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그림작품, 아이돌굿즈, 혹은 부동산을 구매하는 외국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어떻게 셀링할지 구매자입장에서 상상하면 더 다차원적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일본인은 아날로그 지식을 신뢰하는 편이다. 자국어로 쓰여진 기사가 종이로 인쇄되어 정돈된 정보로 제공될 때 신뢰감이 높아진다. 미국도 월마트 코스코 트레이더조스 홀푸드마켓 순으로 마트브랜드와 사회경제적 계층이 같이 가듯 일본도 잡지구독이 그렇다. VIP만을 상대로 하는 고급 잡지도 있다. 그런 잡지에 소개되면 셀링점이 잡힌다. 다만 소개된 것 이외에는 사지 않아 현장 네고는 힘들다. 그러니 잡지기사 같은 사람이 컨택하면 브아이피급으로 맞아주기
중국인은 꽌씨가 중요하다 인맥으로 접근한다 중간 브로커가 있다는 뜻. 예고없이 그냥 방문한다. 슥 둘러보고 다시 온다. 중국인 남자는 짧은 머리에 꾸미지 않아 커스터머로 대접하지 않으나 그런 사람들 중에 정찰대가 있다. 그들만의 단톡방에 정보가 전해지고 이후 대리구매를 하거나 직접 방문하는데 현장 네고도 가능하다. 안되는 것도 없고 되는 것도 없지만 안되는 것도 되기도 한다.
옛날 우리나라 면세점이 중국인들에게 팔 때 직접 와서 구매한 사람들은 다 보따리 상인이다. 라이즈방송 키고 있다가 지명하면 그거를 사서 주는 것. 굿즈를 대량으로 구매해 리셀하기도 한다. 한 사람이 사는 양이 어마무시한데 다 개인용도가 아니다
셀링포인트는 다른 국가와의 차별성이다. 중국입장에서 동쪽에 한일 남쪽에 인도 북쪽에 러시아다. 여러 가능한 선택지가 있고 여러 지역을 컬렉팅하고 싶기도 하다. 우리만의 무언가를 보여주면서 기술적 완성도가 있어야한다.
그런 의미에서 5일 남짓 공간대여해서 판매하는 영아티스트들에게 기회가 가지 않는다. 너무 짧다. 국제바이어와 링크가 되려면 1달 이상은 전시가 지속되어야 한다. 미술관이 있지만 미술관의 기능은 공공성에 있다. 상업을 위한 게 아니라 시민의복지를 위한 기관이다
그러니 해외화랑이 더 성장한다. 인맥 커넥션 지속성 신뢰 담보하기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