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르라미 별이 뜨는 밤 반올림 38
김수빈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 나는 아무래도 너를 한 번 더 만나야 할 것 같아."

 

 때이른 매미의 날개 무늬를 단 표지는 감각적이었다. 여름에 태어난 작가라서 그런지 전작도, 이번 '쓰르라미 별이 뜨는 밤'도 여름과 얽혀있다. 사람들은 보통 자신이 태어난 계절을 좋아하던데, 작가도 그런지 궁금해졌다. 처음에는 그냥 한번 읽어보고 싶다는 궁금함이 많았는데 읽고보니 어딘지 환상적이면서도 씁쓸한 분위기가 가시지 않는 그런 여운이 짙게 남았다. 가끔 이렇게 혹은 종종 '청소년'이나 '아동'이라는 수식을 달고 나오는 작품들이 더 깊게 마음을 때린다. 좀 더 날것의 감성으로 생생한 점도 있고 구태의연하고 불필요한 어른의 내면을 굳이 직시하지 않아도 되어 좋을 때도 있다.

 

 결이 앞에 등장한 진이라는 소년이 자신과 그녀는 우주인이라고 주장한다는 내용을 보고 단순한 현실 도피라고 먼저 떠올렸다. 결이나 진이를 보고 있자면 그런 허무맹랑한 이야기라도 믿어서 현실을 탈피하고픈 마음이 생길 수 있으니까 하며. 중학생과 고등학생, 한창 예민한 시기에 가정에서도 학교에서도 의지할데가 마땅치 않아 성치않은 마음을 안고 지내는 둘이기에 서로의 안에서 같은 결을 봤다고 생각했다. 우연한 만남이 계속되는데도, 결이 흔들리는 동안에도 '아닐거야'하고 생각했다. 어른은 어른이었나보다. 그래서 이 소설의 결말이 더 마음에 들었다. 사실 읽으면서는 혹 사실 비가 매미인이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도 해봤다. 금방이라도 세상을 떠날 것 같이 위태로운 비가 차라리 매미인이라 떠날 때가 된 것이라면 덜 안타까울까 싶었다.

 

 결이나 진이 강한 아이들로 보여서 다행이지만 그들이 처한 소설 속 현실은 심각했다. 친구에게 대놓고 사생아라는 모욕을 당하거나, 성인도 하기 어렵다는 병자의 수발을 들어야하는 상황, 제대로 된 생활을 하고 있는지 관심도 없는 채 폭력을 휘두른 아버지, 외진 공원에서 집단 폭행을 당하고 담뱃불이 지져질 상황에 놓이면서도 가족, 학교 어디에도 말하지 못하는 등 마치 예민한 지구인들이 본능적으로 자신들과 다른 매미인의 냄새라도 맡은 양 그네들을 괴롭힌다. 마치 그들이 지구를 떠나는게 당연하도록 느껴지라고, 땅속에서 참고 견디며 지내는 매미처럼 힘든 시련을 주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들이 안타까운 한편 매미13과 매미17의 절박함도 공감됐다. 멸망을 앞두고서도 매미인들이 자신의 미래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니, 매미인들은 너무나 관대했다.

 

 금방 책장을 덮었지만 나 역시 진을 한 번 더 만나야 할 것 같아졌다. 남겨진 여운이 강해 몇 번은 더 읽어도 좋을 것 같다. 결이가 어떤 선택을 했더라도 그랬을 것 같다. 아직은 좀 이르지만 금새라도 매미 소리라 찢어질 듯이 울리는 한낮의 여름과, 팔월의 마지막 날을 지나가는 어느 여름밤이 떠오를 것만 같다. 다소 판타지스러운 내용과 함께 상처를 감싸안은 한 소녀가 성장하는 모습이 담겨 있는만큼 깊이 이해하며 애정어린 눈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아직 봄을 다 보내기는 아쉽지만 여름의 입구에 누군가에게 선물해준다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여름 내내, 매미 소리가 들릴 때마다 결과 진을 떠올리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