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빈센트를 잊고 있었다 - 빈센트 반 고흐 전기, 혹은 그를 찾는 여행의 기록
프레데릭 파작 지음, 김병욱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는 견자였다. 다시 말해, 자신들의 소유물에 눈이 먼 물질주의 소부르주아의 정확한 반대였다. 빈센트의 정신은 전혀 다른 것에 사로잡혀 있었다."

 의심의 여지없이 세계인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화가에 대한 신간이다. 너무나 유명하고, 또 그만큼 잦은 빈도로 생활속에서 소비되어 온 작가의 이미지와 작품들에 아직 더 할말이 남았을까? 수많은 반 고흐의 전기와 도록, 전시 사이에서, 지금 우리가 프리데릭 파작의 눈과 손으로 재탄생한 반 고흐에 무엇을 기대하며 만나봐야 하는 것인지 그것에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지 궁금증이 생겼다. "반 고흐에 열광하는 이유를 이처럼 강렬히 드러낸 작품은 이전에 없었다"고 표현하는 소개 문구에 그를 너무나 사랑한다고 손꼽는 수많은 개인들을 떠올려보았다. 파작의 시선이 이들의 이목을 끌 수는 있으나 갈급까지 채워줄 수 있을지 생각하며 책을 펼쳤다.

 

 '나는 빈센트를 잊고 있었다'의 등장이 반가운 소식이기는 하나, 그에 대한 풀이가 다소 중복적이거나 재해석된 '위인전기' 중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도 안고 봐야 했다. 경계와 흥미가 뒤섞인 시선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문체는 힘이 있으나 장황하지 않고, 세세하나 지리하지 않았다. 그리고 강렬하게 시선을 사로잡는 삽화의 넉넉한 등장이 아주 매력적인 책이었다. 그의 유명한 작품들로 채워져있을 것이라 예상했던 약 260페이지의 질좋은 종이들에는 흑백으로 표현된 얼굴들과 풍경이 등장한다. 오히려 텍스트에 연연하지 않는 인상적인 구성에 초반부에는 마치 오래된 서양의 동화책을 읽는 듯한 느낌마저 든다. 이 색다름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읽으면서 불현듯 떠오른 것이 영국의 한 드라마 시리즈였다. '닥터 후'라는 시리즈인데, 그 드라마 중 가장 유명한 에피소드를 꼽으라고 한다면 시즌 5에서 나왔던 10번째 에피일 것이다. 그 에피소드의 주인공은 우리의 반 고흐다. 에피소드 안에 그가 세상을 바라보고 그것을 화폭에 담기까지의 감각을 시각적으로 구체화 해놓는 과정이 있으니 한번 쯤 본다면 좋을 것이다. 그 외에도 그의 작품과 책의 텍스트로 묘사된 '장소'들을 구현해놓은 장면들이 많이 나와 이 책을 읽으며 함께 보면 꽤 재미있을 것이다. 워낙 유명한 에피소드라 전에도 한번 본적이 있는데, 이번 '나는 빈센트를 잊고 있었다'를 읽으며 다시 봤는데 전보다 더 좋게 느껴졌다.


 많은 사람들이 그가 생전에 주고 받은 편지들을 모아놓은 책을 통해 그의 그림에서 다 읽어보지 못한 내면과 삶의 조각들을 길어올렸을 것이다. 왜 프레데릭 파작의 신간이 이러한 책은 이전에 없었을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었는지 직접 읽으며 공감했다. '나는 빈센트를 잊고 있었다'는 강렬하고도 매혹적인 책이다. 반어적으로 한번도 잊은 적 없었던 이에 대한 집요하고도 세밀한 추적이었다. 고흐의 사후에 마르지 않고 바쳐지는 영광과 찬미가 그의 지난했던 삶을 꿰뚫어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지 접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한번이라도 그가 그려낸 강렬한 색과 터치, 그리고 삶의 흔적에 매혹된 적이 있다면 꼭 한번 읽어볼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