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 미술에 대한 오래된 편견과 신화 뒤집기, 개정판
메리 앤 스타니스제프스키 지음, 박이소 옮김 / 현실문화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첫 느낌은 감각적이다' 이다. 간단하면서도 눈에 탁 트이는 좀처럼 잘 사용되지 않는 포스터 물감의 형광 분홍색을 이용한 포인트 각주는 읽는데에 더해 보는 즐거움을 주었다. 그리고 첫 부분에 들어서면서부터 뻘한 당황을 느꼈다. 첫머리의 '이 책을 읽는 방법'은 사실 이 책을 읽는 방법적인 도움을 주지 않는다. 대신 개설서나 입문서 정도가 될 것이라는 단어들을 보며 마음의 진입장벽을 좀 낮추는데에만 위로를 주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내용은 본문에서 나 자신을 한 발 빼고 싶은 마음을 들게 한다. 우리가 흔히 알거나 짐작할 수 있는 미술 작품이나 양식들을 두고 이것은 미술이다/미술이 아니다 를 단호하게 구분하고 있다. 뒤로 가면 이것도, 이것도, 이것도. 이런 식으로 귀찮다는 듯이 휙휙 넘기기까지 한다.

 

 저 유명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는 어떨까.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는? 예상했겠지만 책에서는 그것들을 '미술이 아니다'라고 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앤디 워홀의 '네 명의 모나리자'는 미술이 된다. 물론 왜 그것들을 미술인지 아닌지로 구분했을지는 충분히 이해가 가도록 설명되어져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위대한 예술 작품이라 널리 알려진 그림들을 미술이 아니라고 단언한 부분에서는 왠지 모를 불편함과 어색함이 느껴졌다. 책은 단숨에 "제도들이 갖는 역사적 한계는 우리들 대부분이 르네상스 문화를 위대한 걸작과 미술작품이라는 차우너에서 이해한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술가 바버라 크로거는 바로 이에 대한 작품을 만들었다. 우리는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 때문에 시스티나 성당의 그림들 걸작으로 보는 것이다."라며 기존 예술에 대해 학습된 이데올로기-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길 종용하고 있다.

 

 시작부터 만만치 않은, 하지만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최근의 이슈와 함께 공감했던 부분은 '5 미술창작이라는 특권'이었다. 소위 천재라 수식되어지는 예술가들이 '백인 남성'들이라는 예시와 함께 부여되는 천재성도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진 자들의 특혜임을 알려준다. 당연한 일이겠지만 유리천장의 존재는 모든 시대와 분야를 걸쳐 존재하고 있고 예술사에서도 예외가 아님을 환기시켜주는 부분이었다. 특히나 여성은 예술작품안에서의 모델이란 역할에 국한되어 왔음도 새삼스럽게 자각하게 된다. 근대를 지나 현대로 오면서 변화되는 추세들에 대한 내용도 담겨져 있지만 이어지는 '6 아카데미' 장을 읽으며, 영국에서는 연극이나 영화에 나오는 배우들조차 신분에 따른 계층이 구분되고 맡을 수 있는 배역이 한정되게 주어진다는 공공연한 현실이 다시 떠오르곤 했다.

 

 "이제는 미술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 시장성이라는 것과, 대중을 위한 언어를 사용하는 랩과 월드 비트, 팝과 에스닉 록 음악과 같은 대중문화의 풍부한 표현력을 고려해 본다면 미술을 '고급'으로, 그리고 대중문화와 상업은 '저급'으로 동일시하는 판단기준을 버려야 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 " 책의 마지막 장으로 가면 대중문화 향유계층인 미알못인 나조차 쉽게 그렇다고 말하기 어려운 전통적인-고정관념이 된- 시각을 버려야 함이 나온다. 하지만 나는 어떤 소망을 바라건데 이전에도 후로도 향유하지 못할 턱없이 비싼 과거의 유물들을 그 자체로 칭송해야 마땅함을 놓지 못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가치를 자신이 더 잘 이해하고 누릴 수 있는 것에 두어야 함이 옳은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여러모로 생각해 볼 부분들이 많았다. 첨부된 작품들이 많았기 때문에 함께 보는 재미도 크다. 두께에 비해 부담감은 적으니 날이 좋은 날 여유가 되는 시간에 한번쯤 읽어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