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힘들고 지칠 때 심리학을 권합니다
박경은 지음 / 메이트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코로나 이후 성격유형을

알아보는 mbti가 이슈가

되고 있다고 한다.



나의 성향, 성격, 기질 등을

잘 파악하여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하는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좋은관계란 무엇인가?

많은 정의가 있겠지만

좋은관계란 유효기간이 긴 관계이다.



이런 좋은관계를 망치는

최고의 적은 질투와 시기심이다.

반면에 좋은관계를 유지하는

키는 존중과 예의이다.



우리는 처음엔 본인을 숨기고

존중하는 척, 예의 있는 척하지만

편하고 가까운 사이가 될수록

우린 초심을 잃고만다.



우리는 사회적 동물이기에

코로나라는 팬데믹속에서도

우리는 관계망을 포기할 수 없다.



어쩌면 우리는 관계중독을

앓고 있는 환자인지도 모른다.



상처 입은 마음을 치유하고,

어린시절 겪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상실감 혹은 은밀한 수치심이나 비밀 등이

관계중독의 원인이다.

(나도 개인적으로 유년기의

트라우마가 나로 하여금

관계중독을 앓게 하는게 아닐런지)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사람은 관계속에서 성장한다.

세상엔 어쩔 수 없는 상황은 있지만

어쩔 수 없는 관계는 없다.



이는 우리 스스로를 아프게 하면서까지

유지해야하는 관계는 없다.

아니, 그런 관계는 우리 스스로

끝맺음 해야한다.

때론, 인맥 다이어트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제 더이상 관계를유지하기 위한

거짓희생은 그만 두어야한다.

요즘과 같이 어쩔 수없는 상황

코로나 사태속에서

잠시 멈춤은 어떨까?



지금은 잠시 멈추고 돌아보자.

어른이 되어갈수록

사람보는 눈이 키워지는것이 아니다.



많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건강한 몸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물리적인 거리를 두자.

그리고 심리적이 거리도

조금은 두어보는것도

나를 객관적으로 잘 돌아보고,

타인도 나처럼 관대하게 보도록 하자.



사람과 사람사이.

사랑도 용서도 이해도

못할 것이 없다.

함께 있는 동안 마음껏

사랑하며 사는것이 현명한 삶이다.

본문 p 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