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올 환기전에 다녀왔다. 기부체납된 솔올은 강릉시립에 흡수되어 솔올과 교동 2원체제이다. 아직 네이버지도에는 업데이트 안되어 헷갈리게 되어있다.

정리하면

관동중/터미널 옆 마이어가 지은 솔올

제일고/구법원 옆 기존 강릉시립 교동

택시기사님에게 전달할 암호다. 기억하자.

강릉역에 내리니 여우비와 함께 물기 잔뜩 머금은 봄태풍이 술렁인다. 솔올의 백색공간은 마치 캘리포니아의 작열하는 태양 아래 하얗게 눈이 시리도록 반사되는 빛의 사막 같다. 선글라스가 필요할 정도로 찌르듯이 쨍쨍한 빛은 한국적이지 않아 마이어가 디자인한 전면 백색 건축에 눈부시게 반사되는 정도가 아니면 경험하기 어렵다. 환기의 후반 뉴욕시대의 작품들과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에어앤사운드 2-X-73에서는 실핏줄처럼 피어오른 운무가 스르르 스며든다. 구름이 산 능선을 휘감고 자욱하게 그리움이 피어나는듯하다. 3-7-1972에서는 고국의 산등성이가 아련히 일렁이고

바다 건너 두고 온 자신의 조각들이 포개져 내려앉는다. 17-7-71에서는 전남 앞바다 자욱한 물보라 사이로 우뚝 선 절벽에 언뜻 부처의 자비로운 얼굴이 스르륵 스친다.

환기 뉴욕시대 작품은 사무치게 그립다. 매 번 볼 때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같은 색면 추상계열로 분류할지언정 로스코처럼 종교적이지 않고 뉴먼처럼 개념적이지 않다 조선에서 태어나 일제를 거쳐 산업화를 살고 존슨과 닉슨을 경험한 다층적 배경이 그림에 버무러져있다. 그 작품 심상 공간은 그리움과 햇살이, 조선과 경성과 뉴욕의 레이어가 겹겹이 쌓이는 무대다 바람은 솔솔 불고 빛은 반짝이고 그림이 조용히 말 걸어온다. 저 멀리 보이는 그곳이, 네가 두고 온 네 자신이 아니냐고

환기의 작품을 걸만한 장소로 솔올이 제격이다 미술관의 하얀 벽 마저 포함해 관객 경험을 완성한다. 단순한 여백이 아니다. 기억을 반사하고 감정을 튕기고 사라진 시간을 비추는 거울이다 환기의 그림이 우리 안에 고요하고 또렷하게 고동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