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reuters.com/business/retail-consumer/lvmh-finds-making-louis-vuitton-bags-messy-texas-2025-04-10/


21:40 KST - 톰슨로이터 - 로이터 통신은 미국 텍사스 LVMH(루이 비통, 모엣 & 샹동, 헤네시) 공장에서 지난 6년간 고분분투한 루이비통의 노력이 트럼프 재임시간에 어떻게 달라질지 보도하고 있습니다.




6년전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최초로 들어선 루이비통 공장 오픈일에 직접 참석했습니다. 그 이후로 루이비통 텍사스 공장은 루이비통의 골치아픈 공장으로 떠올랐습니다. 전세계 루이비통 생산공장중에서 최악의 생산성과 품질을 보여 꼴찌를 도맡아 했습니다.




2019년 문을 연 LVMH 텍사스 "로샹보" 공장

초기에는 가죽 절단,재단에서 무려 40% 손실 보여. 꼴찌에서 2번째 공장이 평균 20% 손실율 기록

품질 및 마감에서도 도저히 답이 안나오는 숙련도. 마감 박음질 조차 제대로 해내지 못해.

가죽 마감이 불량이라 토치로 지져서 불량 마감을 숨기는 사례가 속출하기도

초기 몇년간 불량 백들이 트럭으로 수백대를 실어날라 폐기 조치

나중에는 감독관들이 문책 피할려고 앞장서서 불량 마감 및 은폐 조치 지시해

로샹보 공장에는 루이비통 최저가 라인업 백들만 생산 맡겨. 그나마 그것도 생산불량 높아.

프랑스 루이비통에서 직원 교육만 6주. 그것도 최상위 장인 교육관들이 직원 교육 전담.

텍사스 루이비통에서는 직원 교육에 2~3주. 그것도 생산 작업과 병행해서 직원 교육 실시.

그나마 있던 직원들도 고숙련 작업 기피현상. 페덱스나 UPS 택배직업으로 이직선호열풍.



그러나 루이비통은 계속해서 텍사스 공장을 증설하고 규모를 넓히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입니다. 트럼프의 무역분쟁에서 Made In USA는 결코 피할 수 없는 일임을 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