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국립중앙박물관과 어제 강릉 단상
1. 강릉시립미술관 솔올과 교동 2원체제. 솔올 입장에서는 독립관 유지 못하고 시립에 먹혔다 생각하겠지만 지방에서 시립이 메이저여야하는데 마이어 유명세에 너무 사람이 몰려 존재감을 위협했을지도 모른다. 원래 시립미술관(교동)에는 사람이 없었다. 한 명도
하지만 작품 수준은 놀라웠다. 썰물과 밀물을 맞으며 바닷가의 해풍을 맞으며 작품을 만드는 김용원, 고즈넉한 산수로 평화로운 분위기가 영롱한 하연수, 방해석 돌가루로 단아한 산능선을 조선적으로, 목탄으로 돌을 남종화처럼 그리는 박영학
2. 국중박 선사관 올해 2.15에 리뉴얼 재개관했다. 신경 쓴 티가 역력하다. 돌도끼를 어떻게 만드는지를 자세히 소개하고 천문과 고구려무덤 이머시브 전시를 통해 교과서에서 없었던 시각적 설명을 더했다. 자연사가 다소 부족하던 한국에 토층 단면을 보여주고 그 위에 빔을 쏴서 디지털감성을 줬다. 선사시대 움막을 가지로 엮은듯 표현해 콘텐츠와 표현의 내외일치가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