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ehwamuseum.org/exhibitions/current-upcoming/

세화미술관 초현실주의전에 다녀왔다


현대예술에 관심있으면 근처 성곡미술관의 젊은시각, 새로운 시선전과 함께 방문해도 좋겠고, 초현실주의에 관심있으면 MMCA덕수궁의 초현실주의와 한국근현대미술을 보는 것도 참 좋겠다

전시는 무료다. 주제 자체가 낯설고 인기가 덜하기도 하고 작품의 임팩트나 종류가 덜해서다. 허나 출품 작가들이 귀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길게 잡아도 1시간이 채 안걸려 가볍게 볼 수 있다. 시간도 그러하거니와 주머니도 가볍게.


로르 푸르보의 작품에서는 알몸의 프랑스 할머니가 번지점프하다가 자유롭게 접혀 날아다닌다. 김명범이 직관적이고 위트있다. 풍선 길들이기, 양초위에 자란 나무, 힘을 잃은 화살 등 일상적인 사물을 낯설게 보게한다. 인도 고아의 농인들이 부르는 노래와 눈이 보이지 않게 블러처리한 사진에서는 청각신호를 듣지 못하는 자들의 음성출력, 시각신호를 감각하지 못하는 자들의 시각출력이란 무엇인지 질문한다. 심래정의 팔리박사의 목욕법 연작에서는 수도꼭지가 뾰족한 철로 만들어져 모나 하툼의 휠체어를 떠올리게 한다. 디지털 프린팅 위에 벌레 긁어먹은 듯한 유리창 기스를 낸 작품도 있고, 마지막에 이르러 이시 우드와 파이퍼 뱅스에서 초현실을 나타내기 위해 표현기법과 조형요소 둘 중 하나는 조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기존 유화 질감에 현실에 없는 오브제 구도를 만들거나, 있는 요소에 증기나 매지컬 아우라를 심는 것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했지만 현대예술은 어떻게 탈맥락화시켰는가 그 아이디어를 파악하는 재미가 있다. 초현실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한 작가의 작품에서 공통 모티브를 파악하는 것이 흥미롭다. 작가는 수많은 생각을 해야하지만 관객은 쓱 지나가 작가로선 ROI가 좋지 않다. 현실을 초월해서 기존에 없던 생각을 짜내야하나, 무를 무한정 만들 수 없기에 도식화된다. 현실이 오히려 자유롭고 초현실이 작위적이된다. 기존에 없던 이야기를 설득력있게 전달하려면 기존 꿈, 환상, 경계, 판타지 같은 도식을 재활용할 수밖에 없어 패턴화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