 스케쥴에 있었던 것 마냥. 뭔 소리냐고? 그마마큼 한 걸음 걷다가 미술관에 빨려 들어가고 한 걸음 걷고 다시 다른 갤러리에 들어가느라 백화점 쇼핑 나온 아지매마냥 눈 돌아 갔다는 아무말 대잔치다

작품은 재밌었다. 중국색채가 진하지 않고 현대적이면서 국제적으로 호환가능한 스타일이었다. 작품밑에 캡션 설명이 없어 누가 무엇을 만든 것인지도 모르겠고 도록이나 팜플렛도 없어서 오랜만에 중국어 프리토킹이나 하자 싶어 중국인 오퍼레이터에게 말을 걸며 설명 좀 해달라했다

썅펑페이 왈 10명 작가 중 대다수가 후베이 미술학원 학석 졸업 후 홍대 회화과에서 박사과정하고 있다고. 졸업작품전은 아니란다. 몇 주 전 인사동에서 홍대 박사과정생 mabaoquan의 졸작전을 본 적 있다했더니 누군지 알고 있었다. 역싀 해외거주하면 자국민은 건너건너 다 아는갑다. 아무래도 같은 계통이면 더더욱

일부는 후베이학원 선생님의 작품이다. 그런 작품은 스타일과 장르가 완전 다른데도 완성도가 있다


본인 작품을 설명할 때 독일 표현주의 영향이 보인다하자 동의하면서 자기가 만든 다른 작품도 보여줬다


중국인으로서 한국에 유학오기로 결정한 이유와 예술가로서 마주한 도전이 무엇인지도 물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어 옆에 서기 - 평범한 단어로 우아한 문장의 경로를 개척하는 글쓰기
조 모란 지음, 성원 옮김 / 위고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각산 금암 미술관에 다녀왔다

은평 한옥 마을 안에 있다

도로 하나를 맞서고

앞에는 금융기업이 세운 자사고가 콘크리트 노출기법으로 만들어진 세련된 디자인을 자랑하고


뒤에는 기와를 올린 전통한옥마을이 있다




안동만큼 전통일까? 한옥에서 살던 조선인의 후예가 한옥마을 프로젝트로 정비된 관광지에 사는데 호주 목재에 중국 유리창 등을 썼기에 테세우스의 한옥이라고도 이를 수 있겠다. 한옥집의 1층에서는 수제 영국식 미트파이를 팔고 지하에는 헬스PT가 한창이었다. 아아 글로벌 하이브리드의 시대여!

금암미술관에서는 작가 4명의 전시를 하고 있다. 여성 작가라고 이름했기에 사실 한 팀은 목공예가와 칠개장인 두 남녀인데 남성작가는 전면에 부각되지 않는다





송진으로 하늘을 형상화한 부분이 재밌다

직접 짠 목각 함 위에 삼각산 모양의 장식이 돋보인다

분청혼합토로 타렴성형하여 산화소성 1250도씨에서 굽고 화장토로 채색한 도자와 도자로 만든 회화가 눈길을 끈다

삼각산 능선을 삼색 테이프로 감싸처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보영은 자신의 원래 성격과 맞지 않은 예쁘고 러블리한 간호사 캐릭터만 소모적으로 연기해야해서 내면의 우울을 겪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대중에게 한 가지 캐릭터가 너무 크게 각인되면 다른 작품에서 계속 그 성공전략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배우로서 계속 일이 있는 것은 좋지만 원하는 작품은 하지 못하고 의사와 관련없이 불려다니며 다른 자아를 연기해야하면 고통스러울 것 같다

무엇보다 다른 캐릭터를 도전하고 싶어도 중간 매니지먼트에서 "아 지금 잘하는데 돈 잘 벌리는데 왜 그래, 그러다가 실패하면 완전 나락가는거야! 걔 OO몰라? 잘 나가다가 이상한 짓해서 다음 작품 없잖아" 하는 식으로 무해한 겁박을 하기 때문에 시도가 힘들다

어떻게 해야할까?

그런 고민이 있는 배우는 전쟁의 역사를 생각해보면 좋겠다

전쟁을 승리로 이끈 기술과 전략은 다음 전쟁의 표준이 된다는 것

다음 전쟁은 표준화된 기존 승리의 공식이 아니라 전혀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승리한다는 것

이긴 전략 → 아 이게 맞구나! 깨달음 + 전례가 이렇다고 설득 가능

→승리한 모범사례 채택 및 표준화

→확산→충돌→교착(+지쳐감)→새로운 솔루션

1. 나폴레옹 전쟁

왕의 군대(상비군)에서 국민개병제(시민군) 도입해서 물량 및 참모체계로 전역을 휩씀

→승리한 모범사례 채택: 유럽 각국 국민개병제 도입 및 군사조직개혁

2. 보불전쟁

느린 시간개념과 물자보급을 혁신한 정교한 기차시간표와 효율적 로지스틱스

→ 유럽 각국 총동원계획 작성

3. 1차대전

대공 암살계기로 사전 전쟁계획표에 따라 일시에 발발. 참호전의 교착을 전차로 맞섬. 미국참전으로 승리

→ 모두 기계화 병기 개발+미국패권부상

4. 2차대전

독일 재무장. 전격전. 그러나 공습과 폭격으로 무력화. 결정타는 원자폭탄.

→ 모두 핵무기 경쟁 본격화, 냉전 시작

5. 이후 테러와의 전쟁

군비확장을 핵억지 전략. 냉전은 내부붕괴로 종식. 대규모 정규전보다는 소규모 사이버전, 테러, 게릴라전

→ 드론, 스파이, 사이버공격(경제,인프라) 등 비대칭전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웹소설 웹툰 읽기는 쉽지 않다

시간이 하루종일 있는 전문 백수가 아니면

따라가기 힘들정도로 분량과 종류가 많다

최근 4달 정도 하루에 꾸준히 4시간씩 들여 읽었는데

그것도 카카페로 플랫폼 고정, 웹툰으로 장르 한정,

조회수 4-5천만 이상으로 고정해서 가능한 분량이었다

어느순간 재미가 아니라 의무로 읽게 되는데 매몰비용이 아까워서다

내가 여기까지 봤는데.. 완결을 봐야지!

솔직히 태백산맥, 토지, 도스토예프스키 읽는 것과 비슷한 강도의 노동이다

최초에 진입한 사람들만 트렌드에 맞춰 따라가고 있는 시장이 아닌가 싶다

주류 시장 확대 전 혁신 수용기에 파도의 흐름에 올라탄 초기 수용자는 예컨대

90년 대학외연확장기에 교수된 60년대생

하이텔시기를 거친 05학번 언저리 웹툰작가

코로나 이전 배민 초기모델

00년대 글로벌 기업 한국관련 부서 확장시기에 취직한 국제고 출신

13년 비트코인 거래소 만들어질 때 구매한 가상화폐부자

05년 17년에 강남 똘똘한 한 채를 잡은 부동산자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