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공대생 중에 이렇게 신박한 기술을 구현했는데 시장에 내놓으면 날개 돋힌 듯 팔리겠지? 하는 경우가 있다. 인문대생 중에도 이렇게 귀한 지식인데 사람들이 당연히 알아야해 하는 경우가 있다 경제경영하면 주식투자 성공하겠지? 처럼 나이브한 생각이다. 군대에서 너 음식점 알바 해봤으니까 취사병해, 라고 하는 것처럼
가만히 보니 이런데서 이렇게 돈이 벌리는 것 같다
1. 본능적, 생물학적, 사회적 욕망자극
남성의 성욕, 여성의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구, 자아효능감, 우월하다는 엘리트의식, 뒤쳐지고 싶지 않다는 위기의식, 빨리 돈 벌고 싶은 마음
2. 가만히 있어도 눈 감고 일어나면 알아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채집해 가공해서 팔기
-원자재보다 가공과 유통단계에서 돈이 된다
눈 깜짝하면 성장하는 아이들 교육
원유 가공_ 정유산업, 플라스틱 생산
물_채취는 원가가 안든다 천원 생수 유통비 및 냉장고 보관비로 800원 지불
술
심리 _ 끊임없이 생성되는 고민을 사주타로굿점으로 해결
3. 사교육이 돈이 되는 이유는 상대평가 제도에서 결과가 명확하고 주변에서 다 보내고 원래 그렇게 해왔고 계층사다리를 제공하기 때문
자기만족을 위한 공부나 마이너한 분야는 쉽지 않다. 그걸 배우려는 사람은 정당한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 무료로도 얼마든지 좋은 가이드가 많기 때문.
하지만 모두가 돈을 쏟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생명과학도 분자생물학이나 인체학 같이 제도권의 주류로서 각종 시험과 직접 연관성 있는 게 아닌 다른 분야, 예를 들어 생태학이나 환경학은 혹은 고고미생물학은 외면된다
교육에 돈을 쓰는 이유는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필요해서(아웃소싱)
명확한 결과(시험성적 상승)
그로 인한 자기효능감상승 및 실질적이득(내신고득점, 입시승리)
향후 돈을 벌 것으로 생각되는 각종 자격증취득(각종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