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루 상설전시


https://theme.npm.edu.tw/exh112/Inkstones/index.html#main














위의 중국어(번체)와 영어를 한글로 번역해보자

硯的珍藏

Preserving the Inkstone

벼루의 보존

 

硯不可一日不洗滌洗硯除了去垢還要以清水養石潤

An inkstone should never go unwashed for a day.

Cleaning the inkstone with clear water not only removes impurities but also nourishes the stone.

벼루는 하루라도 씻지 않으면 안 된다. 벼루를 씻는 것은 단순히 때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맑은 물로 돌을 길러 촉촉하게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벼루는 하루라도 씻지 않으면 안 되며, 벼루 씻기는 때를 제거하는 것 외에도 깨끗한 물로 석윤(돌의 윤기)를 길러야 합니다.

 

 

為了避免燥石收藏硯的硯盒不宜用金屬材質大多為漆盒或木質量身訂製

To prevent the inkstone from drying out, it is advisable to store it in a dedicated inkstone box made of materials such as lacquer or wood rather than metal. These boxes are often custom-made to fit the inkstone precisely.

벼루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벼루를 보관하는 상자는 금속 재질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대부분은 옻칠이나 나무 재질으로 한다. (이러한 보관함은 일반적으로 벼루에 맞게) 맞춤 제작된다.

 

再者凡經手過目的佳硯沒有相機也無妨繪圖模拓加上文字描述留下永恆的記錄

Furthermore, for cherished inkstones that have been appreciated and examined, much have been passed down even without a camera. Drawing, making rubbings, and adding written descriptions can create enduring records, preserving their beauty and significance for an eternity.

또한, 손을 거치거나 한 번 보는 좋은 벼루는 카메라가 없어도 무방하며, 그림 그리기, 모형 탁본, 문자 설명을 더해 (벼루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보존할 수 있는) 영원한 기록을 남긴다.

 





위 중국어(번체)와 영어와 일본어를 한글로도 번역해보자


愛硯成癡

愛好家から

Inkstones, through the Eyes of an Aficionado

애석(愛硯)에 빠진 사람들의 이야기

 

硯痴是指對硯極度迷戀的性情中人

硯痴硯狂)」とは硯好きがじてったように夢中になっているのことです

"Inkstone aficionados" are individuals who are extremely infatuated with inkstones.

"애석(愛硯)"이란, 벼루에 극도로 매료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宋代文人蘇軾米芾(還有)清代揚州畫派的高鳳翰都是歷史上有名的愛硯人士

송대의 문인인 소식과 미불, (그리고) 청대 양주화파의 고봉한은 역사적으로 유명한 애석가였습니다.

宋代文人たちえば蘇軾米芾清代揚州画派高鳳翰などが愛好家としてられています

송대의 문인들, 예를 들어 소식, 미불, 청대의 양주화파의 고봉한 등이 벼루의 애호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Famous historical figures such as Su Shi and Mi Fu from the Song Dynasty, (as well as) Gao Fenghan from the Yangzhou School of Painting in the Qing Dynasty, were all renowned lovers of inkstones.

 

 

 

究竟硯石什麼魅力令人愛不釋手呢

도대체 벼루에는 어떤 매력이 있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손에서 놓지 못하게 할까요?

                       사람들이 손에서 놓지 못할까요?

そこまできつけてやまないには一体どのような魅力があるのでしょうか

그정도로 사람을 끌어들여 마지않는 벼루에는 도대체 어떤 매력이 있을까요?

What is it about inkstones that captivates people and makes them unable to let go?

 

讓我們一起來欣賞硯石之美說說硯石蘊含趣味的故事吧

さんと一緒観賞しながらにまつわる興味深物語をご紹介しましょう

Let us appreciate the beauty of inkstones and share some intriguing stories about them.

함께 벼루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나누어 봅시다.

 

硯一直是人們的好朋友

々にとって大事友人でありけました

Inkstones have accompanied people through the ages.

벼루는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과 함께해 온 도구입니다.

 

電腦鍵盤還沒普及以前天然水筆尚未出現的時代寫字書畫都少不了紙和硯而其中又以硯最能傳之久遠

컴퓨터 키보드가 보급되기 전, 천연수필(만년필)이 아직 등장하지 않았던 시대에는 글씨와 서화 모두 , , 종이, 벼루가 빠질 수 없었고, 그중에서도 벼루가 가장 오래 전해질 수 있었습니다.

パソコンのキーボードが普及するがなければ文字くこともくこともできませんでした長期保存しやすく時代えてぐことができるのです

In an era before computer keyboards were used and before fountain pens were invented, the use of brushes, ink, paper, and inkstones was required for writing and painting. Among these tools, inkstones have stood the test of time.

컴퓨터 키보드가 보급되기 전, 만년필이 발명되기 이전에는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기 위해 , , 종이, 그리고 벼루가 필수적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벼루는 특히 보존이 용이하여 세대를 거쳐 전해져 왔습니다.

 

 

大約有二千年七十萬多個日子硯從出現不斷變化定型化再變化就像流行風潮在不同時代展現出百態千姿

2천 년, 70만 일 이상의 날들 동안 벼루는 출현하여 끊임없이 변화하고, 정형화된 후 변화하여 마치 유행처럼 다양한 시대에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はおよそ二千年七十万える々をしてえず変化定型化されても変化一種流行のようにして時代ごとになる多種多様姿変化しました

For approximately 2,000 years, inkstones have undergone continuous changes, evolution, and refinement, much like the ebb and flow of fashion trends, exhibiting a multitude of forms and styles throughout different eras.

2,000년 동안 벼루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해 왔으며, 유행처럼 시대마다 다양한 형태와 스타일을 보여 왔습니다.

 

展覽將以硯式的發展為陳列主軸穿插與硯相關的點點滴滴期望大家能感受到硯石與眾不同的特性流連於古今用硯人的真情至性之間

本特別展では形状様式発展主軸としてにまつわる々のエピソードもわせてごいただきますならではの特性古今じて夢中になった々のいをじていただければといます

The exhibition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inkstone styles, interwoven with various aspects related to inkstones. We hope that everyone can experienc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inkstones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emotions and sentiments of inkstone users throughout histor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이번 전시에서는 벼루의 형태와 양식의 발전을 중심으로, 벼루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함께 소개합니다. 벼루만의 독특한 특성을 발견하고,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벼루 애호가들의 깊은 애정을 느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