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미소의 법칙 - 83퍼센트만 행복하라!
에드 디너, 로버트 비스워스 디너 지음, 오혜경 옮김, 서은국 감수 / 21세기북스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누구나 모나리자에 관한 추억 하나쯤은 있으리라. 무슨말인고 하니, 먼 나라 미국의 말 - 그러니깐 영어 교육을 정식으로 처음 받았던 때가 내게는 중1때였다. 지금처럼 조기교육의 붐 혜택이라고는 전무후무한 시골 동네이긴해도 유치원을 다녔던 친구들이나 교육열에 조금 관심이 있었던 부모님 슬하에서 자란 친구들이라면 조금씩이라도 접했을법한...ABC송...그러나 내게는 중학생이였던 오빠의 영어책에서 본 꼬부랑 글씨가 참 희한하다 생각했고...그렇게 중학생이 되고서야 ABC를 외기 시작했고, 특히나 경상도에서 나고 자란 우리들의 억양은 모두가 1음절에 있었다. 물론, 영어선생님 조차도 아주 나이가 지긋하신 할아버지 선생님이라 발음에 있어 그리 훌륭한 편은 아니였지만, 억양이 이상한 우리들의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그녀를 초대했다. 레오나르드 다빈치의 그녀 '모나리자'를 불러서는 억양 연습과 발음을 교정해 주었다.

 

그리고 몇십년이 흘러서 루브르에서 다시 보았다. 그러나 사진 촬영이 안된다고 해서 파리의 길거리에서 파는 모방의 작품을 보고 몇장 찍었을 뿐...그녀의 미소를 보면 활짝 웃지 못하고 있다. 그 미소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고 디너 부자들은 모나리자 미소를 통해 무얼 얘기하고 싶었던 것일까?

그네들은 행복을 말하기 위해서, 그동안 우리가 품고 있던 행복의 의미를 다시 말해주고자 그녀를 책속에 초대했고, 난 또 그녀와 마주하게 되었다.

약간 왼쪽을 쳐다보는 눈동자...넓은 이마와 풍만하여 어깨 언저리에는 쇄골 조차도 잘 보이지 않는 그녀의 초상화...

 

우리는 언제 행복한가?

우리는 행복하면 어떻게 웃는가?

행복과 건강, 성공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과연 100% 행복이란 있을까?

10점 만점에 8점 행복과 10점 행복 중 어느 행복이 더 행복할까?

 

위에 제시한 5개의 질문이 디너 부자들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다.

우리는 행복을 느낀다. 그러난 모든 이가 동일한 조건에서 행복을 얻고 느끼는 건 아니다.

모두가 다른 관점에서 행복을 느끼기에 너무나 주관적이다.

그리고, 목젖이 보이도록 웃는 것도 행복이지만, 입꼬리만 살짝 올라가는 것도 행복이다.

언젠가 아는 지인으로부터 들은 얘기다. 우리뇌는 너무나 멍청하여 내가 행복해서 웃지 않더라도 난 행복하다는 주문과 함께 입꼬리만 살짝 올리는 억지 웃음을 지어도 우리뇌는 행복한 줄 알고 엔돌핀을 만들어 낸다고..그러니깐 의도적으로라도 입술꼬리를 줄리앙처럼 올려보자. 아그리파처럼 약간 처진 입꼬리가 우수를 자아내거나 섹시해 보이기도 하겠지만...건강을 위해서, 행복을 위해서라면 그 정도는 포기할 댓가는 충분히 있으니깐...

 

행복한 사람이 더 건강하고 더 성공한다는 말은 과학적으로 입증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고있다.

근데, 여기서 저자들은 오랫기간동안의 특수한 집단을 망라한 여러 실험들을 통해서 제시했고, 또 하난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을 지적했다.

항상 행복한것 보다는 가끔 불행이나 고난, 고통, 부정적인 생각 따위도 섞여 있으면서 작은 행복을 자주 자주 느끼는 것이 훨씬 더 장수하고 더 성공함을 말해주고 있다.

때론 부정적인 생각들이 우리를 더 채찍질 하여 긍정적 에너지를 발산하는 원동력이 됨을 더 강조하고 있다. 늘 부정적이라면 문제가 심각하지만 가끔 슬프거나 불만족스러운 감정을 느끼는 것이 활동의 효율성을 높여준다는 것이다. 전적으로 이 말에 동의 함을 ...

그래서 '마법의 숫자 8'을 제시했던 것이다. 10개를 다 소유한 것보다 8개를 소유하고 부족한 2개들 더 채우려 노력하는 것이 행복이다라는 것이다. 서양의 7이나 우리나라의 3이라는 숫자가 행운의 숫자이듯이 중국에서는 행운의 숫자가 8이라고 했다. 물론,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숫자는 9이다. 8이나 9나 모두 열을 향해 달려가는 숫자이기도 해서 말이다.

그래서 모나리자의 미소를 말하며 모나리자만큼만 행복해지자는 것이다.

오늘 다시 거울을 보면서 그녀의 미소를 흉내 내 본다... 근데, 8만큼보다는 자꾸 9만큼 웃음이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