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부터는 노후 걱정 없이 살아야 한다 - 자식에게 기대던 시대에서 셀프부양의 시대로
강창희.고재량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장 내년인데. 아니 이제 한가위도 지났으니

9월 다가고~3개월만 지나면 또 나는 

내인생의 새로운 시기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그 만남은 결코 반갑지도 아름답지도 않다.

아니 영원히 오지 않으면 좋겠다.

하지만 가는세월을 누가 붙잡을 수있고

오는 나이 어찌 안먹을 수 있으랴. ㅠㅠ



인간은 누구나 책을 보며 꿈을 꾼다!

독자의 꿈이 이뤄지는 숲, 포레스트북스

출판사 포레스트의 슬로건에 흠뻑 빠진

이 감수성 많은 서른 열아홉 소녀 감성의 나!

철들려면 아직도 멀었네요. 어쩔?

암튼 출판사가 내포하는 의미가 너무 좋다며~.



언제 부터인가 책을 읽는 나만의 방법이

생겼는데 목차를 훓은 뒤 차례대로 

읽기보다는 내가 읽고픈 파트부터 읽는것이다.



이번 책에서의 나의 픽은 제3장.

가장 확실한 노후 대비는

평생현역

그렇다. 나는 아직 현역이다.

평생직장은 아니지만 평생직업?

평생직종이라 해야 맞을지도~



잡코리아와 알바몬의 합작으로 직장인

530명에게 질문을 했다고 한다.

작년 9월에(2020년 9월)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몇 살까지 

직장생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예상 퇴직 연령이 

평균 49.7세_ 딱 지금의 내 나이이다.

난 아직 현역이고 앞므로 생각 해보건데

난 10년정도는 더 할듯. 아니 해야만 한다.

실은 맘같아서는 15년은 할것 같은데.

과연 그 때까지 날 인정하고 채용을 할지는..



역사적으로 볼 때" 장수"가 우리의 영원한 행복의 목표였다. 물론 건강하게 장수.

이제는 어쩔 수 없이 장수의 시대가 되었다.

가족력을 볼 때 엄마는 59세. 엄마를 닮은 오빠는

안타깝게도 엄마만큼도 아닌 55세의 나이로

올해 4월에 부모님곁으로 가버렸다.

아빠는 비교적 장수. 현 우리나라 평균 수명과 같은

83세의 나이까지. 

외모는 엄마를 닮았지만 성격은 아빠를 닮은 나는

아빠와 비슷하게 살지 않을까?

  

그러면 앞으로 내가 살아 갈 날은 대략 34년.

그 중에서 난 10년을 현역으로(물론 나의 희망사항).

그러면 나머지 24년은 무직으로 

버텨내야하는 노후이다.



인생 후반을 좌우한다는 5가지 리스크.

장수 리스크, 건강 리스크, 자녀 리스크,

자산구조 리스크, 저금리 리스크!



저축은 없고 자녀도 없고~

건강이야 남들보다 꾸준히 운동을 한다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평생 다이어트를 

해야한다는 강박에 영양을 골고루 

챙기지 못하니 건강마저도 성적은 별로.



이런 낭패다. 이런 낭패가 없다.

남들은 오십부터 노후걱정없이 살아야 한다는데

난 오십부터 아주 불량하게 살아야한다니

("불량한 오십"이라는 책제목이 문득 생각나서)



장수만이 행복이던 시대는 이미 종식.

오래 살아도 빈곤하다면 무슨 소용이겠는가?

설령 돈이 있어도 소일꺼리_일이 없다면 

■재취업

-  재취업사례

- 월 50만 원의 근로소득은 2억원의 

정기예금과 같은 효과

- 부부가 체면을 버리고 허드렛일이라도

하겠다는 마음가짐



■ 자기실현(취미)활동

■ 사회공헌 활동

■ 세 번의 정년

- 고용 정년 -> 일의 정년 -> 인생 정년

(출처 : 본문 p.95)



위의 내용을 보면서 얼마나 공감하고 

또 공감하는지 모른다며.

평생현역, 

과연 어떤사람들인가?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도 많지만,

사라지는 일자리 또한 만만치않다.

퇴직자들이 찾아야하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젊은 세대가 할 수 없는 일

아니라면 젊은 세대가 하려고 하지 않는 일,

허드렛일에 가까운 일.

체면을 버리고 그런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우스갯소리로 택배박스 하나도 제대로 버리지

못하고 정리해서 차곡차곡 쌓아두는 날 보며

친구들은 박스 줍는 어르신들 무리속에

나도 있을거라했는데. 

정말 내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작년 코로나 돌풍을 맞으며 

나에게 새로 생긴 취미가 있다면 그건 바로 등산.

집 근처 가까운 원미산을 걸으며 마주치는

어르신들이 계셨는데.

부천시라는 로고가 적힌 시안컬러 베스트를 입고

산 속에 있는 휴지를 줍고 계셨다.

그걸 보면서 아, 나이들면 등산하면서

건강도 챙기고 휴지도 주으며 알바해야겠다고 

했더니 나와 동행하던 언니들 왈

"내가 먼저 하고 있을께"

"근데 저 일 조차 뒷배경이 속된 말로 

빽이 있어야 가능하지 않을까?"

 우리는 서로를 바라보며 한바탕 크게 웃었다.

근데 정말 그 일을 "쪽팔려" 하지 않아야하고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을 우습게 보지

말아야 하는 시각이 필요할 때이다.



곧 눈앞에 펼쳐 질 나의 오십대와 

우리의 노후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