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포터 2,3권 일어-영어 비교

1. 2권의 마지막에 톰 리들과 일련의 대화가 나온다. 텍스트 시각화 중점, 메모리 기반 대화형 뇌척추인터페이스 인공지능(덤블도어 교장정직 시킨 것에서 제한적 최신 검색 기능포함)의 판타지형 초기 모델인 톰 리들은
트롤과 레슬링하는 해그리드보다 모범생인 자기 말을 사람들이 믿는다고 한다. 한국 번역본은 아마 씨름이겠지? 일어는 스모トロルと相撲라고 되어있다. 건장한 두 남성의 신체 싸움이라는 지시어는 외견상 같은데 인데 레슬링, 씨름, 스모는 사회문화적 의미가 다르다.

2. The Knight Bus는 영어에서도 중의적인 표현이다. 위기에 빠진 마법사를 밤night에 긴급구조하는 기사의 버스다. 기사도의 돈키호테와도 연관성이 있다.

영국 남동부 에스츄어리 영어에 런던 남부 노동계급 억양을 쓰는 스탠은 말 많은 산초다. 과격한 운전을 하는 어니는 돈키호테다.
일어는 이 중의를 다 풀어 야밤의 기사버스라고 하고 루비를 달아 나이토(밤나이트)라고했다. 어디 가냐고 묻는 스탠에게 해리가 다이애건 앨리라고 하자 합점(가텐) 승지(쇼치)라고 알겠다는 뜻의 쇼치시마시타 같은 긴 말을 줄여서 답하는데 영어는 righto같은 하층계급 언어다.
어떻게 머글이 못 보냐고 하자 스탠은 them?걔네들?(일어는 마구루=머글?) 하며 경멸적으로 답하는데(said contemptuously) 한 사회에서 하층노동자는 머글로 상징되는 혼혈 이민자같이 상대적으로 더 하층에 폭력적인 태도를 보이는 점을 읽을 수 있다. 반면 강약약강으로 셀레브리티인 해리나 장관인 퍼지에게는 온순하고 순응적이다. 해리가 네빌이라고 거짓말해도 넘어갈 정도로

3. 3권에 이르러 사회언어적 의미로 해석할 재미있는 부분이 많이 생긴다.

퍼시는 수석(헤드 보이)가 된 후 어깨에 힘이 들어가 해리에게 시장처럼 격식있게 인사한다.
영어는 I hope you are well인데
일어는 경어로 뵙게되어 진심으로 기쁩니다라고 풀었다. 퍼시가 pompously하게 으스대는 대사를
일어에서 모두 경어로 처리했다.

퍼시의 지위기반 자존감을 조롱하고 격식에 균열을 내는 광대 캐릭터 쌍둥이 프레드 조지는
Simply splendid로 두음을 맞추어 놀리거나
(3권까지 영어덜트 소설이라 이런 말장난이 많다)
Absolutely spiffing처럼 서로 다른 계급적 분류에 속하는 어휘를 복합적으로 쓰는데 마치 양반놀리는 하회탈같다.
일어는 광영, 공열지극 같이 고급한자에 경어로 받으며 퍼시의 어깨뽕을 더 과장한다. 만담같다.

4. 나이트 버스를 타고 리키 콜드런(새는=리크하는 솥=콜드런, 누수되는 나베솥漏れ鍋모레 나베)에 도착한 해리를 마중나온 마법부 장관 퍼지.

마지 고모의 기억을 조작하기 위해 급파된(디스패치된) the Accidental Magic Reversal Department는 일어로 마법사고리셋부대다.
아무 문제 없다고 말하는 퍼지 So that‘s that, and no harm done
일건낙착. 실해없음 이라는 표현이 깔끔하고 관료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돌고래유괴단 신작
음식과 전대물 패러디

https://youtu.be/OB5CxnaTSTQ?si=d84jRab04qQyFNv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덕후의 글쓰기 - ‘좋아하는 마음’을 나만의 언어로 표현하는 문장 수업
미야케 카호 지음, 신찬 옮김 / 더페이지 / 2025년 11월
평점 :
예약주문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에서 국문학을 가르칩니다
고영란 지음 / 정은문고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대학(니혼대학) 국문학과(일어일문학과)에서 정교수로 교편을 잡고 있는 고영란(코-요-란) 교수의 책을 읽었다.

페이지 터너다. 마치 엄지로 스크린을 무한히 스크롤하며 쇼츠를 보는 것처럼 마지막 261쪽까지 단숨에 읽었다. 차이는 엄지로 종이를 집어 왼쪽으로 넘기느냐 같은 엄지로 디스플레이 윗쪽으로 미느냐에 있을 뿐. 제발 이 쇼츠형 이야기들이 계속 되기를, 책이 끝나지 않기를 내심 빌었다. 2탄은 언제 나올지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엔화 약세로 일본 여행이 열풍이다. 귀칼, 체인소맨 레제편, 더퍼스트슬램덩크의 열풍도 심상치 않다. 이러한 일본문화 훈풍은 매 세대 반복된 것으로 이전에는 원피스와 에반게리온 등이 있었다. 이 책은 그런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 87-93년에 일본을 접하고 88 올림픽 이전 한국의 빵맛이 형편없던 시절 일본어한다고 폭행당하고 일본에서 한국음식의 마늘냄새가 혐오의 대상이 되었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략 세 세대 전 일본을 발견한 자의 자서전이다.

최근 연세크림빵 교보문고 맛이 특이한 조합으로 인기를 끌어 바이럴 되었다. 매번 예상가능한 시판 크림 패턴만 바꾸어오던 전례를 뒤집은 혁신적 마케팅이다. 이 책을 그런 독특한 콤비네이션으로 비유하자면 마라향 크림같다.

다루는 주제는 모두 얼얼한 마라맛이다. 차별, 혐오, 성적 소수자, 순혈과 혼혈, 자이니치, 지배관계가 체화된 고령여성노동자의 구술문화, 이주와 정체성, 이민자 정체성, 디아스포라, 여성인권, 자본주의에 길들여진 출판문화시장, 문학상과 마케팅의 밀월, 제국 시기 프로파간다와 동조하는 초기 한류, 원전 은폐하는 미디어와 이에 저항하는 시민 운동 등

모두 첨예하고 예민한 주제이고 이를 다루는 자들은 대개 파이터 활동가로 선언적이고 도발적인 어투로 말해 자극적이고 불편하다. 그런데 저자는 이런 주제를 다루면서 이렇게 해야한다는 당위성으로 점철된 설교자의 문체가 아니라 이야기를 풀어내는 문학가와 생각해보자는 교육자의 문체여서 훨씬 접근성이 좋다. 그래서 마라맛 크림이다.

불편한 내용이 폭신한 크림에 감싸여 톤다운된 느낌이다.

대개 리얼리즘 소설이나 나쓰메 소세키를 좋아하고 한문과 근대를 좋아하는 이들은 129페이지 2장까지는 마음에 들어할 것이고 근대 사회문화 문제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193페이지 3장까지 최근이라면 4장 마지막까지일 것이다.

반드시 국문학이나 일본에 관심없다고 하더라도 고학력 외국인 여성 독신으로 자신이 떠나온 애증어린 사회를 대변하면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많은 외국 거주 한국인 디아스포라라면 관심있어할 이야기다. 그들의 현재 거주지가 미국, 유럽이라도 충분히 선택지가 일본이었을 수도 있을테니까

책은 기업인의 자화자찬형 성공담 편집본이라기보다 이방인으로서 자기 포지션을 얻어나가는 분투형 빌둥스로만에 가깝다. 전남대 일문과에 경희대 일어과 석사로서 한국에서 자리잡 더 학벌 좋은 고대에 밀렸을 수도 있는데 오히려 현지에서 외국인으로서 무지, 무관심을 받은 덕에 실력으로서만 평가받았다는 점이 인상깊다.

<사피엔스>로만 전세계적인 낙양의 지가를 올린 유발 하라리 교수의 옥스퍼드 박사논문은 중세 전쟁회고록이다. 균질적이지 않은 자서전식 역사서술방법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출발한 논문으로, 자기에게 의미있는 일화를 다루는 역사쓰기에 대해 흥미로운 접근을 했다. 매일 균일하게 쓰는 일기나 조선왕조실록 같은 역사서술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다. 마찬가지로 이 책도 근 30년 간의 자기 이야기(herstory)가 균등하게 배분된 것은 아니다. 분절적 쇼츠형이다. 마치 중세용병이 전공을 세운 년대의 이야기는 길게 서술하고 일감이 없을 해는 다루지 않았던 것처럼

또한 때론 자신이 주어가 아니라 알바한 소학교 학생이나 대학에서 가르친 영어에 관심없는 일본청년의 취업문화가 중심이 되기도 한다.

고생 끝에 교수 취직으로 성취헀다는 기승전결의 스토리라인도 아니며 마지막의 수술은 클라이맥스가 아니다. 그래서 더욱 더 후속 이야기가 궁금하고 저자가 쓴 학술서도 읽고 싶어진다. 아직 맛만 보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케이팝 데몬헌터스 50년대 모타운 버전 재해석

편곡의 악마 3분 유투브에 상륙
모타운 진짜 잘 아는 천재다

골든
https://youtu.be/MJ-GMHcbocM?si=C-6DpA8wv9BTXK-7
소다팝
https://youtu.be/2gNntED4qm4?si=gd9smgaxgyXkw-cc
사자보이즈
https://youtu.be/xBh8jDYxmAw?si=RDc9QjY4tv58s4K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