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오모리에 있는 1904년(메이지37) 아오모리 은행기념관(青森銀行記念館)이다



지식이 많아지고 사물을 인내심을 갖고 디테일하게 바라보게 되면 세상을 읽는 것이 참 재밌다


지적 해상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흑백 브라운관이 아닌 올레드 디스플레이로 세상을 경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1단계는 와 예쁘다

- 비율이 안정적이고 장식이 조화롭다고 생각하지만 큰 관심 없음


2단계는 서양풍도 조금 보이네

- 서양건축 같은 요소들이 눈에 띄지만 정확한 용어는 모름


3단계는 서양식 네오클래시시즘 외관에 일본 목재건축기법을 사용한거네

- 삼각형 지붕(페디먼트), 둥근 지붕(큐폴라), 코니스, 아치창 등에 대해 설명가능


4단계는 서양의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와 일본의 화양절충(和洋折衷) 스타일이 함께 보이네

- 페디먼트는 있으나 프리즈는 없는데서 빌려오되 생략하고 로컬화한 것을 발견


5단계는 러스티케이션으로 무게감을 조절했구나

- 재료와 질감 읽을 수 있음


구체적으로

1층 하단부에 돌출된 큰 블록(러스티케이션 rustication)의 원래 기원은 르네상스 이탈리아 궁전(Palazzo)양식. 1층을 거칠게 처리하여 안정과 힘을 보여주던 기법인데 아오모리 은행기념관은 목조라서 러스티케이션을 시각적 질감으로 흉내만 냈다는 것을 간파. 덕분에 건물이 아래는 무겁고 위로 갈수록 가벼운 인상을 줌


6단계 큐폴라는 아치구조 기반이네? 필라스터가 아니라 카럼이 하중을 지탱하고 있고!

- 구조와 장식, 내외면 설계도 모두 투사해봄


중앙의 작은 돔(큐폴라 cupola)은 반구형 지붕구조인데, 큐폴라는 무게를 수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아치(arcuated system) 원리를 사용함. 내부는 목재 아치(또는 리브 rib)로 지지하고 외부는 작은 판금(도금) 마감. 이 방식 덕분에 비교적 가벼운 재료로도 큐폴라를 얹을 수 있음. 큐폴라는 건물에 상징적 왕관 역할+시각적 중심점을 만들어줌. 외벽에 붙은 장식기능 필라스터도 볼 수 있게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