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이 사람의 내면 어느 곳에서 이런 생각을 떠올려내는 것일까 궁금해지는 작가 중 하나이다. 또다른 유명한 예로는 스티븐 킹이 있다. 저 궁금증에 대한 답이 될만한 작품이 이번 신간인 '잠'이 아닐까 싶다. 인간이 삶에 있어서 1/3 정도를 보내게 된다는 '자는 시간' 동안 현실과 닿아있지만 비현실적인 무한한 미개척의 영역이 존재하는 꿈의 세계에서 베르나르는 그의 영감을 길어오는 것이 아닐까. 그만큼 그의 작품은 실제적인 현실감과 재미를 주면서도 환상적인 체험이 가능하도록 독자를 이끈다.

 

 "잠은 잘 자요?"라는 물음으로 시작하는 이번 신간은 시작부터 경쾌한 리듬을 뽐낸다. 사실, 요즈음 잠을 잘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불편하면서도, 초반부터 확 시선을 잡아끄는 몰입을 주는 문장이었다. 가차없이 이어지는 '만족스럽지 못한 잠'들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마치 자신이 내밀한 상담자가 된 듯한 기분으로 다음장으로 다음장으로 넘어간다. 지금은 그런 독자가 비단 나뿐만이 아닐 것이라 생각하지만 느끼기에 꽤나 날선 시작으로 공격받는 느낌을 받으며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도 금세 다 읽게 되니 베르나르가 가지는 흡입력은 정말 대단하다.

 

 '잠'에서는 꿈의 세계에 대해 말한다. 문득 이전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인셉션'이라는 영화를 떠올리게 만드는 소재다. 잠을 자는 동안 꿈의 세계를 조절할 수 있다니. 영화 '인셉션'은 자각몽을 꾸면서 꿈 안의 세계를 스스로 설정하여 조작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는데, '잠'에서는 어머니의 실종을 두고 20년 후의 자신을 꿈에서 만나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 부분은 '인터스텔라'에서 미래의 자신이 과거의 자신에게로 메세지를 보내는 것과, 현재의 자신에게는 답이 없지만 미래의 자신에게서는 그 해결의 실마리가 보인다는 것에서 닮은 느낌을 준다. 그리고 꿈-우주로 두 영화를 떠올리게 만드는 동시에 그 둘이 꽤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 같아 그 둘을 동일시하는 마음으로 보게 만든다.

 

 1권의 내용만으로는 이제 막 도입부를 보여주는 것 같아 아쉽게 끝나서 2권을 봐야지만 이 책에 대한 좋고 나쁨의 개인적 감상을 남길 수 있을 것 같다. 근데 2권만으로 정리될 수 있을까 싶은 의구심이 든다. 좀 더 이어져도 좋을텐데 싶은 바람이 생긴다. 소재 때문인지 읽으면서 트렌디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어서 2권을 마저 읽고 이 소설의 끝을 알아보고 싶어졌다. 베르나르의 고정된 독자들이라면 이 시간이 반가우면서도 어떻게 감상을 내려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을 시점일 것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