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s2a.kr/
유영하는 선 FLOATING LINES
박인경, 차명희, 김미영, 엄유정
APRIL 8 - JULY 5, 2025
S2A는 오는 2024년 5월 8일부터 7월 5일까지, 《유영하는 선(線) Floating Lines》전시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서로 다른 세대의 네 명의 여성 화가, 박인경(1926), 차명희(1947), 김미영(1984), 엄유정(1985)의 ‘선’ 작업을 한 자리에 모아 조망합니다. 종이 위에 그려낸

섬세한 선부터, 유화 특유의 깊이 있는 질감까지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이들의 작업은 끊임없이 흐르고 변화하는 삶의 형태와 순간들을 자유롭고 유연한 붓질로 담아냅니다. 세대를 초월한 네 명의 여성 화가들이 펼쳐낼 《유영하는 선》 전시에 많은 관심과 관람 부탁드립니다.
삼성역에서 개포로 넘어가는 고개에 있는 S2A에 다녀왔다.
의류패션기업이 모태인 글로벌세아그룹 산하 갤러리다. 휘문고부근에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윤형근을 묶어 <필(筆)과 묵(墨)의 세계: 3인의 거장>전을 했는데 한문해설이 아주 자세하고 기획도 선명하고 동선이동도 깔끔해서 좋았다. S2A는 넓고 직관적이 공간에 작가의 화풍을 대표하는 핵심작품만 엄선해서 적절하게 배치해 보고나서 무엇을 봤는지 정확히 기억나게 해준다. 확실히 브랜딩, 마케팅 기반의 기업이라 코어 메시지 전달력이 좋다.
이번 전시도 좋다. 출품하는 작가 모두 여성이지만 여성을 전면에 부각하지 않았다. 현명하다. 미술가로서 그들에게 주목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기획 자체에 여성 작가 4명마 포함했으니 그 이상으로 전면에 내세울 필요없다. 과유불급이다. '여성'미술가를 강조하게 되면 미술에서 '여성'만 찾기마련인데 이 전시는 여성이 중요한게 아니라 회화작품 속 '선'의 유동(flow)에 방점이 있다. 그러니 '여성'이라는 카피라이팅을 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오독을 유발한다.
2024년에는 여성미술가를 주목하는 전시도 열리고 책도 많이 나왔다. 대표적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의 아시아여성미술가 전시 <접속하는 몸>이 있었고 2권 합해서 950쪽에 달하는, 현대미술포럼이 기획한 한국 근현대 미술을 만든 여성들: 그들도 있었다 2권 세트도 있다.
린다 노클린의 위대한 저서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에 따라 여성이 주목받지 못한 여러 환경적 제도적 요인에 주목하며 그들을 조명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지만 반대로 미술가로서 본질이 잊혀지고 "여성"이 전면에 부각되어 과연 그들이 여성에 대해 무엇을 말했는가에 천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여성의 몸, 여성으로서의 사회적 차별 등등. 여성이라는 점을 지우고 그냥 미술가로서만 보길 원하는 전시는 여성을 강조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들어가자마자 4명의 작품을 한 눈에 담게 다이제스트로 배치했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진입해 안을 완만한 호로 훑고 왼쪽으로 나오는 구조다. 동선이 아주 깔끔하고 좋다.

하이라이트쳤다
빨간색이 박인경
노란색이 엄유경
파란색이 차명희
보라색이 김미영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박인경의 수묵화 → 차명희의 존재론적 유화 → 엄유경 → 김미영으로 배치되었는데
전시의 글은 박인경 → 차명희 → 김미영 → 엄유경 순으로, 김미영의 리드미컬한 선을 엄유경이 받아들였다는 식으로 서술되어있다. 둘의 1984년, 1985년생으로 거의 같은 나이이며 작품상으로도 영향을 받은 것 같지 않다.


박인경, 숲8, ink on paper, 연도미상, 이응노 미술관 소장
(수묵의 붓질이 보인다)

디테일, 차명희, 순간, 캔버스에 아크릴과 숯, 2024
(숯조각이 보인다)

디테일, 엄유정, Balloon Vine, 캔버스에 구아슈와 아크릴, 2021
(구아슈 선이 보인다)

김미영, Snow Ball, oil on linen, 2023
(물감이 마르기 전 다시 색을 덧입힌 웻 온 웻 기법으로 인해 섞인 선의 궤적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