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걸작의 탄생 - 2014 제5회 김만중문학상 금상 수상작
조완선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2월
평점 :
[걸작의 탄생]을 읽어야 겠다고 마음먹은 이유는 김만중 문학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 때문이었다.
김만중 문학상 수상작중에 [남해는 잠들지 않는다]도 읽었다.
그때 괜찮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선택한 작품이었다.
이 책의 소재는 교산 허균과 연암 박지원이다. 이 두 인물을 어떻게 엮어낼까 참 궁금했다.
소설속 이야기는 끝까지 교산 허균이 홍길동의 자취를 찾아가는 기행과 연암이 교산기행이라는 책을 찾아가는 기행으로 이루어진다. 말하자면 한 소설에 두 이야기가 공존하는 것이다.
이야기는 연암과 친분이 있는 책쾌 조열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된다.
사실 나는 이 책을 끝까지 읽고 조금 실망했다.
작가는 나름대로 교산이란 인물의 행적과 연암이 교산의 기행문을 찾는 여행을 통해 뭔가 교집합을 만들려고 했던 것 같다.
그런데 난 끝까지 서로 따로 논다는 생각이 들었다.
교산이 홍길동의 행적을 따라갔던 여행으로 [홍길동]전이 탄생한 것은 충분이 공감이 간다.
그런데 연암이 교산기행이라는 책을 찾아다닌 여행에서 [허생전]을 탄생시켰다는 것은 억지로 갖다붙인 것 같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리고 교산은 워낙 조선 천지간의 괴물이라는 별호가 붙을 정도로 꺼리낌없이 행동한 인물이니 이 책에서 처럼 홍길동의 행적을 따라 전국을 누볐을 법한 사람이다. 그리고 그대로 잘 그려나갔다.
그런데 연암은 성격이 호방하고 신분에 구애받지않고 친분을 쌓은 면에서는 교산과 비슷하지만 어쩐지 이 작품에서는 연암이 너무 진지하게 그려져서 열하일기에서의 호방함이나 양반전과 호질 등에서 보이는 유머러스함은 전혀 느껴지지않아 아쉬웠다.
그리고 연암은 교산같이 통이 큰 인물이 아니라 겁이 많았다.
그런 연암이 살인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를 따라 여행을 하는 모험을 하면서 결국 찾고자 했던 책도 찾지 못하고 살인사건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흐지부지 끝내는 것도 아쉬웠다.
마지막에 가서 허균의 홍길동전 집필에 장자의 호접몽을 갖다붙인 것도 이야기의 리얼리티를 확 떨어뜨려서 맥이 풀렸다.
작가는 허균이 홍길동전을 집필해야하는 당위성을 부여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더욱 그 부분이 없는 것이 더 좋았다는 생각이다.
이 책을 쓰기 위해서 작가는 나름대로 공부도 많이하고 자료도 많이 찾아봤을 것이다.
그런데 손곡 선생의 시론을 푼 대목에서 "시대를 아파하고 시속을 분개하는 것이 아니면 시라고 할 수 없다." 다산의 시론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손곡 선생의 시론과 다산의 시론이 같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그래도 마음에 걸렸다.
작가가 공들여 써놓은 글에 세설이 길었다. 나보고 이런 소설을 쓰라고 한다면 당연히 쓰지 못한다. 그렇지만 기대한 책이라 많이 아쉽다.
마지막으로 p265 아래에서 둘째줄, 266 아래에서 10째줄에오타 허균이라고 해야하는데 연암이라함.
초판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