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영화 한 편 씹어먹어 봤니? - 학력도 스펙도 나이도 필요없는 신왕국의 코어소리영어
신왕국 지음 / 다산4.0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 공부를 성실히 하지는 않지만 종종 영화를 보거나 티비를 볼 때면 문장을 따라하곤 한다. 얼마나 들리는지, 혹은 얼마나 따라할 수 있는지 가늠해본다. 이렇게 따라하는 것을 두고 '섀도잉'이라고 한다는 것을 신왕국의 '근데, 영화 한 편 씹어먹어 봤니?'를 읽으면서 처음 알았다. 그리고 썩 추천하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도 동시에 읽었다. 간단한 의사소통 정도만 가능한 수준이기 때문에 영어를 유창하게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은 항상 하고 있었지만, 게으름을 이기고 영어 공부라는 실천으로 이끌만한 계기가 크게 없었다. 그래서 혹시, 이 책은 어떤 팁이 될 수 있을까 기대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일단 '라푼젤'을 무자막 상태로 재생했습니다. 영화 대사를 정확히 듣는 데 집중했습니다. 물론 잘 안 들리는 대사가 태반이었습니다. 10개 중 하나는 고사하고 100개 중 하나도 안 들렸습니다. 안 들리는 대사는 다시 반복했습니다. 잘 들릴 때까지 반복해서 들었습니다. ...중략... 대사를 들은 다음에는 그 대사를 따라 말했습니다. 이때 대사가 나오는 것과 동시에 말했습니다. 단순히 문장을 익힌다기보다도 소리 자체를 스캔해 낸다는 느낌으로 최대한 정확히 말하려고 노력했습니다. - p.25 1장 시골 고교 자퇴생, 영어를 정복하다"

 

 저자가 추천하는 영화 한 편을 소화하는 방법의 영어 공부는 이미 익히 알려져 있었다. 언뜻 들으면 좋아하는 영화도 보고 영어도 공부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방법인 것 같지만, 이 또한 공부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집중과 몰입이 필요한 일이라 쉽지 않을 것이다. 실제적으로도 지금의 저자가 있기까지는 영화 한 편 만이 아니라 그를 바탕으로 이어져나간 CNN공부 필리핀 연수, 미국 유학 등의 과정도 함께하기 때문이다. 영어 공부 관련 도서를 읽으면 어느 정도 수준에서 이 내용을 적용해야 괜찮을까 가늠해보곤 하는데, 저자가 시도한 방법 자체가 어느 정도 영어 문장이 들리는 수준의 사람이 해야 좋을 것 같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한다. 정말 전혀 들리지 않는다면 자막없는 영화 한 편 틀어놓고 숙면만 취하게 될테니.

 

 "반복해서 듣고, 반복해서 따라 말하는 것. 그것이 제가 휘두른 주먹이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영어는 강한 상대일 거예요. 이미 여러 차례 영어에게 지기도 하셨을 것입니다. 그렇더라도 영어를 피하지 마세요. 다시 맞서세요. 맞서다 보니 결국은 영어를 이기게 됩니다. 복싱만 하던 저도 해내지 않았습니까. - p.206 5장 방황하던 노답 인생, 영어로 구원받다"

 

 취향의 문제로 자기계발서 같은 류의 책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는 편이다. 특히나 이처럼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나름 성공한 화자의 책은 더하다. 아마도 '생존 편향(survivorship bias)'의 뉘앙스가 강하게 풍겨나오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의 실패 예시가 수없이 많이 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성공자가 나왔으니 이 길을 따라오면 모두가 성공할 것이라는 비전을 강조한다. 성공한 사람들의 글을 읽다보면 할 수 있을 것 같고, 어렵지 않아보인다. 하지만 이는 저자의 표현대로 수학책을 풀지않고 읽기만 하며 공부하는 것과 다름없다. 꿈과 희망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저자처럼 자기만의 방식을 갖고 실천하기를. 해도 안된다면, 몇번이나 실패해서 자신이 싫을 정도라면 포기할 줄도 알기를. 혹시 수없이 많은 도전과 실패를 겪고도 또 새로운 마음으로 이 책을 집어들 사람이 있다면 공유하고 싶은 정보다. 

 

 그동안 만나온 수많은 영어 강사들이 때로는 흘리듯이, 때로는 답답하다는 듯이 강조하는 것이 있었다. 영어를 배우려 하는 사람들의 열정이다. 모든 준비는 다 해줄테니 당신은 열정만 가져오라고 하는 강사도 있었고, 당신들이 항상 그 많은 돈을 쓰고도 영어를 못하는 이유는 영어에 미쳐서 반드시 해보이겠다는 열정이 없어서라며 토로하는 강사도 있었다. 때문에 '근데, 영화 한 편 씹어먹어 봤니?'를 읽으면서 고교 중퇴에 영어를 거의 몰랐던 나도 성공했으니, 당신도 할 수 있다고 말하는 저자의 자신만만함 뒤에 숨겨진 열정을 느꼈다. 그리고 이 무기력한 나는 부럽긴 하지만 아마 이번에도 안될거야 싶은 게으름도 느꼈다. 영화는 즐겁게 보고, 기술의 발전이 빨리 되길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