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드펌 -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굳건히 서 있는 삶
스벤 브링크만 지음, 강경이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계발서를 읽을 때는 보통 수용적인 시선을 갖고 있지는 않다. 절친한 지인이랑 대화할 때도 그들의 말에 반대의견을 내는 편인데, 이러이러하게 살라'고 하는 자기계발서를 읽으면서 순순히 오, 그렇군요' 하지는 않는 편이다. "스탠드펌"의 경우에는 초반부터 좀 어색함이 느껴질 정도로 나와는 맞지 않는 내용인가 싶었다. 자기계발서의 탈을 쓰고 요즘 사회는 너무 빠르게 변한다, 쏟아지는 자기계발서들은 당신의 삶을 쥐고 흔들려한다, 자기계발서를 읽으며 자신을 변화시키려 하지 말고 중심을 잡으라, "자기계발 명령에 말대꾸할 언어를 찾는 독자들을 위"한 책이다 등등 수많은 자기계발서 들의 불필요함을 주장하면서 그러나 나=자기계발서 는 당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이다. 라고 하고 있으니 모순처럼 느껴졌다. 마치 나빼고 다 **이야,를 시전하는 듯한 태도가 느껴져서 의도적인 거리두기를 하며 읽었다.

 

 저자의 글 역시 약간은 공격적이게 느껴지는데, 다른 자기계발서들에서 흔히 보이는 '내면에 집중'하라는 말이나 '자신의 안에 답이 있다'는 말들 '긍정을 믿으라'는 태도를 매우 경계한다. "내면의 목소리가 회식 자리에서 당신 옆에 앉은 잘 생긴 동료 직원을 애무하고 싶다고 속삭인다면?" 이런 예를 들어보인다거나, 내면에 답에 있다는데 "중국어로 '말'을 뭐라고 하죠?" 하는 식으로 답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특히나 긍정 심리학에 대한 비판글을 썼었던 경험을 통해서 보여준 긍정 심리학자들이 보인 긍정적이지 못한 반응에 대한 예시는 우스우면서도 아직까지 그들을 조롱하고 공격하려는 의도가 느껴지기까지 한다. '내면'이니 '답'이나 '긍정'이라 하는 것들이 예로 들어보인 것처럼 일차원적인 의도로 쓰여진 것이 아님에도 단순히 생각해서 낼 수 있는 반박을 하는 통에 논점이 좀 어긋난 것 같긴 하지만 한편으론 약간의 통쾌감도 든다. 때로 그렇게 자기계발서들을 향해 반박하고 딴지를 걸고 싶었던 것이다.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라이프스타일 멘토, 자기계발 강사, 건강 전문가의 충고, 다양한 코치와 치료사 긍정 컨설턴트, 수없이 많은 자기계발서와 7단계 안내서" 들의 범람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안티-자기계발서"를 표방하는 이 책을 읽기 보다는 그냥 모든 것들을 무시하고 자신의 일상에 집중하며 하루를 자신이 원하는대로 사는 것이라 여긴다. 물론 그게 쉬웠다면 계발 강박에 대한 디톡스로 이 책에 관심을 가지지도 않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소설 등 문학 작품이나 인문사회 서적을 주로 읽는 편인데, 주변을 보면 독서를 즐겨하는 사람들 중 자기계발서 류의 책만을 골라 즐겨읽는 지인들이 있다. 한동안 청춘의 힘겨움에 대해 이야기하던 책이 큰 공감을 얻었다가 점차 과잉으로 흘러가 비판도 받게 되었는데, 마찬가지로 수많은 계발서, 지침서들을 읽었음에도 나와 현실은 달라지지 않는 것 같아 살짝 염증을 느끼게 된 상황이라면 이 "스탠드펌"을 한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