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990, 토플 120, JLPT N1, HSK 6급(이젠 7-9급) 유럽어 C1을 보통 고급이라고 말하지만 외국인 기준에서 고급이다. 우리나라말을 배우는 외국인이 토픽6급을 따면 칭찬해줄 일이지만 한국인 네이티브 입장에서는 아직 배워야할 것 천지다.
자동차 면허증 같은 거다. 진정한 걸음마의 시작이다
영어로 교육을 받아도 아직도 모르는 단어가 많다
고교때 읽었던 워드 스마트 지니어스에서는 abecedarian알파벳을 처음 배우는 초심자라는 표현이 특이했다
매일 뉴욕타임즈를 읽을 때 한 단어 정도는 모르는 단어가 나온다
처음 시작하는 inchoate
역겹다 nauseating
왁자지껄 걸걸한으로 raucous 등을 배웠다
뉴욕리뷰오브북스는 kafkaesque, rabelais가 나오는데 이때부턴 언어가 아니라 문화지식의 영역이다
저번에는 듣도 보도 못한 louche라는 단어가 있었는데 문란한 promiscuous라는 말이었다
한자도 그렇다 박물관 서예관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는데 배울 게 많아서다
남들은 그냥 쓱 한자네 하고 지나가지만 서당 비슷한 곳을 다녔던 입장에서 여기는 풍부한 예문 천지다
심지어 좋은 전시는 한국어 해석도 다 베풀어준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사립에서는 코엑스 고개에 있는 S2A의 김정희 윤형근 정선전이 원문 한글해석이 길고 좋았다
경기도박물관 김가진 서예에서는 물 졸졸 흐를 잔을 처음 배웠다

왕을 칭할 때는 다시 라인을 띄워 위로 올려준다. 여기선 지존이 그렇다.

독일어 프랑스어도 잘 하고 미술관에 가면 캡션 설명 읽으며 배울 게 많다. 영어 설명이 없는 자국 특유의 표현과 문장 구조에서 특별한 감각이 느껴진다.
일본어도 아무리 파파고 번역기가 있어도 직독직해가 되면 일본 전시에서 배우는 게 많다
신문과 미술관이 최고의 선생이다
신문은 현재의 글을 읽기에 좋고
미술관 박물관은 과거의 글을 읽기에 좋으며
이 모든게 내 안에 버무려져
나는 미래의 글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