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코뮤지엄에 다녀왔다.


혜화역 일대에 출몰하는 20대는 성대생과 배우지망생이 반반치킨으로 섞여있다. 계단을 올라가는 두 사람의 손에 각각 한계효용체감법칙 정리노트와 형광펜쳐진 연극대본이 있었다. 미시경제 소비자이론 대략 중간고사 범위인 듯하다.


아르코 지난 전시는 대단히 실망스러웠다. 향기전시인데 1층은 글로 도배, 2층은 향이 다 뒤섞여 구분할 수가 없었다. 해외에서 오래 활동했다는데 영어 인터뷰도 어설펐다. 네임밸류와 해외숭배라는 사대주의의 악습이 보인다. 베니스 한국관을 잘 운용할 실력있고 아이디어 많은 무명의 국내작가도 충분하다. 


작렬하는 아라비아 사막의 한가운데 백골처럼 바싹 말라가지만 생명의 비가 내리기만하면 고대의 세계수로 자라날 씨앗이 오매불망 발굴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좋았다. 단상이다.


1) 강석호의 회화 다섯 점은 모두 다른 주제인데, 스타일상으로는 격자무늬 패턴을 반복


2) 문이삭의 조각은 찐덕한 흘러내리는 조형을 쌓았다. 구현한 물성의 질감이 특이.


3) 노은주의 3연작은 동료의 작업실을 대상으로 삼는다. 회화가의 작업물품을 네덜란드 정물화마냥 상세히 볼 수 있어

훗날 2020년대 물질문화의 사료로 사용될 것 같다. 반지하 작업실에서 열악한 예술가의 사회경제적 현실이 드러난다


4) 권오상의 프린트 봉고는 반사되는 유리창을 어떻게 처리했는지가 핵심이다. 모자이크지마 모자이크아닌 것이 특이. 


5) 박광수가 가장 유쾌하다. 엄지돌리기 하는 펜의 궤적이 드로잉 그대로 떨어져내린다. 60프레임까지 갔다가 다시 돌아간다. 엘리멘탈의 불인간 같은 존재가 걸어다닌다


6) 폐관되는 인미공 근처 세탁소와 미용실 주인 인터뷰가 잡지에도 있고 영상에도 있다. 세탁소 아저씨는 동네에 기여한 것

이 없다고 하고 미용실 아줌마는 자신도 미술계통인 미용일을 하니 호의적이다. 인미공에 대한 서로의 다른 관점이 재밌다.


7) 잡지는 다 읽었다. 큐레이터의 울분이 보인다


8) 이민지는 반짝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입자를 어떻게 구현할지 물성탐구했다


9) 김규림은 1억 화소로 찍은 8439장의 렘브란트의 <야경>을 보여준다. 전체상은 안 보이고 물감 픽셀단위의 모공이 보인다


10) 홍진훤이 귀하다. 미국, 한국, 파키스탄의 노동을 병치했다


https://www.arko.or.kr/artcenter/board/list/506?bid=266&dateLocation=no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양희 산조 퍼포먼스


회전. 다양한 회전. 김연아처럼 척추를 뽑아버릴 듯 거세게 회전하는게 아니라 천천히 은근하게 제자리에서 돈다.


이양희가 춤을 통해 제기하는 핵심 화두는 무용수의 신체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어떻게 움직임의 변주를 구성하고 조율할 것인가에 있다.


이 영상1:58에서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fBRKmlK1x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각국의 근현대사의 부침과 변천을 잘 보여주는 영화가 있을까?

한국 중국 대만 미국은 있다.


영화는 교과서의 문자중심 역사에 시각적 교보재로서 적합해서

중간고사 이후 공부하기 싫어하는 학생들에게 감상문숙제로 주기 좋다

물론 연출과 각색에 논쟁이 있지만 그것마저 포함해서 훌륭한 토론거리가 된다


한국은

윤제균의 국제시장(2014)

6.25전쟁 흥남철수→파독광부→베트남전→산업화→IMF


중국은

장예모의 인생(1994)

청말→국공내전→대약진운동→문화혁명


대만은

허샤오시엔의 비정성시(1989)

비정성시의 영문제목은 A City of Sadness라고 이해하면 와닿는다

국공내전→국민당정부 대만이주→50년대 대만 2.28민중봉기


미국은

저메키스의 포레스트검프(1994)

미국남부→케네디암살→베트남전과 반전운동→미중수교→워터게이트→레이건


그런데 신기하게 일본이 없는 듯하다

다이쇼(1912-26)→쇼와(1926-89)→헤이세이(1989-2019)로 이어지는 전체상이(드라마,시리즈말고)


이런 영화는는 패션, 건물외관 등 미술팀이 열일한다. 감독보다 더 칭찬받아야한다


최근 개봉한, 포레스트 검프의 두 주인공이 나오는 <히어>도 있지만, 선형적인 역사가 아니라 왔다갔다한다. 하지만 등장하는 시대는 백악기부터 프리컬럼비아를 거쳐서 현대까지다.


일본은 정치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다. 영화에서 시대성을 탈각시키거나, 캐릭터가 계속 어린아이인채로 성장하지 않은 형태의 옴니버스영화가 많다.

짱구와 도라에몽은 늙지 않고 좋았던 쇼와시대에 계속 머물러 있다.


홍콩은 작년 리움 드림스크린에서 상영했던

가발중심으로 동아시아 중공업의 변천사를 다룬 보 왕의 영상이 좋았다.


https://www.leeumhoam.org/leeum/edu/media/2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 전 평창동 골목을 샅샅이 훑다가 키미아트를 발견

어쩐지 알 수 없는 느낌에 진입


월간 아트가이드에도 소개나 정보를 본 적이 없고

갤러리,미술관 네이버 검색으로 안 나왔던 곳이다

이곳 2층에서 백남준 작품 2점을 발견했다


놀라운 세렌디피티

원래 갈 생각이 없었고

2층도 올라갈 생각이 없었는데 우연하게 마주쳤다

국내 미술관 약500곳 가봤다해도 아직도 모르는 곳이 너무 많다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백남준 작품 직접 본 건

1) MMCA과천 중앙홀 다다익선

2) 대전시립 지하수장고 거북선

3) 잠실소마 별관 쿠베르탱

4) 용인 백남준아트센터 TV부처

5) 서울시립

6) 부산시

7) 세종문화회관 TV첼로

8) 리움

9) 갤러리현대 마크로폴로




울산시립, 성곡, 코리아나, 아모레, 아트파크, 송은, Bhak에도 있다는데 본적은 없다

백남주 관련 최근전시는..

MMCA과천(22.11.10-24.04.07)

부산현대(24.11.30-25.03.16)

세종문화(25.03.05-04.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네 공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60
마르그리트 뒤라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김정아 번역가의 문체가 좋아
원문을 자기만의 리듬과 호흡으로 치환해
진정으로 2차 창작했다는 생각이 들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