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전당에 다녀왔다. 국제섬유미술제에서 오돌토돌한 섬유를 눈으로 맛 보고 씹고 뜯고(아니 그건 아니고) 즐기고(이건 맞지) 한국화협회전을 가기 위해서다. 구구오오 우는 산비둘기 울음소리를 들으며 뇽뇽뇽-뇽 하며 달리는 전기버스를 타고 우면산에 도착했다

도쿄 신미술관에서 백일회 독립회 서도협회 등 일본예술협회 대관전을 보고 그 수준에 너무 놀랐던 적이 있다. 역시 에도시대부터 비주얼 컬쳐가 발달한 일본의 저력이라고 생각했다

어제 개막한 예술의 전당 한국화협회전을 가서 그 생각을 수정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대단한 수준의 화가들이 알음알이 작업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정선이나 김홍도의 그림은 그 시대에 그런 그림을 그렸기에 희소해 가치가 있다. 이제 시대가 바뀌었고 한지, 붓 등 도구의 수준이 나아졌으니 이전보다 나은 그림을 그리는 게 맞다. 거대한 화면에 훨씬 더 쨍하고 선명한 수묵과 한국화가 펼쳐져 있다. 우와우와 허얼 하면서 종종걸음 치며 그림을 맛봤다(아니 그건 아니라고)


아마 전업작가는 그렇게 많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까페를 하거나 가업을 잇거나 임대료가 싼 지방에 거주하면서 작업을 할지도 모르겠다. 상업용으로 파는 작품이니 작품의 수준은 저점이 담보되고 협회라서 어느 정도 투명성은 보장된다. 물론 나름의 고충은 있겠지만. 우리나라 미용협회나 안경협회에서 나름의 정화작용을 거쳐 신뢰도를 높이고 이를 담보로

가격을 올렸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협회의 기능이겠다


무료전시이고 한국화라 그런지 관중에 젊은 사람이 없고 대부분 나이가 지긋한 분들이다. 아마 SNS에 홍보가 안되어 몰라서 더더욱 그럴 수 있다. 미대생들에게는 또 하나 배움의 장이될만큼 대단한 수준의 작품들이 있다. 예술가는 자신의 재능이 아직 미약할 때 전성기 작가의 결과물을 보면서 끊임없이 자기 혐오와 열등을 갖게되지 않을까. 예술가의 숙명이다. 선생이자 선배가 시장에서는 경쟁자다. 나도 그들처럼 해야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은 단축시킬 수 없다. 그러하니 마음의 수양이 필수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