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꽃처럼 내게 피어났으니
이경선 지음 / 꿈공장 플러스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예부터 여자를 꽃에 비유를 하였다.

여차여차하다 보니 나도 꽃과 관련된 사람(?)이다.

학부 전공이 원예였다는 것과

꽃을 너무나 사랑한다는 것.

아무렇게나 피어있는 꽃은 없습니다.

마지못해 피어있는 꽃도 없습니다.

당신이 가장 아름다운 꽃입니다.

위의 글은 나의 메일 마지막에 함께

적어 보내는 나만의 메세지이다.

암튼 여자인 나는 꽃을 정말 사랑하고

꽃이고 싶다. 나를 꽃으로 보아주는

한 사람에게. (좀 욕심이 큰가?)

어려운 사랑이지만 그 사랑속에

자신의 삶이 꽃이 되어 피고

찬란하다고 말하는 이경선 시인님.

저자님의 그대는

피어났다가 지고 말았지만,

다시 피어 날 것임을 작가님도 알고

독자들도 알것이다.

저자가 사랑하는 단어는 2개의 명사와

2개의 술어(동사)인듯~

당연, 꽃은 포함되고 꽃 이외의 단어_달.

그리고 또 2개의 단어는 피다와 담다이다.

꽃은 피고 달은 담기는 것일까?

우린 누구나 사랑을 해보았고, 이별을 해보았다.

사랑, 이별_ 이 둘을 경험하면 우리는

시인도 되고 작사가도 되는것을

경험한다.

사랑을 시작할 때 하루 24시간, 1년 365일

사시사철_사계절은 그 상대방으로

채워지고 담기고 피어난다.

나는 습관처럼 책을 읽을땐

꼭 연필이 있어야 한다.

에세이든, 소설이든, 자기계발서이든~

특히나 이런 시집이라면 더더욱 필요하다.

시인의 글을 모티브로 하여

나도 몇 자 적어본다는...

그대는 나의 하루가 되었습니다.

나도 그대의 하루가 되고싶습니다.

그대, 또 나의 하루가 되었습니다.

오늘도 그대 나의 또 하루가 됩니다.

그대는 오늘도, 내일도 나의 하루가 될겁니다.

하지만,

나는 이제 그대의 어제가 되었습니다.

내게 꽃이 진 이후로 두 번의 봄이 왔네요.

그렇게 봄이 되돌아 오듯

이번 봄엔 꼭 돌아오면 좋겠네요.

(코로나19야 어서 꺼져다오.

나의 봄이 오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