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정 - 20세기의 스무 가지 교훈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조행복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민주주의의 유산이 자동적으로 우리를 그러한 위험으로부터 지켜 줄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잘못된 생각이다. 오랜 전통에 따라, 우리는 역사를 연구하여 복정의 뿌리 깊은 근원을 이해한 다음 여기에 적절하게 대처할 방법을 심사숙고해야 한다. 우리는 20세기에 민주주의가 파시즘과 나치즘, 공산주의에 굴복하는 것을 보았던 유럽인들보다 결코 더 현명하지 않다. 우리에게 한 가지 이점이 있다면 그들의 경험에서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이 바로 그래야 할 때이다."

 

 우리 사회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정치 이야기로 뜨겁다. 그런데, 막상 정치에 대해 잘 아느냐고 물으면 대체 무엇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어떻게 알아야 하는지도 막막한 경우가 많다. 뉴스나 신문에서 본 것들로만 판단하기엔 언론의 신뢰성 자체가 의문이 가는 현 상황이 썩 미덥지 않다. 선거를 앞두고 하고픈 말도 많고 알고픈 것도 많은데 어디에 물어보기도 애매한 것들이 많다. 정치 얘기가 나오면 꿀 먹은 벙어리가 되거나 하고픈 말을 속으로 삭히고 넘어가는 사람들에게 권해줄 만한 책이다. 그리고 강해보이는 표지에 비해 내용은 재미가 느껴질 정도로 흥미롭게 되어 있다. 첫 장 '1 미리 복종하지 말라'에서 설명하는 예측 복종이라는 것도 단어는 생소했으나 잘 알려진 밀그램의 실험으로 예를 든다. 이점이 꽤 영리한 선택이었다고 생각된다. 처음, 책의 도입부를 읽기 시작했을때 느껴지던 부담감이 다소 해소되는 것을 느꼈다. 생각보다 멀리 떨어진 이야기를 하고 있는게 아니구나 하고 여겨지면서 내용에 더욱 흥미를 갖게 된다.

 

 " '진실이 뭡니까?' 때때로 사람들은 행동하고 싶지 않아서 그냥 질문을 던진다. 냉소주의는 우리를 세상 물정에 밝고 유연한 사람처럼 느끼게 만든다. 동료 시민들과 마찬가지로 무관심의 늪으로 굴러떨어지는 순간에도 말이다. 사실을 분별하는 능력은 비로소 당신을 하나의 개인으로 우뚝 세운다. 그리고 공동의 지식에 대해 모두가 신뢰를 보낼 때 비로소 우리는 하나의 사회를 이루게 된다. 진실을 조사하는 개인은 사회를 건설하는 시민이며, 그러한 개인을 싫어하는 지도자는 잠재적 독재자다."

 

 각 장의 내용이 길지 않다. 그런데 하나같이 생각할 거리들을 제공한다. 지난 1년여간 우리나라를 뒤흔든 끔찍한 게이트 뿐 아니라 20대 총선, 그리고 곧 다가올 선거까지 국민들이 나서서 행동하여 이뤄낸 변화가 많다. 영국의 브렉시트와 미국의 45대 대선을 지켜보며 자신들이 행사하는 한표가 무엇을 하는지 조차 모르는 채 주위에 휩쓸려 표를 던진 결과가 어떤지 간접적으로 지켜보기도 했다. 과거 뿐 아니라 현재도 다른 나라의 정세는 긴밀한 연결이 되어 영향을 주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미러링도 되어 준다. "폭정"의 '8 앞장서라' '11 직접 조사하라' 등의 장에서 이런 상황에 대해 더욱 잘 일깨워주고 있다.

 

 장미대선을 앞두고 지지하는 후보를 응원하기 위한 피켓을 손수 만든 시민을 보았다. 피켓에는 '하고싶은거 해' 라고 적혀 있었다. 무조건적인 지지를 보내주겠다는 어찌보면 위트있는 내용의 응원 피켓이었다. 물론 그 열정적인 행동하는 시민은 앞으로도 그 후보의 노선을 주의깊게 지켜볼 것이고, 꾸준히 정치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그 피켓의 문구를 경계해야 할 것이다. 어떤 후보가 대통령이 되든 완벽한 인간은 없다. 99가지의 일을 잘하더라도 1가지의 일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때 국민의 피드백 또한 지치지 않고 열성적이라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폭정'을 읽고 보니 문득 눈에 확 들어온 불편함이었다. 이제 다시 제대로 된 나라에게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지금 이 시대에 반드시 읽어볼 필수적 지식을 '폭정'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었다.

 

 "20 최대한 용기를 내라 ; 아무도 자유를 위해 죽을 각오가 되어 있지 않다면, 우리는 모두 폭정 아래서 죽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