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이 된 남자
샤를 페로 지음, 장소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애가 강한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가

거울을 자주 쳐다보는 것이다.

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그러고 보면 나는 참으로 자기애가

강한 사람 중 하나이다.

핸펀 액정화면에도 비춰보고

지나가다 상점의 거울에도 자주 본다.

굳이 자기애가 강한 이가 아니더라도

여자라면, 요즘처럼 정신이 깜빡깜빡할 때면

자주 거울을 봐야한다.

그루프나 핀컬 미용핀(앞머리 고정핀)을

한 채로 지하철을 타기가 다반사라서...

어떨땐 지하철 창에 비친 내 모습을

보고서 그때서야 핀을 빼는 경우도 많으니...

거울이 된 남자

이 제목을 처음 접하고서 나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해서

빠져 죽어서 수선화가 되었다는

나르시스를 연상하였다.

자신을 지나치게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이를 열정적으로 사랑할 수 없다니..ㅠㅠ

사랑을 담을 수 있는 심장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어서 두 사랑을

동시에 품을 수 없기 때문에.

근데 나는 이 말에 반대이다.

자기계발 강사님들, CS강사님들,

이미지 메이킹 강사님들이

말하지 않는가?(꼭 그 강사분들의

말을 빌리지 않아도 말이다~)

자신을 사랑할 있어야만이

타인도 사랑할 수 있으며,

아무리 연인을 사랑한다고 해도

자기 자신만큼 사랑할 수는 없다고~

모든것이 스마트한 지금.

5G. 초기가 21세기, 이 시대에 굳이 17세기

이야기를 우리에게 알려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대도 변하고 사회적 정의도 변하였으나

사람은 여전히 사람이고,

그 사람들에 의해서 사랑, 역사 등의

법칙들은 변하지 않았기때문이다.

누가 그랬다.

3류 소설 나부랭이도, 막장 드라마도

세계 명작들처럼 주제는 딱 하나!

권선징악이라고.

아마도 저자는 거울의 상징성을 통하여

우리에게 교훈을 주고 싶었던 것이다.

솔직함은 세상을 살아가는

아주 중요한 무기이다.

하지만 때로는 하얀 거짓말이

솔직함보다 우리에게

더 위로가 될 때도 있다.

솔직한 표현의 수위를 조절하는 판단력

대상의 다양한 면들을 긍정적인

시각과 사고로 바라보는 균형.

동화라고 하면 나는 솔직히

그림 형제만을 떠올렸다.

하지만 숲속의 공주, 장화 신은 고양이,

신데렐라, 빨간 모자 등

모두 그의 작품이다.

도가머리 리케라는 동화도 있는데

좀 낯설긴 하지만...

약간 미녀와 야수와 비슷한 거 같기도 하고~

어릴적보다 성인이 되고 나서

더 동화를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믿기지 않을만큼 좋은 일이나

기적이 일어나면 우리는

동화같은 일이라고 한다.

내게도 그런 동화같은 날들이 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