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행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무서운 것을 참 못보는 편인데, 날과 밤이 이렇게 무더워지는 시기에는 그래도 괴담이나 호러물이 떠오른다. 무서워서 어쩔 줄 모를 것을 잘
알면서도 두손으로 눈을 가리고 살짝 벌어진 손가락 틈새로 자꾸만 훔쳐보고 싶은 긴장감과 궁금함이 '야행' 안에서도 잘 버무려져 있었다. 얼마간은
영화나 드라마같은 직접 눈으로 보는 공포물 위주만 봤었는데 간만에 소설로 읽으니 또 색다른 느낌이 들었다. 구현해 낸 어떤 창작물보다도 무서운건
머리속에서 그려내는 가장 공포스러운 이미지인가 보다. 더위를 잠시 잊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겠지만 가끔은 이렇게 무더운 여름밤에 잘 어울리는
책과 함께 보내도 좋을 것 같다.
'야행'은 어딘지 모르게 스산한 느낌을 주는 동판화 작가의 작품들과, 갑자기 사라져버린 한 여자 사이에 맞물리는 공통점들이 교차되면서
독특한 불안감을 준다. 동판화 야행의 연작을 그려낸 기시다 미치오와 어느날 갑자기 사라져버린 인물 하세가와. 사라진 하세가와를 알고 있는 옛
친구들이 기묘한 체험을 하는 때엔 항상 기시다의 동판화 작품이 등장한다. 둘 사이에는 어떤 연관 관계가 있는 걸까? 10년만에 다시 모인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자신의 경험을 풀어낸다는 설정도 좋지만, 원래 귀신은 자기 이야기를 하는 곳으로 모인다고 이야기를 읽을수록 주위 공기가
밀도있게 느껴지는 오싹함도 '야행'이 주는 묘미였다.
'교토의 천재 작가'라 불리우는 모리미 도미히코의 신간으로 전작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나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가 줬던
강렬함이 다시 한 번 '야행'을 통해 느껴진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이라 생각했던 작가의 신작 소식을 들으니 반가웠다. 막 일주일 전 일본에
다녀와서인지 온천장이 있는 여관이나 마을의 지역 축제의 분위기가 더 생생하게 느껴지게 읽었다. 한동안 여행의 여운에 빠져있었는데 '야행'을
읽으며 다시 또 그때의 느낌을 떠올리게 되었다. 읽고나서 갔으면 아마 여행지에서 좀 무서웠을지도 모르겠다. 혼자 깨어있는 밤에는 읽지 말아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결국 밤에 다 읽어버렸다. 언뜻 무엇이 눈에 띄는 것 같아도 절대 보지 말아야겠다고 결심하면서 책장을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