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의 쓸모 - 결국 우리에겐 심리학이 필요하다
이경민 지음 / 믹스커피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한마디로 심리학을 전공하거나

혹은, 비전공자가 교양과목으로

심리학을 수강중이라면

이 책은 교양도서라기보다는

전공도서로 지정해도 좋을듯.

그야말로 심리학 초보자라면

꼭 한 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요즘 코로나로 인해 혈액형이나

별자리운세, 타로운세보다

더 유행하는 것이 MBTI란다.

(물론, 나도 해보았고 난 ENFJ유형이다.)

처음 심리학과 대면하는 초심자들을 위한

심리학의 관점과

심리학에 1도 관심이 없는 이들도

이름만 들으면 다 아는

프로이트와 칼 융을 비롯하여

에릭슨, 매슬로우까지~

그들의 심릭학을 잘 정리 비교해 놓았다.

흔히들 우리는 심리학을 공부하면

상대방의 행동을 미리 간파할 수 있는

점쟁이나 예언자쯤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행동 뿐만 아니라,

인본주의 심리학

인지주의 심리학도

잘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어린시절 즐겨보던 잡지 부록에서

'심리학 테스트'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비단, 어린시절이 아니어도

성인이 지금도 뻔히 알고 있고

예상되는 답변이 있어도

솔깃하기는 마찬가지다.

나의 화두는 언제나 웰다잉이다.

석사시절 '웰빙'과 '뷰티'를 접목한

논문을 준비하면서 줄곧 그래왔다.

노화와 안티에이징.

성공적인 노화는 과연 무엇일까?

건강한 정신을 바탕으로 질병이 없는 상태

본문 p.268

나이가 든다고 해서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신체적 기능이야 젊은피를

못따라가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

(말은 그렇게 하지만 나 스스로

이미 이 부분은 아주 민감하다.

그러나, 일부러 반대급부로 노력하는 1인)

우리가 심리학을 공부하고 관심을 가지는 건

결국은 건강한 정신으로

건강한 관계를 희망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탄력성이란 게 필요하다.

이 탄력성은 회복력과 다르게

사용되어지는데 이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게 아니라

그 이상의 성장한 상태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위험에 노출되고 불우한 환경속에서

태어난 아이들이라고 성공의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닌데, 이들의

성공한 이들의 특징을 보니

부모외, 조력자가 있었다.

아주 힘든 고통의 순간,

나를 응원하는 조력자.

그 조력자는 조부모, 이웃, 교사 등~

난 그 조력자 중 한명 교사이다.

교사로서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힘을

보태고 싶다.

처음 시작은 심리학의 쉬운 이해와

접근으로 출발은 좋았으나

끝맺음이 조금 약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