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채원 - 가을의 환 / 탕자 또는 탕아
https://blog.aladin.co.kr/790598133/14099869 작년 가을 김채원 작가가 쓴'가을의 환'을 읽었다. 거기 언급된 앙드레 지드의 '돌아온 탕자(탕아)'에 관해 체크해 놓았던 게 떠올라 오디오북 '탕아 돌아오다'(배우 박중훈 낭독)를 듣기 시작했다. '이야기의 힘'(이어령)에 나온 내용을 옮겨본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9805/36/coveroff/e422530707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28/pimg_7905981334097526.jpg)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1636 - Rembrandt - WikiArt.org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426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684/36/coveroff/e912538386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995/28/coveroff/e712430602_1.jpg)
그런데 가족을 떠난다는 건 비단 학교로 향하는 길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성경에 나오는 탕자(탕아)의 예가 그렇지요. 가족을 떠나 세계를 방랑하는 자가 바로 탕자죠. 성경에선 그가 재산을 탕진하고 거지가 되어 돼지먹이인 쥐엄열매로 연명하다 결국엔 부끄러움을 안고서 집으로 돌아온다고 하지요. 그래서 누군가는 그의 방랑을 실패로 간주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 탕아는 집을 떠나갈 때와는 또 다른 사람이 되어서 돌아온 것이니까요. 그의 방랑을 실패라고 간단히 말할 수는 없는 거예요. 예전의 자기, 아버지의 재산을 탐하고 함부로 흥청망청 인생을 낭비하며 만사를 우습게 여기던 그 어리석은 자의 껍질을 벗은 것이니 말예요. 이리 보면 일종의 탈출이 이뤄진 게 아닌가 말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