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 - 여덟 가지 테마로 읽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앙투안 콩파뇽 외 지음, 길혜연 옮김 / 책세상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이미 여름은 지나가버렸다. 야속하게도 절기 입추가 지나자마자 맹위를 떨치던 더위가 사라져 갑자기 찾아온 가을의 선뜩함에 어리둥절한지도 벌써 한달은 지났다. 금쪽같은 여름휴가를 프루스트와 함께하도록 권장하려 했던 이 사악한 책은 그만 여름을 놓치고 말았다. 어쩌면 여름휴가를 몽땅 독서에 잃어버릴 리 없을 것을 알아채고 부러 가을을 맞아 나섰는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든 모든 유용한 것들이 그러하듯, 이 책도 그만큼의 위험요소를 안고 있다. 이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정복하길 실패한 사람들에게도 다시 시작하면 완독할 수 있을 것 같다는 희망을 불어넣어 주는 것이다. 주말을 포함해 약 4박 5일간의 여름휴가 동안 가능할 생각만큼의 일이었다면 이미 실패한 적 없었을 일을.   

 

 아, 프루스트. 그의 이 만연하고 아름다운 작품은 그 이상의 큰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분량이 많은데다가 이어지는 흐름이 순차적 시간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책에서 표현했듯 " "불행한 일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으려면 중병이 들거나 한쪽 다리가 부러져야만 한다는 것이다"라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동생 로베르 프루스트가 한 이 말"처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기위해 시도하였다 무참히 패배한 독서가들 중 하나로서, 약 5년 전 즈음에 한 출판사에서 새로이 출간한 것을 두 권 정도 읽다가 그쳤던 기억이 있다. 그때 처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접했는데, 읽기 까다로와 몇 문장을 되새기듯 반복해서 읽게 만들면서도 계속 다음 문장으로 눈길을 끄는 아름다운 문체가 매력적이었던 인상이 남아있다.

 

 책세상의 '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상세하고 면밀히 분석한 총 여덟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책 안에서 길을 잃어버린 독서가들의 믿음직한 길잡이가 되어줄만한 책이다. 이는 각 시간, 등장인물, 프루스트와 사교계, 사랑, 상상의 세계, 장소들, 프루스트와 철학자들 그리고 예술로 대표된다. 이 테마들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이루는 기본 골자를 파악하도록 보조하면서 작품 면면의 의미로까지 확장되어 독자들의 사유를 확장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는 것도 벅찬데, 한 권 분량의 책이 하나 더 권장됨에 좌절할지 모르지만, 사실 중간에 첨부되어 실린 책의 분량이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부담을 덜어도 될 것이다. 더 솔직하자면, '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을 읽으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굳이 완독하지 않아도 될 것만 같은 느낌도 든다.  

 

 개인적으로 철학들과 관련된 테마와 예술은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으나, 어려움을 느꼈던 시간과 등장인물에 대한 테마에서 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기 어려웠던가 갈피를 잡도록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가장 심취해서 읽은 부분은 사랑 테마였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어"이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폭넓은 공감대와 큰 관심을 갖는 주제이기도 한 이 테마는 소제목 단락들마저도 하나같이 인상적이었는데, "혹은 결국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붙잡을 수 없음을 느끼며 괴로워한다. 또는 우리가 붙잡은 사람이 상상했던 것과는 퍽 다르다는 것을 느끼며 괴로워한다. 그러므로 행복한 사랑이란 없다. -p.132 제 4장 사랑 1 독자의 초상" 과 "그러므로 질투는 사람 자체보다 우리가 체험했다고 믿은 현실에 대한 우리의 의심을 나타낸다. -p.161 제 4장 사랑 4 질투"의 부분들이 깊이 공감되었다.

 

 첫머리에 로베르 프루스트가 한 말이 특히나 공감되는 것은 얼마 전 토지를 두고도 병상이나 옥중에서 완독할 수 있는 작품으로 표현했던 한 티비 프로그램을 봤기 때문이다. 두 작품에 대한 묘사 뿐 아니라 가지는 의미 또한 비슷하고, 완독에 실패했다는 결과도 같아 개인적으로 연관하여 떠올리곤 한다. 때문에 '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을 통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이 생기는 한 편, 완독만이 독서의 형태는 아니라는 것 또한 동시에 생각한다. 완독하지 못한 책에 대한 부채의식을 갖는 것은 즐거움으로서의 독서가 아니니. 다만 각 부분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읽는 이를 이끄는 도움이 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해석과 감상을 고정시키는 한계도 보인다. 물론 모든 길 잃은 독자를 위한 친절한 안내자가 되어주기 위한 선의는 분명히 드러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고 싶지만, 여러 이유로 어렵다면 가을을 맞아 '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으로 대체하여 시작해본다면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