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프라우
질 알렉산더 에스바움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인생에서 그전까지의 모든 순간이, 중요했던 때와 중요하게 보이기만 했던 모든 대가 합쳐져 이 강렬한 순간의 총합, 단 한순간이 되었다. 심장 한 번이 뛰는 짧고 날카로운 찰나에, 그녀는 이제까지 했던 말, 했던 일 중 그 무엇도, 앞으로 하게 될 말, 하게 될 일 중 그 무엇도 이 비극의 반에도 미치지 못하리라는 것을 알았다.

안나는 프리크에서 뭄프로 가는 기차 창문을 내다보았다.

그 남자를 만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전업주부인 여성들이 결혼을 위해 낯선 곳으로 이사를 하고 그 곳에서 새로운 터전을 잡는다는 것은 크나큰 고독이다. 그녀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모든 골목을 속속들이 알고, 어느 시간에나 만날 수 있는 친구나 가족들이 없는 곳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게 되는 것은 참 심심한 일이다. 더구나 성인이 된 이후로는 '같은 모임, 아는 사람'이 될 수는 있지만 친구를 사귀는 일도 쉽지 않다. 주인공 안나는 결혼 후 남편을 따라 스위스에서 살게 된다. 안나는 독일어를 모른다. 그녀에게 스위스는 항상 낯선 외국으로 묘사된다. 안나의 시선을 따라 바라보는 모든 것들은 다 건조하다. 자기 자신과 부주의하게 드러내놓은 숨겨야 할 비밀스런, 자기파괴적인 행동과 관계들을 제외하고는. 안나의 행동이 지나치게 충동적이고 부주의했다는 것에서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왜 그랬는지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 있었다. 읽으면서 안나의 무절제하고 위태로운 행동들이 멈춰지고 그녀가 안정된 삶으로 돌아가길 바랐으나, 읽고 난 후에는 안나가 그녀의 삶에서 배척되고 상실감에 고독했을 것이 떠올랐다.

 

 안나에게는 가정만이 있다. 남편과 세 아이. 그녀의 일상에서 직접적으로 교류하는 것은 남편의 가족들, 시어머니와 남편의 동생가족 뿐이다. 그녀로부터 연결된 것은 외국인이라는 공통점 뿐인 몇몇의 지인 뿐이다. 그들도 그녀와 마찬가지로 스위스가 낯설고 배려받지 못한 대화에서 배재된다. 안나에게 말과 음성이 중요하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은 여러번 묘사된다. 다른 이들의 억양, 발음을 유심히 듣거나 자주하는 실수가 무엇인지 짚어내거나, 근사한 음색을, '단어에서 느껴지는 살결'에 매료되는 모습이 보인다. 그런 그녀가 소통할 수 없는 곳에서 소통할 수 없는 사람과 함께 있으며 느낄 외로움이 구석구석에서 천천히 눈에 띈다. 안나는 남편을 사랑했다. 어느 순간에는 그것이 결혼을 결심할만큼 강렬했고 그 뒤로도 그녀의 삶이 지루할만큼은 계속 이어졌다. 하지만 때로 보이는 의무감, 배려가 섞인 분리된 각자의 시간이 그녀가 원해서 주어진 것이 아님을, 브루노의 태도에 어떤 종류든 긍정적인 감정이 섞여있을 때면 그것을 기민하게 알아채거나, 끊임없이 자신이 매력적인지 확인하는 태도가 그녀가 원해서 주어진 겉으로 평온한 관계가 아님을 보여준다.

 

 안나는 아내로서 생활하는 것 이상으로 여성으로서 사랑받길 원한다. 그녀가 갈구했던 것은 그녀를 여성으로 사랑해줄 남성이었으며, 땅에 발을 딛고 살아가고 있다는 현실감을 줄 소속이었다. 안나는 독일어를 배우기 위해 학원을 다니고 있지만 그 안에서 조차 사람들은 인종별로 갈려있다. 영어권끼리, 아시안끼리, 쉬는 시간이 되면 따로 앉아 무리를 이룬다. 그녀 나름대로 무리 안에 속하여 살아가기 위해 열심히 독일어를 배웠지만 '그들'이 실제 구어로 사용하는 것은 독일어에서도 변형된 슈비처뒤치다. 안나가 아무리 따라하려해도 같아질 수 없는 시볼레스를 가진. 그녀는 낯선 곳에서 항상 이방인이었고, 그곳과 그녀가 분리된 상태를 느꼈다. 그리고 의식적으로 더욱 그녀를 그곳과 분리되도록 만들었다. 그녀가 원해도 들어갈 수 없는 경계밖에 있다는 의식이 스스로도 속하길 원치 않은 것처럼 보이도록 더욱더 자신을 떨어뜨려 놓는 것이다. 남편인 브루노는 그녀가 슈비처뒤치를 배워야 함을 공공연히 드러내 표현한다. 파티에서 내국인들끼리 모여 대화를 나누면서, 더 이상의 새로운 사람과는 관계맺기를 거부하면서.

 

 흐름은 매설리 박사와의 상담과 긴밀히 교차된다. 안나의 일상, 행동들과 박사와의 상담 시간에 나누는 대화들이 오가며 안나가 드러내려고 하는 것, 하지만 숨기려고 하는 것들에 대해 독자의 시선을 집중시킨다. 그리고 안나의 생활과 상담 시간이 현실에서 교차하는 순간 그녀의 내면과 외면이 비로소 한데 모이듯이 안나는 자신의 삶을 직시하고 선택한다. 안나가 저지른 불륜들은 그녀의 내면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했다. 스위스의 기차가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듯, 정해진 결말로 흘러가는 단절되고 좌절된 공간에 놓여진 인간의 종착역을 보여주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