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툰 감정
일자 샌드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자 샌드의 책을 읽은 것은 그리 오래전이 아니다. '센서티브'라는 제목의 책이었는데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들에 대한 작가의 시선을 풀어놓은 내용이었다. 보통 외향적이길 기대하는 사회분위기에서 민감한 성향에 대해 소심하거나 예민하다는 등의 부정적인 표현들이 따라오기 마련인데 그것을 민감하다는 단어로 바꾸어 표현했다는 점이 인상적으로 남아있었다. 잘은 모르지만 전작을 읽은지 몇개월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신간이 나왔다는 것에 조금 놀랐다. 반년 정도 된 것 같은데 비슷한 류의 주제로 책을 낸다면 내용이 겹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있었다. 사람의 성향이나 감정에 대해 다년간의 상담 이력을 통해 나름의 시선으로 파악하고 그것을 조절하며 생활할 수 있는 조언을 주는 흐름인데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내용은 아니다. 자신 내면의 감정이나 복잡한 생각을 안고 있는 사람들이 혹시 어떤 도움이라도 받을 수 있을까 싶은 마음에 누구나 알고 있고 공감할만한 보편적인 내용을 정리해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 자기계발서나 감성에세이의 구태의연한 흐름들에 현혹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서툰 감정'도 일부 공감을 하며 읽었지만 저자만의 독특한 시각이 빛나는 내용은 발견하지 못했다. 다만 몇군데 인상적이었던 내용을 소개한다.

 

 "다른 사람들의 행동 때문에 화가 나는 것은, 그 행동이 당신의 삶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것은 아마도 당신 자신에게 금지하는 행동일 것이다."

전부터 다른 사람을 싫어하게 되는 계기가 되는 행동이 있다면 그것은 그 사람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보기 때문이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었었다. 윗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속보이는 행동을 하는 동료나 친구가 꼴보기 싫거나, 모임에서 계산빠르게 행동하는 사람이 불편하거나. 내가 할수도 있는 일이지만 체면이나 양심 때문에 하지 않은 일을 재빨리 해버리는 사람의 모습이 보기 싫다고 떠올리는 이 예들이 곧 나의 경우를 대변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들은 내가 욕망하나 나 "자신에게 금지하는 행동"들 중 하나인 것이다. 넓게는 논란거리가 되는 우리 사회의 문제들도 이런 범위 안에 있다. 일자 샌드의 '서툰 감정'에서 비슷한 관점의 내용을 접하게 되어 반가웠고 뒤이어 오는 '분노에 지배되지 않는 법'의 단락을 통해 4가지 경우의 갈래로 분노를 느끼게 되는 요인을 나누고 분석한 내용들을 보며 흥미로웠다. 하지만 개인 내면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외부적 요인을 통해 불어나 몸집을 키우는 사회적 분노 요인 등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본 내용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남은 부분이었다.

 

 개인적으로는 7장에 있는 질투에 관한 내용을 처음부터 관심있게 생각했는데 내용이 좀 짧고 확실한 마무리 없이 끝맺음을 한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는데서 오는 두려움, 경쟁에서 질 것이라는 두려움 같은 감정들이 질투를 야기한다고 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법으로는 "함께 보내는 시간을 줄이기"나 "상대가 중요한 존재임을 확인시켜주자"는 요지로 흘러간다. 더불어 질투를 느끼지 않기를 원한다면 원하는 것을 얻거나, 그것이 어렵다면 포기하거나 둘 다 어렵다면 상담을 받기를 조언한다. 이것은 그저 관계를 끊어버리거나 외부적인 요인에 기댄 일시적인 해법에 지나지 않는 것 같아 공감되지 않았다. 조언으로 보기에는 좀 극단적인 방법을 내놓았다고 생각한다. "질투를 부정적인 감정으로 여기는 사람들은 누군가를 질투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도덕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원하는 감정을 선택할 수도 없다."고 하면서 질투라는 감정도 나쁜 것이 아니라 서툰 것이라 주장하고 싶어하는 내용은 잘 정리했지만, 그것이 자신의 내면을 어지럽히거나 혹은 상대방에게도 상처가 될 수 있는 것이라면 부정적인 감정인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관심있게 봤던 장이었는데 질투를 자존감과 연관시켜 풀어냈다면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었다.

 

 2장에서는 꽤 실망스러운 내용도 있었기 때문에 아쉬움을 많이 안고 읽었다. 남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당신에게도 그런 성향이 이다면, 지금 눈앞에 당신과 같은 성을 가졌고, 장애가 있으며, 요양원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리고 그 사람과 당신을 비교해보라. 당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과 할 수 있는 일들에 감사하게 될 것이다." 는 부분이었다. 나보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을 떠올리며 그래도 내가 낫지라며 위안받느니 나보다 잘난 사람을 부러워하는 편이 더 낫겠다고 느꼈다. 남을 부러워하는 것도 못할 짓이지만 남에 비해 자신을 위안받는 것도 더욱 치졸하다. 아쉽고 안타깝고 왜 썼을까 이해가 되면서도 되지 않는 부분이었다. 오히려 텍스트가 아닌 면대면의 대화를 한다면 저자에 대해 이보다 더 넓은 이해를 할 수 있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잘 정리된 내용을 읽으며 공감하다가도 왜 이렇게 마무리를 했을까, 왜 이런 관점에서 머물렀을까 싶은 부분들이 아쉬웠다. 좋은 리뷰가 되지 못했지만 솔직한 리뷰를 하려 노력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